▲박근혜 새누리당 선대위원장이 1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식에서 황우여 원내대표와 얘기를 나누며 웃고 있다.
남소연
선거 때가 되면, 복지와 민생 분야 등에서 여권이 야권에 비해 자신들의 이념에 솔직하다는 인상을 자주 받는다. 무상급식과 관련된 이슈가 선거를 주도하던 시절에도 여권은 보수적 입장을 확실히 고수했다.
덕분에 선거에서는 핵심 쟁점이 미시적일수록 여야의 입장 차이가 뚜렷해지는 경향이 있다. 지지세를 모아야 하는 정치 생태계의 특성상 보수 정치인들은 전통적인 부유층을 위협하거나 그들의 철학과 다른 정책을 용감하게 제시할 수 없다. 포퓰리즘적 태도로 위장하고 싶어도 당장 자신들의 지지 기반인 부유층으로부터 외면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지지층들은 자신들이 지지하는 보수 정당이 추상적인 범주에서 말하는 약속에는 관대하다. 그들은 꼼꼼하기 때문에 선언적인 담론 밑에 숨어 있는 진짜 정책들을 들춰보고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지만 따져본다.
그런 이유로 여당의 대승으로 막을 내린 이번 총선에서도 그들은 보수정당의 수장이 '민생만을 위한 정치'를 하겠다고 장담하는 것에 태클을 걸지 않았다. 새누리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야권이 정권 심판과 막말 정치라는 정치적 이슈에 올인 하는 사이 민생을 위하는 정치를 하겠다고 약속함으로써 차별화를 시도했다.
국어사전에 있는 그대로, 민생이란 일반 국민의 생활이나 생계를 뜻한다. 민생을 위한다는 것은 현존하는 주거 불안과 가계 부채, 일자리 문제 등에서 사회적 약자의 편에 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여당의 민생정치도 그런 의미를 담고 있을까? 우리나라 부유층은 양극화로 인한 사회적 고통을 성장통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감세 조치로 인한 부의 재분배가 왜곡되는 것조차 성장의 가장 중요한 밑거름인 투자 의욕을 위해 불가피하다고 여긴다.
일명 '트리클 다운 이펙트', 즉 일부 희생을 전제하더라도 성장을 해야 고용이 활성화되어 전체적으로 모두에게 이롭다는 철학을 지녔다. 결국 그들은 양극화와 감세 조치들이 민생에 보탬이 된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여당의 구호와 자신들의 철학이 대립되지 않는다 여겼을 것이다.
국민과 여당의 '민생 동상이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