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트림 하듯 시원하게 하늘로 올라가는 소나무

경남 함양 병곡면 도천리 소나무

등록 2014.03.19 14:59수정 2014.03.19 14:59
0
원고료로 응원
대한민국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는 무엇일까. 1위는 67.7%의 압도적인 지지율로 2위 대나무(5.6%)를 따돌린 소나무다. 이는 2010년 3월, 산림청에서 10년마다 실시하는 '우리 국민의 산림에 대한 의식조사' 결과다.

옛날에는 소나무로 지어진 집에서 아이가 태어나고 새 생명을 알리는 금줄에는 솔가지가 끼워졌다. 소나무로 밥을 지어 먹었다. 먹을 것이 없을 때는 소나무 껍질을 벗겨 먹고 살았다. 그리고 소나무로 짠 관에서 들어가 세상살이를 마무리했다.


그만큼 소나무는 우리 곁 가까이에 있다. 또한, 소나무 송(松)이라는 한자는 중국 진시황제가 길을 가다 소나기를 만났는데 소나무 덕으로 비를 피해 고맙다는 뜻으로 공작이라는 작위를 내려 목공(木公)이 됐다. 목공(木公) 두 글자가 합쳐져 송(松)자가 됐다고 전해진다.

나 역시 소나무를 좋아한다. 오죽하면 우리 집 아이들 이름 속에 '햇살 가득 머금은 푸르른 소나무처럼 옹골차게 살라'는 바람을 담아 '해찬솔'이라고 지었을까. 큰 애가 해찬, 둘째가 찬솔, 막내가 해솔이다.

 경남 함양 병곡면 도천리
경남 함양 병곡면 도천리김종신

처가에 가기 위해서는 경남 함양의 천 년 숲 상림공원을 지나야 한다. 상림공원을 지나 병곡면사무소 소재지에 다다르기 전에 도천리가 있다. 함양읍에서 병곡면과 백전면으로 가는 도로 옆에서 빗겨 들어와 보면 돌담 많은 진주(진양) 하씨 집성촌, 우루묵동네가 바로 그곳이다.

졸졸거리며 흐르는 개울과 돌담 사이를 걸어 마을 중간으로 나가면 하륜부조묘인 '진산부원군부조묘'를 만난다. 조선 건국의 주역이었던 정도전의 맞수였던 하륜 대감이 누구던가. 500년 조선의 근간이 될 각종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했던 이가 아닌가. 이 동네는 조선 시대 하륜과 달리 또 다른 삶을 살아간 근현대사의 인물이 있다.

 하륜대감 부조묘.
하륜대감 부조묘.김종신

먼저, 의사(義士) 하승현이다. 1919년 4월 2일 함양 장날 때 만세 시위를 주도하다가 일본 헌병은 총격을 받아 현장에서 장렬하게 순국했다. 이 소식을 듣고 달려온 하승현의 아버지 하재연과 숙부 하재익이 헌병에게 달려들자 총격을 가해 역시 순국했다.


또 한 사람은 이병주의 대하소설 <지리산>의 주인공 하준규의 실제 모델인 하준수다. 하준수라는 이름보다 '남도부'로 더 알려진 그는 부잣집 아들로 일본 유학까지 다녀온 지식인이었다.

하준수는 학도병 징집을 거부하고 지리산에 들어가 징집을 거부한 이들과 함께 '보광당'이라는 조직을 결성 항일 투쟁을 벌였다. 해방 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도 참여하기도 했다. 한국전쟁 때에는 빨치산 투쟁을 벌이다 1954년 대구에서 잡혀 1955년 처형됐다.


이렇게 파란만장한 인물들이 많았던 이 동네에 또다른 명물이 있다. 하륜부조묘를 나와 다시 10여 분 더 걸어가면 이 마을 할아버지들의 쉼터로 널리 이용된다는 느티나무가 나오고 느티나무에서 10m 거리에 경상남도 기념물 213호인 소나무가 있다.

 경남 함양 병곡면 도천리 소나무
경남 함양 병곡면 도천리 소나무김종신

나무 앞에 서 있는 안내판에 따르면, 이 나무는 수령이 350여 년이고 높이는 10m, 둘레는 2.8m, 하늘에서 사방으로 뻗친 가지의 폭은 20m라고 한다. 아래에서 바라보면 땅에서 박차고 나온 힘찬 형세의 나무 기운을 느낄 수 있다.

마치 용이 우물에서 나무를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형상이라 용천송(龍天松)이라 부른다고 한다. 특히나 소나무 아래에는 샘물이 있다.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해 즐겨 떠 마신다고 동네 사람이 귀띔을 해줬다. 떠 마실 바가지가 없어 아쉽게 입맛만 다셨다.

 <도천리 소나무> 밑 샘물터
<도천리 소나무> 밑 샘물터김종신

이 소나무는 출생 비밀과 전설을 가지고 있다. 하륜 대감의 후손 중에 하맹보가 이 우물 뒤에 터를 잡고 살았다고 한다(지금은 헐려 대나무가 심어져 형체를 알아보기 어렵다).

선생의 부인은 매일 새벽 이 우물의 맑은 물을 떠놓고 남편과 아들을 위해 기도를 드렸다고 한다. 남편은 충·효·예를 갖춘 공신(功臣)이 됐고, 아들도 벼슬을 지냈다고 한다. 아들이 어머니의 정성을 기리기 위해 우물 위에다 한 그루의 소나무를 심었는데 이 나무가 점점 자라면서 용이 승천하는 모습으로 변해 현재에 이른다고 한다.

 하늘로 승천하는 용의 형상을 한 용천송(龍天松)
하늘로 승천하는 용의 형상을 한 용천송(龍天松)김종신

빼어난 자태가 용트림하는 듯 시원하게 하늘을 올라가는 형상의 소나무 덕분에 기분마저 하늘을 나는 듯 상쾌했다.

이렇게 우리 곁에 있는 소나무를 지키기 위해 요즘 산림청을 비롯해 산림 관계자들이 고생이 많다. 치사율 100%. 걸리면 죽는 병. '소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소나무재선충병을 박멸하기 위해서다.

소나무재선충병에는 치료법이 없고 효과적인 예방법도 없다.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10월 부산 금정산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전국에서 784만 그루의 소나무가 말라죽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의 명줄을 끊는 재선충이라는 병원균과  재선충을 여러 소나무로 옮겨 주는 매개 곤충인 솔수염하늘소의 공생으로 피해 지역이 넓어진다.

재선충은 0.6~1mm의 작은 곤충인데 번식력이 무척 강해 재선충 한 쌍이 20일 만에 1주일 만에 20만 마리로 급속히 번식한다. 재선충은 솔수염하늘소의 몸 안에서 자라는데 한 마리의 솔수염하늘소가 약 1만5000마리의 재선충을 몸속에 지니고 있다.

 아래에서 바라본 도천리 소나무.
아래에서 바라본 도천리 소나무.김종신

몸 안에서 재선충이 일정 정도 자라면 솔수염하늘소는 재선충을 품고 주변의 소나무를 찾아 날아가는데 한 번에 날아갈 수 있는 거리가 4km라고 한다. 그렇게 옮겨간 재선충이 소나무 줄기를 파고들어 보금자리를 만들도 뿌리에서 잎으로 올라가는 수액을 빨아먹고 자라는 것이다.

또한, 수액이 이동하는 통로 수관(水管)마저 막혀 말라 죽는다. 말라 죽은 소나무는 솔수염하늘소의 최적의 산란장소가 된다. 날아온 솔수염하늘소가 날아와 알을 낳는다. 

아직 효과적인 대책이 없다고 한다.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린 소나무를 빨리 찾아내 더 이상의 감염을 막는 게 현재는 최선이라고 한다. 병에 걸린 소나무는 뿌리째 뽑아 불에 태우거나 술수염하늘소의 애벌레가 자라지 못하도록 3cm 미만으로 잘게 부수고 토막토막 잘라낸 나무를 비닐로 싸서 증기찜 처리한다. 소나무 반출을 금지하고 감시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고 한다. 소나무재선충병과 혈투를 벌이는 산림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할 뿐이다.
덧붙이는 글 산림청 블로그 <푸르미의 산림이야기> http://blog.daum.net/
#함양 도천리 소나무 #용천송 #소나무 #소나무재선충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2. 2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3. 3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4. 4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5. 5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