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왼쪽부터), 추미애, 김두관, 이재명, 박용진,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대선 후보자 토론회를 앞두고 기념촬영 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구도가 이재명 후보의 '1강' 체제로 굳어가는 분위기다. 하지만 그를 추격하는 다른 후보들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23일에는 정세균·박용진 후보가 공공분야의 기득권을 타파하자며 직무급제 도입, 행정고시 폐지 등 새로운 화두를 던졌다. 김두관 후보도 '교육자치' 공약을 발표했다.
이날 두 사람은 연이어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을 찾으며 공약을 발표했다. 그런데 이들이 모두 제안한 정책이 하나 있다. 연공서열이 아닌 업무기반으로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급제'다. 두 사람은 "연공(서열)에 따라 임금이 상승되는 연공급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불공정한 임금격차를 조장하는 핵심 기득권(박용진)", "세대간 갈등, 개인의 의욕 감퇴, 그리고 경제적 생산성 저하 등을 피할 수 없다(정세균)"는 비슷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다.
박용진 후보는 "노동이 창출하는 가치에 따라 임금이 지급되는 직무급제로의 전환을 추진해야 한다"며 직무급제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이라는 공정성의 원칙에 부합하는 임금체계로서, 우선 공공부문부터 직무급제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세균 후보도 "이미 민간기업들은 앞서 나가고 있다. 공직사회도 변해야 한다"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공기관의 임금구조를 직무에 기반한 임금체계로 조속히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정세균] "연공서열제, 세대갈등 등 못 피해... 행시·경찰대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