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살 손녀와 함께 무대에 올랐습니다

등록 2023.11.05 16:55수정 2023.11.05 16:55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7세 손녀 은성이와 73세 할머니. ⓒ 전재복

 
10월이 가을바람을 타고 바쁘게 즐기며 넘어온 달이었다면, 11월은 손녀 은성이 일곱살 인생의 행복한 발자국으로 시작됐다.


지난 4일 오후2시부터 장미공연장에서 전라북도와 군산시가 지원하고 한국시낭송군산예술원(채영숙 대표)에서 주관한 가족시낭송대회가 있었다. 할머니와 손주, 부모와 자녀, 어린 친구들이 손잡고 나와서 잔뜩 상기된 모습으로 시를 소리내어 읽고, 외워서 낭송하고 노래하는 모습은 무척이나 훈훈했다.

시를 통해 세대 간의 벽을 허물고 소통하는 이 조합이야말로 시낭송의 기교를 뛰어넘어 빛나고 흐뭇하고 아름다운 무대였다.

총 20팀(45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 우열을 가리는 일은 무의미한 일이라고 심사를 맡아주신 고순복 교수는 말했다. 전국의 수많은 시낭송대회를 다녀봤지만 이렇게 세대를 아우르며 소통하는 시낭송 대회는 처음 본다며 새로운 시도에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은성이랑 할머니랑'이란 팀 이름으로 참가한 우리는 나태주님의 '풀꽃'을 외워서 낭송했고, 동요 '참 좋은 말'을 같이 노래했다.
 
a

인문학으로 꽃피우는 소통시낭송 팸플릿. ⓒ 전재복

 
우리가 동요를 부를 때는 객석에서 노래에 맞춰 손뼉을 치며 함께 호응해주었다. 대회라기보다는 한가족 축제같은 이 무대는 일곱 살부터 중학생까지, 젊은 아빠 엄마부터 70, 80대 할머니까지 함께 어울려 즐기고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2시간 여의 대회가 끝나고 우리는 서둘러 다른 행사장으로 이동했다. 그날 5시부터 JB문화공간에서 또 다른 행사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국문인협회군산지부(지부장 문 영)에서 주관하고 군산시가 주최한 <詩를 노래하다 : 시간의 노래, 무한의 詩>
열 명의 지역작가가 쓴 詩가 노래로 만들어지고 성악가 두 분이 노래했다. 내 詩노래는 전에 발표되었던 <민들레>가 바리톤의 목소리에 얹혀 불리워졌다.


초등1학년 우리 은성이는 종일 할머니와 같이 이동하고 움직여야 해서 무척 피곤하고 흥분되고 힘든 하루였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박수와 응원 속에서 처음 무대에 선 우리 은성이에게 오늘 하루는 잊을 수 없는 값진 추억으로 기록될 것이다.

시와 만나는 오늘의 이 경험이 은성이를 비롯한 이 행사에 참여한 모든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세상을 향해 내딛는 순한 마음의 자양분이 되어주기를 가만히 두 손 모은다.
 
a

'시를 노래하다' 팸플릿. ⓒ 전재복

 
 
#시로소통하다 #노래가된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36년간 교사로 봉직하고, 2007년 2월말 초등교감으로 명퇴 *시인,수필가 *2014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군산시평생학습관 글쓰기 강사로 활동 중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3. 3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4. 4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5. 5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