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톡방에 올라온 '음식업 허가총량제'에 대한 의견
권성훈
"식당을 운영하고 싶다면 일정한 자격요건과 교육을 통과하고 소비자 수요에 맞게 일정한 수준에서 개업하고 관리되어야 합니다."
"자영업 영역의 진입장벽을 높여 무분별한 창업을 제한하게 되면 (근로자의) 퇴직 이후 진로에 대한 (정부의) 더 적극적인 재취업 제도개선이 이루어질 것이고, 현재 자영업자의 극단적인 경쟁상황도 나아질 수 있는..."
"미국은 지자체에서 조사 후 허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묵은 논제였던 음식점 허가총량제
'위기의 자영업' 하면 음식점이 떠오를 정도로 관련 시장의 과포화로 인한 부작용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이 때문에 외식업계 입장에서 '음식점 허가총량제'는 새삼스럽지 않은, 해묵은 논제였다.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갑질' 분쟁이 한창이던 2015년, 가맹 본사의 갑질을 주제로 한 언론사가 주최한 토론회에서도 '음식점 총량제'가 언급되기도 했다.
당시 토론회에서 본사 '갑질'의 근분 문제는 기업의 과욕을 견제할 수 없는 기울어진 운동장이 핵심이겠지만, 외식업계의 낮은 진입장벽으로 인한 난립도 문제라는 지적이 나왔다. 달리 말해 과거 인심 좋았던 본사들이 돌변한 배경에는 치열한 경쟁에 생존의 위협을 느낀 본사가 '가맹점 압박'이란 쉬운 방법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음식점 허가 총량제'도 하나의 방법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2018년 10월 국회에서 열린 '배달앱정책 토론회'에 참석한 이성훈 세종대 교수 또한 인구 대비 자영업자의 수가 많은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그 해결 방안으로 '자영업 총량제'를 제안했다.
불나방 또는 선택할 수 없는 선택지
이재명 후보는 '허가총량제' 논란에 더불어 '불나방' 발언으로 구설에 휩싸였다고 한다. 외식 자영업계 한복판에서 십수 년 활동하고 있는 필자에게도 그 발언이 조금 자극적으로 다가왔다.
불나방이라기보다는 선택지가 없는 경우가 더 많았기 때문이다. 결혼과 육아로 불가피하게 경력 단절을 겪어야 하는 여성들은 물론 퇴직을 앞둔 중년 남성들의 재취업이 사실상 불가한 지금, 우리나라 현실에서 이들에게 주어진 선택지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혹자는 흔히 '공장이라도 가라! 기술이라도 배워라'라고 한다. 하지만 돈이 가장 많이 필요한 중년의 가장들이 기술을 배운다고 한들, 도제식 교육이란 명분 탓에 최저시급도 받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공장의 대다수 단순 노무직은 연장에 야근까지 해야 '300만 원'이란 돈을 손에 쥘 수 있는데, 그런 현실을 견딜 수 있는 사람들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어찌 되겠는가? 내 손에 쥔 로또 종이가 1등이 되리라는 불나방(?) 같은 심리로 창업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도 음식 조리에 재능이 있어서가 아니라 '내가 평소 그 음식을 좋아한다'는 허술한 이유로 말이다.
풍전등화 외식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