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도 평택공장지난 7월27일 15시 부로 만도 사측은 직장을 폐쇄하고 평택, 문막, 익산공장에 용역을 투입해 공장을 봉쇄했다. 평택공장 정문을 용역들이 봉쇄하고 있다.
금속노조
김정현(가명·36)씨는 4개월째 고위급 인사를 경호하고 있다. 수시로 현장이 바뀌고, 미리 현지답사를 가는 등 경호계획을 짜야 할 시간이 많아 요즘엔 보통 2~3시간 잔다. 경호 일이 없을 때는 노사분규 사업장·철거 현장에 들어간다. 그는 "이쪽은 한 달에 일이 10건이면 정말 많은 편"이라며 "때문에 오랫동안 많은 인원이 투입되는 노사분규 사업장 같은 데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영업과 현장 업무를 동시에 하는 업체를 운영하는 '실장'이다. 김씨의 업체는 법인과 하청의 중간 형태로, 현장에는 소속 법인 이름으로 들어간다. 직원 6명을 두고 있다. 대개 경호업무는 많은 사람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사분규·철거현장 등 일손이 필요할 때는 다른 업체와 함께 움직이거나 '프리팀'에 연락한다. 프리팀은 소속없이 움직이면서 그때 그때 사람을 모아주는, 하청업체 역할을 한다.
"무장한 노조 선제공격했다'는 컨택터스 주장 틀린 것 없다"4년제 대학의 경호학과를 다니다 그만둔 그는 스무 살 때부터 경호·경비 일을 시작한 만큼 안 가본 곳이 없다. 폭력사태로 논란이 된 경비업체 컨택터스처럼 노사분규 사업장에 들어간 경험도 많다. 자신이 현장에서 만난 모든 노조들은 폭력적이었고, 늘 먼저 공격해 왔다고 김씨는 말했다. 그는 "우리도 충돌을 바라지 않는다. 직원들에게 절대 먼저 때리지 말고 맞으라고 가르친다"며 "폭력 사태의 1차 원인은 노조에 있다"고 말했다. '무장한 노조가 선제공격했다'는 컨택터스의 주장엔 "틀린 내용이 없다"며 동의했다.
그러면서 그는 "경호, 경비원은 최일선에 노출돼 있지만, 민간인 신분"이라며 "최소한의 권한, 상대측의 폭력을 제지할 수 있는 권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무 권한 없이 위험을 그냥 당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경찰에게는 폴리스라인이 있듯, 경호·경비회사에게는 시큐리티 라인이 있었으면 좋겠다"며 "그걸 벗어나 불법행위를 하는 대상에게는 형사처벌을 하는 등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있어야 하지 않나"라고 덧붙였다. 이는 노사충돌의 현장에서 사실상 경비용역업체에게 합법적인 물리력 행사 권한을 달라는 요구라는 점에서 논란이 될 수 있는 대목이다.
경비업체의 책임도 인정하긴 했다. 그에 따르면, 현장에 투입된 인원의 60%는 용역, 20%는 전문경호원, 나머지는 아르바이트다. 그는 용역이 문제라고 봤다. 그는 "고의적이고 계획적인 용역 폭력에는 확실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소위 '용역깡패'들이 경호·경비업계에 너무 많은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씨는 "경비이수교육 28시간만 받으면 자격을 얻는 용역 가운데 부적격자들이 있다"며 "그들이 맞은 걸 참지 못하고 폭력을 행사해 충돌이 생긴다"고 얘기했다. 그가 용역폭력 문제의 해법 중 하나로 '자격증제'를 꼽은 이유다.
"사측은 경비업체에게 '강하게 하라'고 요구한다""사측이 경비업체에 '노조에 폭력을 가하라'고 요구하진 않지만, 그들의 관리·감독·책임을 의무화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폭력사태가 벌어지면 혐의가 확인된 경비업체 직원은 형사처벌을 받고, 업체는 허가를 취소당한다. 이에 비해 경비업체를 고용한 회사들이 처벌받는 경우는 드물다. 김씨는 "자신들의 피해가 없으니, 사측은 마냥 (경비업체가 노조에게) 강하게 대처하라"고 요구한다"며 "폭력사태가 거듭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4개월째 현장에서 생활하고 있다. 네 살짜리 아들과 두 살인 딸은 가끔 집에 갈 때 30분 정도 보고 나온다.<오마이뉴스>와 한 인터뷰도 이메일과 여러 번의 전화통화로 진행됐다.
다음은 김씨와 나눈 일문일답이다.
- 경력이 한 20년쯤 된다고 들었다."정확히 따지면 17년차다. 원래 활동적인 성격이다. 사무직보다는 현장에서 일하고 싶어서 형사와 경호원 중에 고민했다. 근데 정장 입고 일하는 경호원이 더 멋있어 보여서…(웃음). 중간에 그만 뒀지만, 대학 전공이 경호였고 일은 스무 살 때부터 시작했다. 경호·경비업계 간부급은 경호원 출신이 많다. 서진호 컨택터스 대표도 원래 경호원이었다."
- 업체를 따로 운영하고 있진 않은 건가."3년 조금 넘게 업체 두 곳을 운영했는데, 현장 위주로 일하다 경영까지 하려니 힘들더라. 지금은 소속 법인이 있긴 한데 이름만 빌리는 정도다. 프리팀은 아니고, 직접 영업해서 법인에 전해주거나 그쪽 이름으로 들어간 사업장의 계약금 일부를 수수료처럼 낸다. 일종의 중간업체이고, 직원 6명을 데리고 있다. 다들 경호원 출신이다."
- 요즘 맡고 있는 일은 무엇인가."사실 이 부분은 공개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의뢰인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밖으로 나가선 안 된다. 고위인사를 대상으로 업무하는 정도로 하자."
- 경비업체들이 노사분규 사업장에 투입되는 과정이 궁금하다."영업에선 인맥이 가장 크다. 일반 경비업체들은 어느 회사가 언제 노사 간에 분쟁이 일어나는지 모른다. 법무나 노무쪽 담당자와 인맥이 닿아 있으면, 그쪽에서 먼저 아는 경비업체에 연락한다. 맨땅에 헤딩하듯 뉴스 보고 정보를 얻어 그 회사를 찾아가 계약하려고 하면 이미 현장에 배치된 경호(용역)팀에게 쫓겨날 수 있다."
- 직원은 6명인데, 그 이상 인원을 요청받으면 어떻게 채우나."어떤 경호회사 직원이 10명이면 정말 많은 편이다. 보통은 신변 보호, 수행 이런 걸 소규모로 하는 편이라 인원이 많을 필요가 없다. 근데 분쟁현장이나 콘서트, 이런 건 다른 업체랑 품앗이처럼 함께 들어간다. 또 프리팀이라고 해서 소속 없이 자기들끼리 다니는 사람들이 있다. 그 사람들한테 연락해서 인원을 채운다."
"주간 일당은 8만원... 쌍용차는 용역업체가 정말 돈 많이 번 경우"- 보통 수입은 얼마 정도 되는 건가."대부분 사람들의 일당은 8만 원쯤이다. 언론에서 일당이 20만 원이다, 34만 원이다 말이 많은데 보통은 8만 원이다. 더도 덜도 말고 딱 이 정도다. 정말 언론에서 말한 만큼 준다면 우리나라 청년실업은 이미 해결됐다. 34만 원이란 금액은 경비업체가 회사와 맺은 계약금이고, 주·야간 업무를 합친 액수다. 20만 원도 한 사람이 주·야간 다 일할 경우를 말하는 것 같은데, 그것도 보통 16만 원이다. 주간만 일한다면 8만 원씩 한 달에 240만 원 버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