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4년 예산안 및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상세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올해 1월 전년동월대비 5.2%를 기록하고, 7월 2.3%까지 낮아진 이후 지난달 3.4%로 또다시 크게 올랐다. 추 부총리는 지난 6월 "물가가 안정을 찾고 있다"고 했는데, 시민들은 여전히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로 치솟은 뒤 현재 그보다는 다소 내려갔다. 오해할 수 있는데, 물가 수준이 아니라 물가상승률이 낮아진 거다. 통상 물가상승률이 2%대면 안정적이라고 본다. 그런데 그걸 넘어 한참 오른 상태에서 물가가 더 크게 오른 것이다. 물가가 잡혔다는 얘기는 전혀 말이 안 된다."
- 대부분 임금에는 큰 변화가 없어 물가가 더 크게 올랐다고 느끼는 것 같다.
"물가가 크게 올라도 임금이 많이 오르면 괜찮지만, 현실이 그랬나. 개인의 실질 소득이 줄어든 거다. 또 우리나라 물가 통계의 문제 중 하나가 주거비 반영이 적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물가 통계 중 주거비 비중이 크다. 미국이 잘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전셋값이 다시 오르고 있지 않나. 주거비 부분을 물가에 제대로 반영한다면, 실질적인 물가상승률은 더 높아질 수 있다."
- 현재 3%대로 낮아지긴 했지만, 2000년 이후 가장 고물가 시대로 꼽히는 이명박 정부 재임 5년 동안 연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이 3.3%였던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고물가 상황 아닌지.
"그렇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이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2%대로 놓고 관리하고 있는데, 사실 한은이 '관리'한다는 것도 이상한 일이다. 한은이 물가를 잡기 위해 계속 고금리를 만들어버리는데, 고금리 상황에선 누가 괴롭나. 여러 자금 조달 능력을 가진 대기업은 아니다. 영세한 곳이 더 어려워진다."
"부자는 물가 얼마나 올랐나 몰라... 서민 기준 물가 집계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