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동구 수정동에 위치한 희망마을 수직농장. 농림수산식품부가 인가한 첫번째 사회적 협동조합이다. 저소득층에 밀집해 사는 산복도로의 건물을 개조해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도심형 농장을 만들었다. 수익금은 전액 지역 장애인과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위해 사용된다.
부산동구청
10일로 협동조합 기본법이 발효 100일을 맞는다. 우려와 기대 속에서 부산의 협동조합들도 이제 막 기지개를 켰다. 10일을 기준으로 부산시에 설립 신고를 마친 일반협동조합은 총 47개. 아직 수리가 되지 않았지만 8일 하루만 3건의 협동조합 설립 신청이 들어왔다. 설립신고 기준으로는 50개의 협동조합이 만들어진 셈이다.
이는 전국적으로도 적은 수치가 아니다. 기획재정부 협동조합운영과가 10일 밝힌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협동조합 신청은 모두 605건. 174건인 서울이 가장 많고 그 뒤를 광주(95건), 경기도(68건), 부산(50건), 전북(33건), 경북 (25건), 강원과 대전(각 21건) 등이 잇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올 해 안에만 2천300개 가량의 협동조합이 생길 것으로 내다본다. 당초의 목표치를 웃도는 수치다.
숫자만 늘어난 것이 아니라 협동조합의 면면도 다양해졌다. 부산에는 골목가게들이 뭉쳐 만든 골목가게 협동조합이 있는가 하면 문화예술, 중소기업, 숙박업, 서점, 장례, 신발, 요양, 반찬, 공동체 주택 등 다양한 협동조합이 생겨났다. 가장 많은 형태의 협동조합은 물품의 공동구매를 위한 협동조합이다. 공동구매를 통해 조합원들이 함께 물건을 저렴하게 구매해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자에게는 하나된 목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동네 상인들은 야금야금 골목시장을 파고드는 대형 마트에 맞서 협동조합을 결성해 대응에 나서고 있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부평동 깡통시장과 초량시장, 동래시장은 중소기업청이 추진하는 소상공인 협업화(협동조합) 지원사업을 신청했다. 선정이 될 경우 조합당 1억원의 지원과 공동설비·마케팅 등이 가능해진다. 깡통시장과 초량시장은 자체 어묵 브랜드를 개발해 대기업이 찍어내는 공장 어묵에 맞선 진짜 부산 어묵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렇게 협동조합이 늘어나면서 민관의 지원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협동조합 지원의 법적 근거가 될 조례 제정에 부산시의회가 나섰고, 조례가 마련되는 대로 협동조합지원센터도 문을 열 예정이다. 지역의 협동조합을 묶어낼 협동조합연합회도 곧 출범을 앞두고 있다. 부산대학교 평생교육원에는 협동조합과 관련된 강의도 마련됐다. 기획재정부도 올해부터 광역자치단체에 중간지원센터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폭발적 증가세 속에 '묻지마 설립'에 대한 우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