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는 낙동강 합천창녕보 생태공원에 '어도'를 만들어 놓았는데, 최근 들어 공사를 새로하고 있다(자료사진).
윤성효
수공에 국민을 수탈하는 비상식적 특혜 구조가 정착된 이유는 독특한 설립과 성장배경에서 찾아볼 수 있다. 수자원공사는 지난 1967년 국력이 미약했던 시기, 대형댐과 광역상수도 등 지자체나 민간이 감당할 수 없었던 사업을 국가가 직접 추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정부 예산으로 시설을 건설하고, 건설된 시설을 수자원공사에 귀속시켜서 시설의 보수와 유지관리비를 요금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정부는 선례가 없었던, 경영상 위험이 상당했던 사업을 수공에 맡기기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게 됐다.
하지만 1990년대 말 전국 대부분의 도시와 산업단지 등에 대한 물 공급이 완료됐다. 1998년 이후엔 물수요 자체가 감소하면서 추가적인 수자원시설의 개발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2000년대 초반 들어서는 국가하천 정비율도 90%를 넘어서면서 국가단위의 치수사업도 의미를 잃게 됐다. 또한 지자체와 민간의 역량 또한 강화돼 개발사업자로서의 국가 사명은 종료됐다. 건설사업과 함께 조직을 확대해 왔던 수공도 전환점을 맞이해야 했다.
하지만 수공은 조직의 확장을 고집했고, 상하수도사업의 수탁관리, 해외 수자원 개발 사업, 산업단지 등의 지역개발 사업 등에 뛰어들었다. 세계 10대 물기업을 표방하며 공공성과는 거리가 먼, 투자위험이 크고 수익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진출을 꾀했다. 선진국들에서 개발조직들(일본의 독립수자원기구, 미국의 공병단 등)이 개발시대의 종료와 함께 시설의 유지관리와 환경보존 사업 중심 체계로 바꾼 것과는 다른 길이었다.
현재의 수공은 본사에 1부사장, 4본부, 25처(실,사업본부)로 구성돼 있다. 현장에 1사업, 8지역본부, 24단(원)을 두고 있다. 정원은 4169명까지 늘었는데 이는 10년 전에 비해 30% 이상 증가한 것이다.
해체됐어야 할 조직이 잔존한 폐해는 심각하다. 무엇보다 불필요한 개발 사업들이 무리하게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0년 말 현재 상수도 시설의 용량은 3094만 톤에 이르는데, 가동률은 겨우 50%에 불과하다. 한탄강댐, 영주댐 등 실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댐들이 건설 중이다. 지리산댐과 영양댐 계획도 수립 중인데 이 역시 수자원공사가 없었다면 구상될 이유가 없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수자원공사의 문어발식 확장은 끝도 없이 이어지고 있다. 그중에는 4대강변에 수십 개의 친수도시를 건설하겠다는 계획도 있다. 이미 발표한 3개 사업 중, 사업규모가 확정된 부산의 에코델타시티를 위해서만 약 5조 원을 차입하겠다고 했다. 시화호와 구미 등에서도 단지 개발을 진행 중이고, 해외 곳곳에서 댐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