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죽는 호주 워킹홀리데이, 실상은 이렇다

[호주 워킹홀리데이의 실태①] 악순환 낳는 한인 렌트와 한인 잡

등록 2014.01.23 18:12수정 2014.01.24 15:01
6
원고료로 응원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호주 브리즈번에서 한인 세 명이 잇따라 사망했다. 사망자 셋 모두 한국인 '워홀러'였다. '워홀러'란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호주 등 외국에 와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사망 사유는 모두 달랐지만, 사망 사건이 잇따르면서 호주 워킹홀리데이 실태가 이슈화됐다. 영어권 나라 중 캐나다·뉴질랜드·아일랜드 등도 우리나라와 청년 워킹홀리데이 협정을 맺고 있지만, 호주는 비자 발급 절차가 간단해 한국청년들이 특히 많이 오고 있다.

개인적으로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호주 멜버른(Melbourne)에 와 있지만 소위 '워홀러'라고 불리는 한국인을 만난 적이 없었다. 회사 동료, 프로젝트를 통해 만났던 한국 출신들은 국적이 호주나 뉴질랜드여서 더 이상 한국인이 아니었다. 살던 동네에도 한국인이 거의 없었다. '시티'(City)라고 부르는 시내 중심가에 나갔을 때, 그곳을 동네 주민처럼 다니면서 한국어로 대화를 나누고 있는 20대 초반 사람들을 보면 '워홀러인가 보다' 하고 추측하는 게 전부였다. 진짜배기 한국인 워홀러가 호주에서 어떤 생활을 하고 있는지 궁금했다. - 기자말

한국인 워홀러의 정보 탐색법 그리고 그 함정

 호주에서는 검트리(Gumtree)를 이용해 셰어하우스나 파트타임 잡, 농장일 등을 찾는다. 보다 전문적인 직업정보는 씩(seek)을 통해 찾고, 전세, 매매 등의 부동산 거래에는 리얼에스테이트(realestate) 등을 더 많이 이용한다.
호주에서는 검트리(Gumtree)를 이용해 셰어하우스나 파트타임 잡, 농장일 등을 찾는다. 보다 전문적인 직업정보는 씩(seek)을 통해 찾고, 전세, 매매 등의 부동산 거래에는 리얼에스테이트(realestate) 등을 더 많이 이용한다.누리집 갈무리

호주에는 '검트리(www.gumtree.com.au)라는 종합정보누리집이 있다. 일자리·집·중고물품 매매 등에 널리 활용한다. "스탠드 어디 싼 거 잠깐 쓰기 괜찮은 거 없나?"라고 물으면 친구들은 대번 "검트리 찾아봐, 있을 걸?"이라고 답한다.

호주 현지인들뿐만 아니라 각국에서 워킹홀리데이 비자, 워킹 비자, 학생 비자 등으로 호주에 와 있는 사람들이 검트리를 많이 활용한다. 이탈리아에서 온 파비오는 검트리를 통해 2주 만에 레스토랑 일자리를 찾았고, 영국에서 온 사라는 셰어하우스를 찾았다.

지난 12월 브리즈번에서 목숨을 잃은 한국인 김아무개(28)씨도 검트리를 통해 만난 사람과 개인환전을 하려다가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 현지에 있는 이들은 검트리뿐만 아니라 직업을 찾을 때는 씩(www.seek.com.au), 집을 찾을 때는 리얼에스테이트(www.realestate.com.au) 등을 주로 이용한다.

한인 커뮤니티가 유일한 정보원이 된다면?


 각 도시별로 형성돼 있는 한인 생활정보 누리집을 통해서 구인구직·집·여행·중고물품 매매 등 다양한 거래가 이뤄진다.
각 도시별로 형성돼 있는 한인 생활정보 누리집을 통해서 구인구직·집·여행·중고물품 매매 등 다양한 거래가 이뤄진다.누리집 갈무리

한국인 워홀러 중 '영어가 안 되는 경우'는 조금 다르다. '호주바다' '호주나라' '애들레이드포커스' 등 한인 생활정보 누리집이 주요 정보원이 된다. 한인들이 모여 사는 호주 주요 도시마다 한인 생활정보 누리집이 형성돼 있는데, 시드니는 '호주나라'(www.hojunara.com), 멜버른은 '호주바다'(www.hojubada.com) '멜번의 하늘'(cafe.daum.net/melbsky), 애들레이드는 '애들레이드포커스'(www.adelaidefocus.com), 브리즈번은 '썬브리즈번'(www.sunbrisbane.com/korean.php)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누리집들은 본디 교포·유학생·여행객·워홀러 등이 모여 유학·이민정보를 비롯해 마트·음식점·집·일자리와 같은 생활정보나 여행정보 등을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다. 언어 장벽이 있는 한인의 정보 접근성을 높여 준다는 순기능이 있지만, 언어 장벽으로 인해 한인 생활정보 누리집이 유일한 정보원인 이들에게 부당한 거래를 제안하는 통로로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한인 누리집을 통해 거래되는 한인 셰어하우스는 불법적으로 작은 집에 많은 사람을 수용하는 경우가 많고, 또 소개되는 한인 잡(일거리)은 최저임금 기준을 지키지 않는 곳이 많다.


방 두 개에 다섯 명이 사는 한인 렌트

신수미(25, 여)씨는 지난해 9월 멜버른에 도착한 뒤, '호주바다' 누리집을 통해 집과 일자리를 찾았다. 신수미씨는 "처음에는 말(영어)이 안 되니까 일단은 한인 잡, 한인 집을 찾았다"고 했다. 그는 곧 멜버른 시티에 있는, 거실과 방 두 개가 있는 집에 살게 됐다. '마스터'라고 불리는 사람에게 일주일에 140호주달러를 내며 다른 여성 한 명과 같은 방에서 지냈다. 다른 방에는 남성 2명, 거실에는 여성 1명이 살았다. 그 집에는 일본인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한인이었다.

그러던 신씨는 어느 날 '인스펙션'(Inspection)이라는 것을 경험했다. 부동산에서 집주인을 동반해 거주 현황을 확인하고 돌아간 것. 이후 마스터는 계약을 해지 당했고, 집에 살던 다섯 명은 쫓겨났다.

인스펙션이란 집주인이 집을 세준 후, 세입자가 집을 계약대로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하러 집에 오는 것을 가리킨다. 한국에 고시원·게스트하우스 관련법이 있는 것처럼, 호주에는 셰어하우스 관련 규정이 있다. 인스펙션은 집주인의 권리이고, 세입자는 집주인이 적절한 절차에 따라 요구할 경우, 응해야 할 의무가 있다.

 마스터가 부동산에서 집을 빌려서, 셰어를 돌리는 구조를 도식화한 것. 렌트비 차액은 마스터의 수입이 된다.
마스터가 부동산에서 집을 빌려서, 셰어를 돌리는 구조를 도식화한 것. 렌트비 차액은 마스터의 수입이 된다.이애라

신수미씨가 살았던 집의 경우, 마스터는 '두 명이 살겠다'며 집을 계약한 뒤 다섯 명에게 렌트를 줬던 것이었다. 여기서 마스터가 한 행위를 소위 '셰어(Share)·렌트(Rent)를 돌린다'고 표현한다. 마스터가 부동산 또는 개인에게 집을 빌려, 다른 사람들에게 다시 렌트하면서 '주세'를 받아서 차액을 챙겼다(호주는 월급이 아닌 주급을 받고, 월세가 아닌 주세를 내는 게 더 보편적이다).

예를 들면, 방 두 개가 있는, 두 명 정도가 살아야 할 집을 주 400호주달러에 빌린 뒤 다섯 명이게 주 150호주달러를 받으며 빌려준다(총 750호주달러). 여기서 발생하는 차액은 350호주달러, 마스터는 이 돈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작은 집을 기준 인원보다 더 많은 이에게 빌려주다 보니 소위 '거실 셰어'(거실에 사람이 사는 것)라 불리는 거래도 생겼다. 거실셰어는 룸셰어보다 낮은 가격에서 거래되는데, 마스터는 적은 돈이라도 더 벌 수 있고, 셰어를 받는 사람은 돈을 아낄 수 있다.

지난해 10월 멜버른에 온 정희영(21·여)씨도 한인 셰어하우스에서 지냈는데, 그 집에는 거실셰어가 있었다. 정씨는 거실셰어에 대해 "(거실 셰어는) 저렴하다, 방은 두세 명이 같이 쓰는 반면 거실에 살면 혼자만의 공간이 있기 때문에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거실을 침실처럼 빌려주는 것은 호주에서 불법이다.

호주 물가를 고려하면 주 150호주달러짜리 방은 매우 저렴한 편이지만, 한국 돈으로 주 14만 원이 넘는 금액(월세로 환산하면 월 60만 원)이다. 낯선 땅에 와서 높은 물가에 놀란 워홀러들에게 '저렴한 방'은 매력적인 제안이다. 호주 법에 무지하고, 언어장벽이 있는 워홀러는 불법 렌트의 주 목표물이 된다. 셰어를 받는 사람들 중에는 불법인지 모르는 사람도 있고, 알면서도 저렴하기 때문에 사는 사람도 있다.

신수미씨는 그 집에서 쫓겨난 뒤, 마스터를 통해 또 다른 한인 셰어하우스를 소개받았다. 거실 셰어 두 명을 포함해 여섯 명이 함께 사는 방 두 개짜리 집이었다. 신씨는 "불법인 줄 알지만, 시티에 있는 한인 집이 아니면 너무 비싸서 어쩔 수 없었다"고 털어놨다. 이와 같은 불법 렌트는 호주 주요 도시 시내에서 유학생·워홀러 등을 중심으로 성행하고 있는데, 한인렌트, 한인 셰어하우스도 비슷한 맥락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관련 기사 보기).

한인 잡, 시급은 최저임금의 2/3

 워홀러들은 대부분 오지 잡은 텍스 잡(Tax Job), 한인 잡은 캐시 잡(Cash Job)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고용주가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임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데, 한인 잡은 대부분 이에 해당한다.
워홀러들은 대부분 오지 잡은 텍스 잡(Tax Job), 한인 잡은 캐시 잡(Cash Job)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고용주가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임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데, 한인 잡은 대부분 이에 해당한다.sxc

신수미씨가 한인 셰어하우스에 살 수밖에 없는 이유는 따로 있었다. 그가 시급 11호주달러밖에 받지 못하는 한인 잡을 택했기 때문이다. 신씨는 호주에 도착한 지 3주 만에 겨우 한인 잡을 구했다.

이곳에서는 한국인이 운영하는 가게에서 일하는 것을 '한인 잡', 호주 현지인이 운영하는 곳에서 일하는 것을 '오지 잡(Aussie Job)'이라고 부른다. 오지 잡을 구하려면 기본적인 영어가 돼야 하기 때문에, 호주에 처음 도착한 워홀러들은 오지 잡을 구하는 데 실패하고 한인 잡을 구하는 경우도 많다.

워홀러들은 대부분 오지 잡은 텍스 잡(Tax Job), 한인 잡은 캐시 잡(Cash Job)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고용주가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임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데, 한인 잡은 대부분 이에 해당한다. 또한 캐시 잡은 법외 고용인만큼 자연스레 최저 임금 기준 이하의 시급을 준다. 2013년 7월 1일부터 적용된 호주 만 20세 이상 성인의 최저 시급은 16.37호주달러지만, 신씨는 최저시급의 2/3 정도를 받고 한인 고용주 밑에서 일했다. 당연히 현금 박치기를 하는 캐시 잡이었다.

한인 잡→ 한인 렌트→ 한국어만 쓰는 환경

시티에 살던 신수미씨는 박스힐(Box Hill)에 있는 한식당에서 일했다. 시티에서 박스힐까지 하루 교통비만 약 12호주달러였지만, 박스힐은 한국인·중국인 등 동양인이 많이 사는 동네라 한인 잡이 비교적 많은 곳이었다. 시급 11호주달러를 받으며 주 28시간을 일해, 한 주에 약 310호주달러를 벌었다. 여기에 방값 150호주달러, 교통비 60호주달러 등 총 210호주달러를 내면 신씨 손에 남는 돈은 100호주달러였다.

이곳에서는 햄버거 세트가 8호주달러, 커피 한 잔이 5호주달러다. 남은 100호주달러는 한 주 생활비로 쓰기 빠듯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한인 셰어하우스가 아닌 다른 집에 살 엄두가 나지 않았던 것. 신수미씨는 "오지 잡을 구하기가 힘들어 한인 잡을 하면 수입이 적고, 그러다 보면 값이 싼 한인 렌트밖에 갈 곳이 없다"고 전했다. 이렇게 되면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지기 마련이다.

렌트를 돌리는 사람 중에는 워홀러도 더러 있다. 정희영씨도, 신수미씨도 워홀러가 렌트를 돌리는 집에 살았다. 신수미씨가 두 번째로 산 집의 마스터도 20대 중반 한인 남성이었다. 그는 "어차피 잘 맞지도 않는데(호주생활이 자신에게 잘 맞지 않은데) 이제 그냥 돈이나 많이 벌어갈까 싶다"며 밤새 마트 청소를 하고, 렌트를 돌려 돈을 모았다. 호주에 와서 청소일을 하고 있는 한인이 많아, 알음알음 소개를 받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한다.

운동경기장 청소를 하던 박희진(21·여)씨도 "호주에서 알게 된 한인을 통해 청소일을 찾았다"며 "업무 지시도 한국어로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청소 일자리를 일단 구하기만 하면 영어를 못해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마스터는 밤새 마트 청소를 하고 아침에 집에 와 TV를 보다가 낮에 잤다. 그리고는 밤에는 다시 일하러 가는 생활이었다. 그는 사람을 만나거나 영어실력을 향상하는 데 시간을 투자하지 않았다. 돈을 벌어 한국에 돌아가는 게 그의 목적이 됐다.

영어실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채 호주에 온 워홀러들도, 말이 트이지 않으면 '꿈꿨던 삶을 살기 힘들다'는 것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영어가 어눌하면 일을 구하기가 힘들다. 최저 임금을 보장받지 못하더라도 써줄 곳이 있으면 기꺼이 가서 일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 당연히 수입이 적어지고, 그 수입을 주세를 감당할 수 있는 저렴한 집을 찾게 된다. 결국 이런 이들이 찾는 곳은 불법 렌트다. 자연스레 매일 한국어를 쓰는 상황에서 살게 되고 영어를 쓸 수 있는 기회는 줄어든다. 이것이 언어 장벽이 있는 워홀러가 경험하는 '악순환의 고리'다. 호주를 기회의 땅이라 믿고 왔지만, 그 기회를 제대로 맛보지 못한 채 살아가는 일이 반복된다. '바다'가 '우물'인 줄 알면서도 '호주 바다'에서 생존 길을 찾을 수밖에 없는 게 이들의 삶이다.
#호주 #워킹홀리데이 #멜버른 #검트리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3. 3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4. 4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5. 5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