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이 전국 86개 시험지구 1,300여 시험장에서 일제히 열린 지난해 11월 18일 오전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제15시험지구 제20시험장) 시험장에 입실한 수험생들에게 감독관들이 유의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임인년 새해가 밝았다. '검은 호랑이의 해'라니 이름만으로도 기대감이 서린다. 왠지 신비로운 호랑이의 기운으로 암울했던 2년의 코로나 암흑기가 물러갈 것 같기도 하고, 무엇보다 올해는 대통령 선거도 있으니 새로운 시작에 대한 기대감이 꿈틀꿈틀한 충만한 새해가 아닐 수 없다.
기대감을 이끌고 1월 3일, 신정 연휴가 끝난 월요일에 첫 발걸음이 향한 곳은 다름 아닌 동네 서점이었다. 늘 그렇듯이 요맘때 학원이 즐비한 상가 1층의 서점은 교재와 문제집을 사러 온 학생들과 엄마들로 문전성시를 이룬다. 출판사에서 도착한 각종 책더미들로 서점 안은 발 디딜 틈도 없이 북적북적함은 물론이고.
인파에 놀라면서도, 내가 사려는 문제집이 동이 날까 싶어 얼른 매대로 달려갔다. 몇 권의 문제집을 뽑아오면서 문득, 숨 막히는 교육열에 가슴이 답답해졌다. 습관적으로 아이의 다음 학기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문제집을 꺼내 들면서 말이다.
완전히 다른 입시 치를 두 아이... 한숨이 나온다
이제 고등학생이 되는 첫째 아이와 초등 6학년이 되는 둘째 아이는 겨우 네 살 터울이다. 흔하디 흔한 나이 차이인데, 이 둘이 겪게 될 고등학교 생활, 나아가 대입 선발의 방식은 판이할 것이라고 한다. 큰아이의 대입정책도 아직 다 숙지하지 못했는데, 둘째는 완전히 다른 입시를 치를 것이라고 하니 벌써 한숨이 나온다. 대체 이놈의 입시는 왜 이리 자주 바뀌는지.
2025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될 '고교 학점제' 이야기다. 둘째는 '고교 학점제' 시행 2년 차에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고교 학점제'란 학생들이 진로에 따라서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누적된 학점이 기준에 도달하게 되면 졸업이 가능해지는 제도라고 하는데, 언뜻 보기에 별문제 없어 보이는 이 제도가 가지는 가장 큰 문제점은 '평가'와 '선발'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각자 원하는 다양한 진로에 따라 선택한 수업을 들었던 아이들을 어떤 식으로 대학에서 평가하고 선발할 것인지. 우리나라는 이미 많은 아이들이 대학 입학을 목표로 고등학교에 진학하는데, 그 아이들의 대학 입시가 어떤 식으로 치러질지 그 구체적 계획을 2024년에 발표한다는 전제하에 '2025 고교 학점제 실시'가 기정사실화되어버린 것이다.
학종으로 선발하는 첫째의 대학 입시에도 아직 적응을 못 했는데, 둘째의 '고교 학점제'를 맞닥트리니 참 난감하다. 일단 '다양한 진로에 맞춰 맞춤형 수업을 듣고 누적 학점으로 졸업한다'라는 취지는 마음에 들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대입을 치르게 될 것이라는 내용이 없다는 것이 불안의 요인이다.
올해 중1이 되는 아이들이 첫 대상이 되는 2025 고교학점제를 앞두고 많은 엄마들이 한 살이라도 어릴 때 진로선택이 확실한 예체능 전공을 시켜야 하는 것 아니냐는 웃음 섞인 푸념을 한 적이 있었다. 잘 모르는 입시제도가 시작된다는 두려움과 고1부터 진로선택을 결정해야 한다는 불안이 만든 자조적 풍경이었다.
어떤 기준으로 대학에 입학하게 되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