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추구할 권리’만 보장하고 ‘행복할 권리’에는 무심한 각자도생의 원리는 현재의 변호사 양성시스템에서도 작동 중이다. 사회적 약자들에게 있어 ‘변호사를 추구할 권리’는 보장되어도 ‘변호사가 될 권리’는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박은선
영화 '행복을 찾아서' 속 주인공 크리스의 독백이다. 당장 잠잘 곳도 없는 그는, 다섯 살 아들을 화장실 바닥에 잔뜩 휴지를 깔고 눕혀 재우며 밤새 눈물을 흘린다. 그리고 흘린 눈물만큼 노력한다. 낮에는 세일즈를 하고 밤이면 노숙자 쉼터에서 아이를 재워놓고 달빛에 의지해 공부하며 행복을 찾고 또 찾는다. 영화는 해피엔딩이다. 그가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는 주식중개사 시험에 합격한 거다. 그 감동은 이 영화의 크리스 가드너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는 엔딩 크레딧으로 한층 더해진다.
처절하도록 비참했던 가난한 흑인의 성공 스토리는 우리에게 말한다. 누구든 열심히 행복을 추구하면 행복해질 수 있으니 힘을 내라고. 그 메시지는 영화 제목에도 담긴다. 포스터에 쓰인 영화 원제 'the pursuit of happiness'를 보면 'happi만 빨간 글씨로 강조돼 있다. 감독은 영화 속 크리스의 절규로 그 이유를 설명한다. 벽에 자꾸만 'happyness'란 낙서가 있자 크리스는 지우고 지우며 소리친다. "y가 아니야!, i라고 i!" 영화는 말하는 거다. 왜 행복하지 못한지 묻지들 말라고, 따지지도 말라고. 내가 노력하면 이룰 수 있는 거라고.
하지만 뒤집어 생각해보자. 크리스는 해냈다. '행복을 추구할 권리'만 보장된 정글 같은 현실 속에서, 세상을 향해 '왜(y:why)'냐고 따져묻지 않고 오직 '나(i)'의 힘으로 행복을 쟁취해냈다. 그런데 영화에 따르면 크리스는, 어려운 큐브를 단 몇 분 만에 맞춰 입사하고 싶은 회사 관리자의 마음을 흔들 정도로 아이큐가 높다. 그래서 가능했다. '특별하기에' 그는 다른 노숙자들과 달리 가난해도, 흑인이어도 주식회사에 들어가 성공하고 그의 삶이 영화로까지 만들어질 수 있었다. 반대로 하면, 그가 그저 평범한 흑인 노숙자에 지나지 않았다면 노숙자쉼터를 벗어나기 어려웠을 거란 얘기다.
'행복을 추구할 권리'만 보장하고 '행복할 권리'에는 무심한 사회. 크리스는 성공했대도 진정 약자를 배려하는 사회는 아니다. 그런데 그런 각자도생의 원리는 현재의 변호사 양성시스템에서도 작동 중이다. 사회적 약자들에게 있어 '변호사를 추구할 권리'는 보장되어도 '변호사가 될 권리'는 보장되지 않는다.
과거 사법시험 때도 그랬고, 아직 다른 많은 고시들은 '자격을 추구할 권리'만 보장한다. 그러나 로스쿨 설립 초기, '등록금이 학기당 천만 원이 넘는 로스쿨 제도에서 저소득층 등은 변호사 못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특별전형'으로 이들을 입학시켜 로스쿨에서 교육으로 변호사를 만들겠다고 홍보했던 로스쿨이다. 하지만 특별전형자들은 말한다. 지금의 로스쿨은 사법시험체제와 다를 바가 없다고. 소수의 용만 변호사가 될 수 있을 뿐, 학원강의 하나 쉽게 듣지 못하는 대부분은 빚만 안은 채 버려지고 있다고. 아니 사법시험체제와는 다르다고 희망고문까지 당했으니 오히려 더 가혹하다고.
'로스쿨에 입학은 해도 실제 변호사가 되는 이들은 거의 없는 특별전형 입학자들', 그리고 '취업 시기를 놓쳐 나이와 빚만 많아진, 청년실업 지원대상자도 되지 못하는 로스쿨형 청년실업자들'. 이들은 그저 로스쿨이 빚어낸 작은 부작용에 지나지 않는 걸까? 어쩌면 이들의 눈물과 아픔 자체가 로스쿨의 취지 퇴색의 반증은 아닐까? 이에 대한 특별전형 출신이라는 익명을 요구한 한 변호사의 답변은 우리에게 큰 의미를 시사한다.
"특별전형은 로스쿨 설립의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기에 특별전형자들의 변시 대거 탈락이 문제란 생각은 모두가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법전협이 최근 이를 '변시 사회적 약자 전형' 등을 도입하여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이는데 그것은 문제의 바른 해법이 아닙니다. 청년실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로스쿨 졸업자도 취준생 지원금을 받도록 법령을 손보는 게 진짜 대안일까요? 문제는 그게 아닙니다. 갈수록 낙오자를 많이 만들어내고, 갈수록 더 많은 이들이 더 오랜 기간 더 많은 고시낭인으로 살아야 변호사가 될 수 있게 하는 지금의 변호사 배출 시스템 자체가 문제이고 이것을 고쳐야 합니다. 본질을 회피해서는 안됩니다."
기사를 마치며 특별전형 입학자들의 변시 합격률은 '개인정보'라며 공개를 거부한 법무부. 또 변시 합격률은 80%가 넘는다며 로스쿨의 청년실업 문제는 외면하는 법무부. 그런 법무부에게 위 답변이 전달됐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지금 법무부의 모습을 보자면 기자가 고등학교 때 외운 다음의 영어 숙어 하나가 자꾸 생각나니 말이다.
beat around the bush : 변죽을 울리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9
고등학교 사회과 교사였고, 로스쿨생이었으며, 현재 [법률사무소 이유] 변호사입니다. 무엇보다 초등학생 남매둥이의 '엄마'입니다. 모든 이들의 교육받을 권리, 행복할 권리를 위한 '교육혁명'을 꿈꿉니다. 그것을 위해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글을 씁니다. (제보는 쪽지나 yoolawfirm@naver.com)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