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에서 고니와 오리류에게 먹이를 주는 모습 (2009년)
한숙영
정부가 조류독감 확산을 막기 위한 대책으로 지자체들의 철새 먹이주기를 중단시켰습니다. 일부 지자체는 철새를 조류독감 확산의 주범으로 몰며, 철새 도래지에 대한 광범위한 항공 방역 대책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처들이 오히려 조류독감의 확산을 부추긴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조류독감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오히려 철새 먹이주기가 재개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환경연합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정부의 철새 먹이주기 중단 지침에 따라 순천, 서산, 파주, 고양, 창원, 구미, 철원, 창녕 등에서 야생 조류 먹이주기가 중단되었습니다.
이에 철새들이 먹이가 부족해지자 다른 지역으로 분산 이동하거나 민가에까지 접근하는 모습도 목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철새들의 이동과 접촉은 조류독감의 확산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철새들이 사람들이 주는 먹이주기에 의존하고 있는 이유는 바로 '곤포사일리지' 때문입니다. 소 여물로 쓰기 위해 추수 후 볕단을 말아놓은 이것 때문에 철새들의 주요 먹이인 낙곡이 줄어든 것입니다. 지속적으로 천수만 철새모니터링을 해 온 김신환 수의사는 "천수만 주변 농지에서 곤포사일리지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최근 2,3년 동안 매년 20~30만 마리가 찾아오던 가창오리를 볼 수 없게 됐다"고 이야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