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배 구청장이 성북구 공정무역 진행 추이를 발표하고 있다.
윤연정
김 구청장은 "행정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지방 정권이 가진 의무와 시민들의 권리라는 관계'에 대한 법리를 어떻게 마련한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 매우 중요하다"며, "성북구는 보장할 수 없는 것을 명문화하지 않고, 작동하지 않을 것을 조례로 만들지 않는 원칙을 지키려 한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현재 법률, 규정, 자치 조례, 관행 등이 기존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 '작동하고 보장해야 한다'는 원칙을 그대로 따르기는 쉽지 않다. 이에 성북구는 공정무역을 정책 프레임으로 다루면서 방향성을 찾았다.
김 구청장은 "작동하고 보장받는 것은 행정적인 것보다 사람들의 삶 속에서 제대로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성북구는 '동행'이라는 키워드로 모든 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성북구는 '동행계약서'로 갑과 을의 관계가 아닌, 서로 필요해서 맺는 계약서를 아예 제도화하겠다고 선언했다. 김 구청장은 "이 모든 게 다 시민들이 끌어낸 것"이라며, "결국 경제적 행위도 어떤 행위나 원리가 더 좋고 옳은 것인가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하는 것과 같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영배 성북구청장은 최근 송파구에 283명의 경비원이 전원 해고 되는 사태를 비판했다. 무엇이 미덕인지에 대한 판단도 결국 공동체의 의사결정 문제에서 나오는 것이라는 철학을 들려줬다. 이는 공정무역이 직시하는 가치판단의 문제와도 직결된다. '자유무역이 옳은가, 공정무역이 옳은가, 자국 우선주의가 맞는가'에 대한 합의가 지금 이 시점에 중요한 대목인 이유다.
정부 성격은 예산세 보면 나온다, 결국 우선순위의 문제공정무역 인프라를 닦는 문제는 김영배 성북구청장에게도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매년 예산을 어떻게 분배하고 특히 공정무역에 얼마큼 투자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은 모든 시,군,구 기초자치단체 의원들의 공통된 고민이다.
"예산 문제는 철학이자 가치다. 예산이 없어서 못 한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실행하는 속도와 규모에 차이가 있을 뿐, 해야 하는 일이면 예산과 상관없이 하게 되어 있다."김 구청장은 공정무역과 다른 사회적 사업에 필요한 예산을 어디서 확보했을까? 토목과 예산을 줄여 매년 30억 원씩 마련했다. 토목과에서 필요한 사업들은 기존 사업을 제외하고 신규 사업은 거의 안 하는 쪽으로 우선순위를 정해 예산을 운용한 덕분이다.
2016년 8월에 만들어진 '페어라운드' 공정무역 센터도 결국 공공국가의 공정성이라는 가치를 중요시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는 "공정무역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볼 때 균형 있는 자산 운용과 활용이 과연 되는가의 문제가 가장 크다"며 "공정무역에 관한 인식 문제를 포함한 현실적인 재정적 문제들 모두 여전히 풀어야 하는 과제"라며 말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