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성과를 냈지만 정치 후폭풍에 휩쌓인 한중도서전 올해 난창, 충칭, 난징에서 진행되어 많은 성과를 냈지만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로 실행에 곤란을 겪고 있다
조창완
이런 상황에서 사드로 인한 문화콘텐츠 산업의 절벽은 더욱 위기를 부추긴다. 이미 한국 방송 콘텐츠에 대한 유통은 금지 상황이며, 도서 등 조용히 진행되던 다른 분야도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중소출판협회가 주관해 올해 난창, 충칭, 난징 등에서 열린 한중도서전 행사에는 수백만 달러 이상의 판권 교역이 이뤄졌다. 하지만 사드 발표 이후 중국 당국에서 한국 책에 대한 도서관납본허가(CIP)를 막아 한국 관련 서적 등의 중국 출간 길이 막혔다.
제조업을 대신할 서비스산업의 대표인 관광산업에 불어오는 먹구름도 마찬가지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부터 한국 관광객을 20% 이상 감축하려는 조치에 들어갔다. 1000위안(우리돈 17만원) 이상으로 현지비용 관광을 오려고, 하루 1곳 이하로만 쇼핑을 하게 하는 등 저가관광을 없애겠다는 취지지만 관광업계에 불어 닥치는 위기감은 이미 극에 달했다. 타이완의 경우 차이잉원 총통이 당선된 이후 두 개의 중국을 인정하지 않는 조치로 인해 단체 관광객이 절반 이상 주는 등 폐해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한국 역시 다르지 않다. 9월까지 집계된 중국 관광객 수는 633만명으로 이미 지난해(598만명)를 초과했다. 물론 단체 관광객에 비해 개인 관광객의 숫자가 많고, 증가추세라 단체 관광객 중심으로 진행되는 중국 정부의 관광객 축소는 영향이 덜할 수 있지만 중국 내 반한 이미지가 확대되면서 발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중국 관광객도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향후 중국 정부의 조치가 어느 쪽으로 확대될 수 없다는데 있다. 사드 도입이 본격화되면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는 강도의 조치가 나올 것으로 대부분 예측하고 있다. 중국 내 저명한 대학인 상하이 푸단대 국제대학원 우신보 부원장은 필자가 편집을 책임지고 있는 차이나리뷰에 사드 도입은 "한국이 중국의 등에 칼을 꽂는 행위"라고 비난할 만큼 중대한 사항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한국 정부 내에서 이런 상황을 인지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국내 대표적인 중국 학자인 서울대 국제대학원 조영남 교수를 비롯해 경희대 법무대학원 강효백 교수 등도 사드는 중국의 전략적 핵심문제인 만큼 시진핑 주석 조차도 방향을 바꿀 수 없는 중대사안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들의 입장에 귀 기울이는 이는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