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3년간 떨어져 지내야 한다는 게 못내 서운하긴 해도, 아이의 대안학교행을 아빠로서가 아니라 현직 교사로서 바라는 이유가 있다. 물론 모든 대안학교가 다 그렇진 않겠지만, 노작교육이 교육과정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pixabay
앞으로 3년간 떨어져 지내야 한다는 게 못내 서운하긴 해도, 아이의 대안학교행을 아빠로서가 아니라 현직 교사로서 바라는 이유가 있다. 물론 모든 대안학교가 다 그렇진 않겠지만, 노작교육이 교육과정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밭에 나가 농작물을 심고 길러 수확하는 일련의 과정을 직접 몸으로 경험하게 하는 건 모든 교육의 기본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
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우, 노작교육은커녕 주당 한두 시간의 체육수업을 제외하면 하루 종일 건물 밖으로 나갈 일이 거의 없다. 점심시간 급식소엘 가고, 쉬는 시간 화장실에 다녀오는 것 말고는 몸을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거친 비유일 테지만, 아이들의 일과를 보면 달걀을 많이 낳고 살을 찌우기 위해 비좁은 축사에 갇혀 옴짝달싹 못하는 닭과 소가 연상될 정도다.
아이들의 극심한 편식이 어릴 적부터 자극적인 패스트푸드에 길들여진 탓이라면, 급식소마다 골칫거리인 잔반을 남기는 문제는 바로 초중고 과정에 노작교육이 없기 때문이라고 본다. 식판 위에 놓인 밥과 반찬이 대체 어디서 어떻게 재배되는지 단 한 번도 생각해본 적 없는 아이들이 농부의 땀과 음식의 소중함을 느끼지 못하는 건 당연지사다. 그저 음식은 돈 주고 사는 수많은 '물건' 중 하나로 여길 뿐이다.
나물은 젓가락 한 번 닿지 않은 채 그대로 버려지고, 생선구이는 몸통 한 번 후벼진 후 고스란히 잔반통으로 들어간다. 심지어 좋아하는 돈가스나 스테이크조차 어떤 날은 맛이 없다며 한두 번 베어 물고는 버려지기 일쑤다. 매주 한 번씩 '잔반 없는 날'을 지정, 운영해도 넘쳐나는 잔반통을 감당하기 쉽지 않다. 잔반통을 치울라치면 아예 식탁 위나 바닥에 쏟아버리기 때문이다.
자신들이 손수 정성들여 키운 농작물이 식판에 오른다 해도 그렇게 행동할까. 요리 솜씨가 변변치 않아 아무리 맛이 없다고 해도 차마 버리진 못할 것이다. 투정하며 버리기는커녕 자신들이 기른 것이라 서로 으스대며 식판에 묻은 양념 하나 남기지 않고 깨끗이 먹게 될 것이라 확신한다. 이른바 '밥상머리 교육'을 따로 시킬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모내기', '김매기'조차 암기해야 하는 현실노작교육의 필요성은 급식소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게 아니다. 내실 있는 교과 수업을 위해서도 절실하다. 한국사 수업 중 벌어진 '웃픈' 실화다. 진도를 나가다 말고, 인터넷을 연결해 사진가 영상을 띄워가며 아이들에게 단어의 뜻을 일일이 설명해주느라 애를 먹었다. 명색이 고등학생들인데, '모'와 '벼'를 구분하지 못하고, '김매기'가 무엇인지, '이랑'과 '고랑'의 차이가 뭔지, 마치 외국어처럼 낯설어했다.
한번은 '무릉도원'을 설명하며 복숭아나무에 꽃이 만발한 광경을 상상해보라고 했더니, 대뜸 복숭아가 나무에서 열리는 게 맞느냐는 황당한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과일 중에 특히 복숭아를 좋아한다는 그는, 정작 태어나 복숭아나무를 한 번도 본 적 없다며 머리를 긁적였다. 하긴 참외와 딸기가 나무에서 열리는 줄 알았다는 아이들이 태반인 현실에서, 그다지 놀랄 만한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기본적인 단어의 뜻조차 모르는 마당에 교과서를 읽고 진도를 나가는 건 무의미할 수밖에 없다. 이제와 생각해보니 아이들이 한국사를 두고 죄다 암기해야 하는 골치 아픈 과목이라 여기는 게 이해가 간다. 마치 낯선 영어 단어나 수학 공식 암기하듯 우리말을 맹목적으로 외우고 있으니 말이다. 인명과 관직, 사건과 연표 등은 그렇다 쳐도, '모내기'와 '김매기'조차 암기해야 하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수업 도중 교실 뒤 게시판을 보니 복잡한 수학 공식과 문제 풀이 과정이 빼곡하게 적혀 있다. 배각공식, 반각공식 등 이름만 들어서는 당최 알 수 없는 내용들로 가득하다. 대입을 준비하는 고등학생이라면 몰라서는 안 되는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 했다. 지금껏 복숭아나무를 단 한 번도 본 적 없다는 그 아이도 수학 문제 푸는 건 잘 해낼 자신 있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대학입시가 인생의 많은 부분을 좌우하는 강퍅한 현실이라지만, 영어와 수학만으로 세상을 잘 살아갈 수 있을까. 아무리 허황된 이상이라고 손가락질해도, 무인도에 홀로 남겨져도 살아남을 수 있고, 이웃과 더불어 공동체를 꾸리며 살아갈 수 있는 역량과 심성을 갖추도록 하는 게 교육의 본령이라고 믿는다. 노작교육이 국영수보다 백배는 더 중요하다고 믿는 까닭이다.
부디 내 아이가 흙 내음 맡으며 땀 흘릴 줄 아는 어른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 대안학교를 택한 이유는 달라도, 아이 역시 아빠의 이런 생각에 공감하리라 믿는다. 조금 더 욕심을 부린다면, 일반계고에서도 노작교육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면 좋겠다. 더 이상 아이들의 머릿속에 지식만 욱여넣는 수업 말고, 땀의 소중함을 깨닫는 교육이 병행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3
잠시 미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내 꿈은 두 발로 세계일주를 하는 것이다.
공유하기
대안학교 간다는 아들, 교사아빠가 응원하는 이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