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현대아파트내 경로당은 <효의집>이란 옥호를 달아 주목받고 있다.
이혁진
70대인 내 주변 일상에서 최근 노인이라는 말은 좋든 싫든 자제하는 분위기라는 게 느껴진다. 노인의 의미가 예전과는 달리, '나이 먹은 꼰대' 등 다소 부정적인 맥락에서 자주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어르신이나 시니어라는 말로 대체되고 있는 최근 현상을 볼 때, 아마도 '노인'이라는 표현 또한 조만간 사라지지 않을까 예상된다.
경로당인가, 노인정인가
나도 언제부터인가 누가 노인으로 대접하면 반갑기보다는 다소 어색하다. 생체 나이는 어쩔 수 없지만, 몸과 마음은 아직도 스스로가 젊다고 느끼는 것이다.
내 경우 지하철을 탈때 가급적 노약자석은 피해 다니는 편이다. 지난해 며느리를 본 아내도 자신이 노인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내 또래 친구들도 생각은 비슷하다. 노인이라고 자리를 양보하면 무안해 하거나 손사래를 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어떤 친구는 '어르신'이라는 말도 듣기에 거북하다고 한다. 사실 이러한 세태는 요즘 젊은 노인세대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어려서부터 노인을 공경하며 자란 나 같은 '베이비부머들'조차 노인임을 부정하는데 요즘 세대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노인에 대한 인식변화는 장수인들이 증가하는 고령사회와 무관하지 않다. 백세를 누리는 요즘 노인 개념과 나이 구분은 더 이상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지하철 등 대중교통에서 노인석이 '경로석'으로 바뀐 지도 오래다. 노인이란 표현은 이제 법전에서 쓰이지 일반생활에서는 거의 자취를 감추고 있다.
경로당을 지원하는 관할 구청도 정책상 법적인 용어인 노인을 쓰고 있지만 어르신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직제도 '어르신과'로 고쳤다.
그런데 이런 변화와는 무관하게 아파트 안내 표지판은 노인정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어떤 경로당은 노인정이라는 표지도 함께 붙여놓아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최근 금천구 관내 5군데 아파트를 방문했는데 경로당을 두고서도 아파트안내판에는 모두 노인정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