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을 침통한 슬픔에 빠뜨린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언론의 보도행태가 국민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확인되지 않은 내용의 보도가 난무하고, 인터넷매체들이 조회 수에 늘리기 위해 자극적인 기사를 쏟아내면서 한국 언론의 신뢰도가 땅에 떨어졌다.
이처럼 언론들이 확인되지 않은 내용을 기사화 하면서 오보를 양산하는 것은 무엇보다 언론사들 간의 무리한 속보경쟁과 기자 개개인의 무리한 취재 관행 때문이다. 정확하지 않은 내용이라도 타 언론사보다 먼저 속보를 내야 한다는 경쟁의식 때문에 기자들이 사실에 대한 확인이나 검증절차 없이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기사화 하면서 이런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이번 세월호 참사 보도에서 언론사들이 정부발표에 지나치게 의존하면서 오보를 양산했다. 언론은 재난대책본부나 정부기관의 공식적인 발표라 하더라도 철저한 자체 조사와 검증을 통해 진위를 확인한 뒤 기사화해야 한다. 만약 언론이 정부의 발표만을 받아 쓴 다면 우리사회에 더 이상 언론이 존재할 이유는 없다.
기자라면 정부가 발표한 내용이 틀릴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정부의 발표내용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그런데 이번 세월호 참사에 대한 한국 언론의 보도태도를 보면 이러한 언론의 기본적인 취재 원칙조차 지키지 않았다. 결국,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오보는 언론사의 무분별한 속보 경쟁과 출입처와 보도 자료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언론의 받아쓰기 관행이 그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언론의 잘못된 취재관행을 어떻게 바로 잡을 수 있을까? 먼저 언론은 정부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정보를 맹목적으로 받아쓰는 태도를 버리고, 정부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는 취재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영국 BBC의 경우 지난 2005년 런던 지하철 테러가 발생했을 당시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련소식을 늦게 전달했다. 왜냐하면 신속성보다 보도내용의 정확성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해 사실 확인을 하는데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BBC의 노력은 속보경쟁 보다 기사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언론의 사명이라는 사실을 우리에게 일깨워 주고 있다.
이와 함께 언론이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재난보도는 시청자나 독자 중심이 아니라 피해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매체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면서 세월호 취재과정에서 과거와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매체가 일제히 현장으로 달려가 속보경쟁을 벌이다 보니 무례하고 반인권적인 취재경쟁이 벌어지고,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기사화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난보도는 사실에 근거해 신중하게 보도하고, 희생자와 피해자의 입장에서 사안을 바라보는 자세로 보도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