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서 같이 우는 사람이 있음을"

[작가, 제주와 연애하다 ⑤] 소설가 심영의

등록 2013.02.12 09:34수정 2013.02.12 09:34
0
원고료로 응원
"이 자의 두뇌를 20년간 멈추어야 한다"는 유명한 판결문과 함께 안토니오 그람시가 20년 넘는 형을 받고 파시스트들의 감옥에 있을 때, 유럽의 수많은 지식인들이 구명운동에 나섰습니다. 로맹 롤랑이 지속적으로 만들어 배포한 팸플릿 역시 크게 힘을 발휘하였습니다.

"이성으로 비관하더라도 의지로 낙관하라."

이 유명한 경구는 로맹 롤랑의 글 <지성의 비관주의, 의지의 낙관주의>를 그람시가 요약한 것입니다.

제주도 강정마을의 600명이 넘는 주민, 평화활동가들에 대한 연행, 구속, 투옥, 벌금 사태 뒤에는 불법 공사 상황이 있습니다. 주민 협의를 거치지 않은 강제 과정, 전쟁을 도발하는 안보 기지, 민군복합항이 입증되지 않은 설계도, 환경문제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공사, 인권 유린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불법 요인에 대해 제주 도지사를 중심으로 제주 주요 언론은 입을 다물거나 사실을 왜곡해 왔습니다.

제주해군기지는 미 해군 설계요구에 의해 미군 핵 항모가 입항할 규모로 설계되고 있다는 사실을 2012년 9월, 장하나 국회의원이 밝혀냈습니다.

모국어로 글을 쓰는 시인과 작가들은 제주해군기지 건설 후 대정, 세화 성산에 공군기지가, 산방산에 해병대가 들어선다는 소식을 들으며 제주도가 최전선화되는 것을 공포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대한민국 곳곳의 요지를 미군에게 내어준 형편임에도, 비무장 평화의 섬 한 곳 확보할 수 없을 만큼 우리 조국은 무력한 나라인가에 대해 다만 슬퍼합니다.

군함에 의해 오염될 서귀포 바다와 기지촌으로 전락할 제주도의 고운 마을들을 생각하면, 어떻게 제주도민을 위로해야 할지 알 수 없습니다.


쓰는 일 외에 별로 잘 하는 게 없는 시인과 소설가들은 편지를 쓰기로 했습니다. 서귀포 바람, 애월의 파도, 북촌의 눈물, 위미의 수평선, 쇠소깍의 고요를 생각하며, 두려움과 연민이 어룽진 손으로 제주도민들께 편지를 씁니다. <작가, 제주와 연애하다>입니다.

 멀리서나마 강정을 응원합니다
멀리서나마 강정을 응원합니다노순택

"멀리서 같이 우는 사람이 있음을"
- 광주에서 강정마을로 보내는 편지


섬은 본디 외로운 곳일 테지요. 뭍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겠지만 그도 잠시, 그들은 하나같이 지나가는 여행객에 불과할 테니까요. 저도 별반 다르지 않아요. 몇 번 다녀간 곳, 그러자니 제주를, 강정을 제대로 알 리가 없지요. 오래전 광주도 그랬어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시내 도처에서 일어날 때, 곳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어갈 때, 우리는 광주 밖의 사람들에게 우리의 외로움을 전하고 싶어 했지요. 그래서 사지(死地)를 벗어나 밤길을 걸어가면서도 혹여 죽어가는 이들을 두고 우리만 도망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죄책감에 시달렸지요.(윤정모 소설<밤길>) 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뒤 광주를 지나치는 사람들이 심드렁하게 그래요. "찰칵, 여기서 그랬단 말이지? 찰칵, 찰칵, 정말 여기서 그렇게 많이 죽었단 말이야?"(임철우 소설 <관광객들>)

그러나 한편,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날 광주의 상처를 자신의 것으로 여기며 아파하고, 그래서 함께 싸우고 그랬는지요. 그것은 무참하게 사람의 생명을 해친 데 대한 분노와 그때 우리가 광주를 외면했다는 죄의식이 모여서 이룩된 깊고, 커다란 울림이었지요. 그 힘으로 우리는 다시 앞으로 뚜벅뚜벅 걸어갈 힘을 얻었어요. 여전히 그날, 광주의 뭇 생명을 처참하게 짓밟았던 자들이 더러는 떵떵거리며 호의호식하는 듯 보이지만, 그리고 여전히 광주의 진실을 왜곡하려는 이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끝내 진실은 승리할 것을 우리는 그렇게 믿어왔지요.

"겨울나무들이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고 서서, 그러나 때로 부둥켜안고 온몸을 떨며 깊은 울음을 터트릴 때, 멀리서 같이 우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신경림 시 <나목裸木>) 기억하는 것은 위안을 넘어 일종의 크나큰 힘이 되지 않을는지요. 지금은 비록 이 밤길이 끝나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 해도, 생명과 평화를 지키기 위한 수많은 사람들의 연대와 쉼 없는 노력이 오늘 눈보라치는 강정을 따뜻하게 감싸 안을 힘이 되지 않을는지요. 그렇게 광주가 이겨냈듯이, 오늘 제주가, 강정이 잘 견뎌 마침내 이겨낼 것을 우리는 믿어야겠지요.

물론 위로만 가지고, 분노만 가지고, 희망만 가지고, 강정을 지키거나 세상을 바꾸기엔 너무나도 고통스럽고 너무나도 힘이 든다는 것을 모르지 않지요. 그러나 다시 슬픔도 힘이 된다는 것을, 분노가 우리를 뭉치게 한다는 것을 저들은 알 리가 없지요. 그러면 종내 우리가, 강정의 눈물이 이길 수밖에 없는 싸움이지요. 구럼비와 강정을, 제주의 평화를 지켜내야 한다는 모두의 염원에도 불구하고 오늘 눈보라치는 강정에서의 지치지 않는 투쟁은, 당장에는'패배'로 보일지 모르지만, 이 투쟁의 과정에서 낡고 무도한 질서의 힘은 부식되기 시작하고 사람들의 생각은 변화할 것이에요. 우리는 다시 또 일어서고 기운을 얻게 될 것임을, 결국 아무리 작은 행동이라도 그것이 모여 커다란 울림이 되어 마침내 강정을 지켜낼 것임을 우리는 믿어야지요.

비록 멀리서 강정을 응원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마음은 항상 함께 하고 있음을 기억해주시길, 무엇보다 우리의 생각이 옳다는 것, 그러니 결코 지치지 않기를 빌면서….
덧붙이는 글 심영의 소설가는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5·18민중항쟁 소설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방어할 수 없는 부재」가 당선되었고, 단편소설「그 희미한 시간 너머로」가 5·18기념재단 주관의 2006년 제1회 5·18문학상에 당선되었다. 같은 소설을 표제작으로 한 소설집이 2007년에 출판되었으며, 2012년 5·18기념재단에서 펴낸『5·18문학총서 소설편』에 단편소설「그 희미한 시간 너머로」가 수록되었다. 2009년에는 저서 『5·18과 기억 그리고 소설』을, 2012년에는『현대문학의 이해』를 출간했다. 1990년대 초반, 5·18광주민중항쟁연합에서 사무차장으로 상근하면서 5월 운동에 복무했다. 조선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현재는 전남대와 조선대, 목포대 등에서 문학과 글쓰기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제주해군기지 #강정마을 #심영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AD

AD

AD

인기기사

  1. 1 전국 최고 휴게소 행담도의 눈물...도로공사를 향한 외침 전국 최고 휴게소 행담도의 눈물...도로공사를 향한 외침
  2. 2 "꽝" 소리 나더니 도시 쑥대밭... 취재기자들도 넋이 나갔다 "꽝" 소리 나더니 도시 쑥대밭... 취재기자들도 넋이 나갔다
  3. 3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4. 4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5. 5 한 박스 만원 안 나오는 샤인머스캣, 농민 '시름' 한 박스 만원 안 나오는 샤인머스캣, 농민 '시름'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