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엄마야> 인권기록활동네트워크 '소리' 지음. 전국장애인부모연대 공동기획, 오월의 봄 펴냄.
오월의 봄
발달장애 아이는 블랙홀처럼, 엄마의 사랑과 시간 그리고 힘을 빨아들인다. 아이 때문에 아내와 남편은 각방을 쓴다. 장애 아동은 엄마를 '독점'한다. 타이르고 양해도 구해보지만, '소리도 못 내고, 뚝뚝 눈물을 흘릴 만큼' 다른 자식들은 '편애'에 상처받는다. 엄마 자신도 어느새 우울증, 조울증에 걸린다. 다음 구절을 읽으면서 마음이 아팠다.
'인터뷰를 하는 동안 어떠한 질문을 던져도 기록자와 구술자의 대화는 결국 자녀와 관련된 이야기로 수렴되었다. 내가 좋아하는 것, 나의 꿈, 내가 나의 삶에서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지를 묻는 질문 앞에서 그녀들은 생경한 무언가를 만난 듯 머뭇거렸다.' 지체장애인은 인지능력의 장애가 없기에 자기의사를 표현하고, 자기가 결정하며, 사회적 관계를 맺고, 당면한 문제를 풀어간다. 그러나 발달장애는 이 모든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엄마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을 것 같은 아이'를 이해하는 일부터, 소아정신과·특수치료실 등을 찾고 등록하고 치료하는 전 과정에 매달려야 한다.
특별한 보통 아이들의 소원, 일-관계-기쁨장애가 있는 아이를 엄마에게, 혹은 가족에게 온전히 고립시킬 때, 우리 사회는 일견 '효율과 편리'를 누리는 것 같다. 그러나 '인권'의 문제를 외면할 때, 우리가 지닌 '진보'의 힘 역시 차단된다.
차도에서 인도로 넘어가는 모든 턱을 없앴을 때, 모든 공공화장실에 경사로를 만들었을 때, 지하철마다 엘리베이터를 두었을 때, '이동권'의 혜택은 사회의 약자들과 공공 모두 돌아갔다. 거기에서 삶을 바라보는 새 관점이 생겨났다. 지금 과제는 무엇일까?
2014년 5월 발달장애인법(발달장애인 권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 통과되었다. 그 덕에 활동보조인이 아이들 집으로 왔다. 산책하고, 함께 운동해 주는 잠시 동안의 '엄마'가 생겼다. 엄마들에게 숨 쉴 여유가 생겼다. 오래 찾은 끝에 공립 '통합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겼을 때 가졌던 그 안도감이다. 그러나 아이들은 다시 엄마의 집으로 돌아온다.
발달장애인도 일을 구해야 하고,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하며, 스스로를 찾아 존엄의 감정을 가져야 한다. 그것이 발달장애가 있는 자녀를 둔 엄마들의 꿈이다. 그리고 당연히 이 과제들은 우리 인간 모두가 기본권으로 누려야 할 권리이기도 하다. 그들이 가질 수 있다면, 우리 모두 가질 수 있다.
점과 점만으로 삶은 유지되지 않는다. 삶은 최소한 선이어야 하고, 면으로 나아갈 지향을 가져야 한다. 지역사회가 아이들의 주거모델을 함께 생각하고, 각자에 맞는 직업교육을 해내고, 작은 힘으로 이들을 돕는 자조단체를 지원하고. 사회와 국가가 나설 영역이 아직 남았다. 각자의 삶이 이어져 풍요로운 전체를 이루어야 한다. 이건 가능한 삶이다.
발달장애인 위한 지도 겸 탐험기 이 책은 곳곳에 눈물과 절절함이 묻어나는 '고난의 일기'다. 미지의 길을 기록한 탐험기다. 그런데 그 아픔과 슬픔 안에서 위로를 느끼게 된다. 부조리하게 주어진 가혹함 안에서도, 사람들이란 용기를 일으키고 평정을 창조하는 존재였다.
"저 바보 같은 게 아직 글을 모르나, 바보 아닌가!" 이렇게 주제넘은 참견을 하는 사람들에게, 엄마는 이제 댓거리 할 용기를 낸다. 유야무야 넘어가려는 학교폭력을 사회 이슈로 만들고, 소모임을 조직으로 성장시키고, 단지 가능성뿐이었던 희망을 정책과 제도로 엮어간다. 그 힘이 모두 이 엄마들의 심장에서 나왔다.
1911년 12월에 아문센은 남극을 밟았다. 다음해 1월 스콧이 그 뒤를 이었다. 아문센은 뒤에 올 스콧을 위해 침낭, 장갑, 육분의, 측고계를 대피소에 남겼다. 그러나 스콧은 고향에 가지 못하고 죽었다. 스콧은 대신, 일어난 모든 일들을 기록으로 남겼다. 그는 축음기도 여정에 동행시켰다. 그는 본래부터 자신의 여정을 학문적인 탐험으로 여겼고, 그것이 인류를 위해 쓰이길 바랐다.
최초의 남극탐험 기록보다 소중한 것은 여정 그 자체에서 보여준 그들의 인간애이다. 이 책 <그래, 엄마야> 역시 기록되어 남았다. 이 '소리'들은 때로 지도가 될 것이다. 장애를 넘어 성장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은 공명(共鳴)으로도 울릴 것이다.
그래, 엄마야 -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엄마들의 이야기
인권기록활동네트워크 ‘소리’,
오월의봄, 2016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6
글 읽고 글 쓰고, 그림 그리고 사진 찍고, 흙길을 걷는다.
글자 없는 책을 읽고, 모양 없는 형상을 보는 꿈을 꾼다 .
오마이뉴스 편집기자. <이런 제목 어때요?> <아직은 좋아서 하는 편집> 저자,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 공저, 그림책 에세이 <짬짬이 육아> 저자.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