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충남녹색연합이 대전시의 3대하천 준설 현장을 모니터링한 결과, 1년도 되지 않아 퇴적 현상이 발생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
또한 대전천 현암교 하류의 경우 준설 전과 마찬가지로 모래와 자갈이 쌓여있었다. 이곳은 2020년 대규모 준설 후 4년 만에 다시 준설 했지만 또 퇴적된 지역이므로, 하류에 위치한 세월교가 보 역할을 하면서 퇴적토가 쌓이는 것을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이들은 분석했다.
이처럼 이들이 답사를 실시한 6개 지역 모두에서 재퇴적 현상이 발생했고, 심지어 준설 이전에 버금갈 정도의 넓은 면적에 퇴적현상을 확인했다는 것.
이들은 "올해 대규모 준설이 무색하게 바로 재퇴적 된 것을 확인했다"며 "결국 토사가 쌓인 지역은 준설 여부와 상관없이 언제든 퇴적되는 지형이었던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또 "대전 3대하천에는 총 61개의 횡단구조물이 존재 한다. 여기에 교각까지 감안하면 퇴적과 홍수위 상승을 유발하는 시설물은 훨씬 많다"며 "결국 아무리 준설을 하더라도 효과는 반감 될 수밖에 없다. 결국 실제 효과가 있더라도 횡단구조물이 있는 구간은 단기적 효과를 위한 준설을 진행 할 필요가 없다. 횡단구조물 철거가 없다면 준설은 아무런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상황이 이러한데도 대전시는 아무런 대안이 되지 않는 준설을 홍수예방을 위한 필승카드로 꺼내 놓고 있다"며 "지난 20여 년간은 대규모 준설이 없었다가 최근 5년 간 대규모 준설을 강행하고 있지만, 준설이 강행되는 기간에 오히려 빈번하게 수해가 발생한 것이 주지의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들은 "결국 준설이 아니라 도시의 물흐름을 구조적으로 진단하고 기후위기에 적응하는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하면서 "지금처럼 밀실행정으로 준설을 결정하고 강행한다면 하천생태환경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수해와 재정낭비의 피해는 오롯이 시민의 몫이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끝으로 "자다가 남의 다리 긁는 격의 불필요한 준설로는 수해를 막을 수 없다. 결국 준설이 대안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하게 인식해야 한다"며 "대전시는 3대하천 준설계획을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공유하기
"준설해도 다시 퇴적... 대전시는 효과 없는 준설 중단하라"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