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책회의 참석한 김병준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유성호
"시민단체의 문건 입수 경로가 저도 궁금하다. 시민단체가 어떻게 그런 중요한 정부 문건을 입수했는지 밝혀지면 좋겠다."국군 기무사령부가 계엄령을 준비했다는 군인권센터의 폭로에 대해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기자간담회에서 내뱉은 발언이다. 말의 행간에서 김 위원장이 문건이 작성된 경위와 배후보다 시민단체가 문건을 입수한 경위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기무사의 계엄 검토 문건 파문에 큰 충격에 빠진 시민들과는 상당한 거리감이 있는 인식이다.
물론, 김 위원장의 발언이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다. 그는 지난달 30일 기무사 계엄 검토 문건에 대해 "내란 음모로 보기에는 과도한 해석", "질 낮은 위기관리 매뉴얼"이라 밝히는 등 속내를 드러낸 바 있다. 그러나 기무사 계엄 검토 문건은 계엄의 선포와 이후의 이행 방안들이 아주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담겨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위기관리' 수준으로 치부할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실제 계엄 검토 문건에는 계엄 포고문, 군 병력 동원 계획, 국회 무력화 및 언론 장악 방법, 미국 정부로부터 계엄 인정을 받기 위한 외교적 조치 등이 총 망라돼 있다. 이같은 사실은 군의 계엄 준비가 소요사태를 대비하는 수준을 넘어 계엄 실행까지 고려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생각은 다른 모양이다. 그는 헌정 중단을 기획한 기무사 계엄 검토 문건을 "질 낮은 위기관리 매뉴얼"이라 평가한 데 이어, 문건의 작성 경위와 배후보다 유출 경위가 더 중요하다는 듯이 말하고 있다. 전형적인 '본말전도'다. 침몰 위기에 빠져있는 제1야당을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 비대위원장 직을 수락한 그가 한국당의 과거 행태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김 위원장의 인식과 태도는 한국당의 과거와 판박이다. 왜 그럴까. 시간을 잠시 거꾸로 돌려보자. 지난 2014년 박근혜 정부 비선실세로 알려진 정윤회씨의 국정 개입 의혹이 터지자 당시 청와대와 여당은 물타기에 들어갔다. 논란의 핵심이었던 비선 측근들의 국정개입 의혹의 실체를 밝히는 대신 문건 유출을 국기문란으로 규정하며 본질 흐리기에 나선 것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문건 유출은) 있을 수 없는 국기문란 행위"라고 못을 박았고, 새누리당(현 한국당)은 논란 확산을 막기 위해 당력을 집중시키는 듯했다. 비선 측근의 국정농단 의혹에서 시작된 이른바 '정윤회 문건' 파동은 시간이 지나면서 문서 유출 사건으로 변질됐다. 결국 청와대 문건을 유출한 혐의로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과 박관천 전 행정관이 기소되면서 파문은 일단락되고 만다.
'정윤회 문건'의 본질은 대통령 비선 측근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의 실체 규명에 있었다. 문건의 작성 경위와 내용, 정씨와 '문고리 3인방' 등 문건에 이름이 올라 있는 측근들의 국정개입 의혹을 명명백백하게 밝히는 것이 핵심이었다는 의미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과 청와대, 새누리당의 대응 방식은 그와는 거리가 멀었다. 대통령은 수사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고, 청와대는 문건 유출 경위를 밝히는 데 집중했으며, 새누리당도 이를 측면에서 지원하는 듯한 모양새를 보였다.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비위를 감찰하던 중 감찰 내용을 특정 언론사에 유출했다는 혐의를 받고 물러난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다. 애초 이 사건은 우 전 수석의 비위 의혹을 밝혀내는 것이 관건이었다. 의혹은 우 전 수석의 처가와 넥센의 부동산 거래 당시 금전적 이익 제공에 우 전 수석이 관여한 것이 아니냐는 것에서부터 시작됐다. 이후 아들의 보직 특혜 의혹과 가족회사인 '정강'의 횡령 의혹 등이 더해지며 우 전 수석을 둘러싼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게 된다.
김병준 위원장의 인식이 우려스러운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