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리장성으로 보는 중국사

<차이나소프트-역사 5> 장성을 경계로 벌어진 한족과 북방 민족 쟁탈사 말해줘

등록 2002.12.02 02:01수정 2002.12.02 12:06
0
원고료로 응원
맑은 날의 빠다링 장성
맑은 날의 빠다링 장성조창완
만리장성은 중국 최고의 여행지다. 외국인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에게 물어도 가장 가보고 싶은 곳으로 만리장성을 꼽는다. 도대체 왜 만리장성에 그토록 가보고 싶은 곳이 됐을까. 암스트롱이 달에서 만리장성의 모습을 봤다고 해서일까, 아니면 마오쩌뚱이 “장성에 올라보지 못한 이는 사나이가 아니다”라고 말해 그토록 집착하는 것일까. 그도 아니면 장성에 직접 가서 민초들이 고통 받았던 현장을 직접 느껴보고 싶어서 일까.

중국을 돌아다니는 것이 일이라 만리장성도 벌써 수차례 갔다왔다. 만리장성의 동쪽 끝 중에 하나인 라오롱토우(老龍頭)에서 새해를 맞아보기도 했고, 명대에 왜구를 물리친 명장이자 중국 무술의 비조(鼻祖)중에 하나인 척계광(戚繼光)의 흔적이 살아있는 황야관(黃崖關)의 언덕을 헤매기도 했고, 날씨가 어떨까 마음 졸이며 어머니나 친구를 동행해 빠다링(八達嶺)으로 가기도 했다. 또 장성 모습을 담기 위해 쓰마타이(司馬臺)나 구베이코우(古北口) 등은 물론이고 멀리 산시(山西)나 샨시(陝西) 등에서 무너져 가는 장성을 만나기도 했다.

이런 장성과의 만남 속에서 가장 많이 느낀 것은 장성만큼 모순이 많은 곳이 있을까 하는 것이다. 장성을 만든 목적은 북방의 유목민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든 것이었지만 장성의 축조는 무리한 토목공사의 전형으로 오히려 왕조의 몰락을 부추기는 계기가 됐다. 또 과거에 폭악 정치의 상징인 진시황이 정치적으로 부활하면서 만리장성도 더불어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게 됐다. 또 때문에 봉건문화의 상징이 되어 문화대혁명 당시 일부가 파괴되기도 했지만 곧바로 복권되는 한편 대대적인 보수작업을 거쳐서 지금은 중국 여행산업의 선봉에 서 있는 곳이 만리장성이기도 하다.

사실 나와 동행했던 이들은 만리장성에 가서 그다지 큰 감흥을 받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도 그럴 것이 만리장성에 가서 많이 보면 40리 장성을 보고 적게 보면 한두리 장성 밖에 못보는데, 만리장성의 감흥이 생겨날리 만무하다. 또 거대한 성벽이 주는 감흥도 크지 않다. 장성의 넓이로 가장 큰 베이징 인근 빠다링의 경우 아래쪽 넓이가 8~9미터로 데이빗 커퍼필드가 마술로 통과하는 척하는 이벤트도 벌리는 곳이지만 이 역시 큰 감흥을 받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만리장성을 중국 역사를 읽은 하나의 흥미로운 키워드로 보면 훨씬 재미있을 것이다. 만리장성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위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로 위치를 고정할 수는 없지만 북방민족과 한족의 권력경합 정점에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결국 강력한 북방 유목민족과 남쪽의 한족간의 권력 쟁탈이 중국 역사라는 점을 생각하면 만리장성은 그 역사를 지켜본 최대의 목격자가 되는 셈이다.

- 진시황의 만리장성을 한무제는 2만리장성으로

벽돌의 구멍난 틈을 통해 본 장성의 한면.
벽돌의 구멍난 틈을 통해 본 장성의 한면.조창완
만리장성의 역사는 기원전 7세기에 시작해, 17세기인 명(明)나라 때 대대적인 보수 이후 방어기능으로서 장성의 기능은 끝났다고 중국장성학회(中國長城學會)는 본다. 명이 청에 무너지면서 장성 이북 역시 청나라의 통치권에 들어와 방어기능으로서 장성의 역할이 의미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장성은 BC 7세기 주(周)나라가 멸하고 생긴 춘추시대에 그 역사가 시작된다. 춘추시대는 제(齊), 진(晋), 진(秦), 송(宋), 초(楚) 나라가 가장 강성한 5패(覇)를 이루었다. 이들 5패는 각 국가간에 경계를 이루고, 북쪽 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하나둘씩 성을 쌓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제나라 환공을 도와 패업을 이룬 관중(管仲)의 기록인 관자(管子)에 처음 ‘장성’(長城)이라는 단어가 보인다. 하지만 산둥반도에 중심세력을 둔 제나라의 북쪽 경계는 지금의 장성보다 휠씬 아래다. 지금의 장성의 위치에 한층 가까운 곳은 연(燕)나라의 장성이다. 진시황에게 자각 형가를 보냈다가 실패해 멸방의 시기를 당긴 태자 단(丹)이 왕위에 오르기도 한 연나라라는 지금의 베이징(그래서 청나라때까지만 해도 燕京이라 불렀다)을 중심으로 자리잡아 지금의 만리장성과 유사한 위치해 있다.

진시황제가 쌓은 만리장성. 오른쪽 하단의 민현에서 동쪽 압록강까지다
진시황제가 쌓은 만리장성. 오른쪽 하단의 민현에서 동쪽 압록강까지다
하지만 ‘장성’이 ‘만리장성’(萬里長城)으로 바뀌고 그 이름을 얻은 것도 진시황이었다. 진시황은 전국시대(戰國時代)를 주름잡던 7웅(雄)을 차례차례 깨고, BC 221년 중국을 처음으로 통일했다. 7웅을 깨고 중원을 통일했다고 해서 북쪽마저 안전한 것은 아니었다. 중국의 북쪽은 옌산(燕山), 타이싱산(太行山), 인산(陰山), 허란산(賀蘭山), 치롄산(祁連山) 등 황량한 고산이 둘러쳐 있다. 7웅의 일부는 지금의 장성보다 휠씬 북쪽인 이 산들까지 세력을 갖고 있었다. 더러는 성을 쌓아 방어벽으로의 역할을 했다. 아무리 막강했던 진(秦)이라 해도 유목민족으로 뛰어난 전투 능력을 가진 흉노(匈奴) 등 북방민족의 침입을 두려워했다. 때문에 시황제는 과거의 성벽을 연결하는 한편 증축, 개축을 총해 간쑤성(甘肅省) 남부 민현(岷縣)에서 출발해 황허(黃河) 서쪽, 인산(陰山) 산맥을 따라 동쪽으로 뻗어 랴오둥(遼東)반도의 랴오양(遼陽)에 이르는 장성을 구축했다. 하지만 시황제는 만리장성이 아니라 억리장성이 있어도 후사를 단속하지 못하고, 민심을 잃는다면 허사라는 것을 가장 빠르고, 확실하게 보여줬다.


진의 멸망이후 만리장성은 사실상 거의 기능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 와중에 시황제에 버금가는 통치자 한무제(漢武帝 재위 BC 141~87)가 등극한다. 그는 54년에 이르는 재위기간도 재위기간이지만 동중서(董仲舒)등을 채용하여 국가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동서로 영토를 넓혔다. 또 그는 그 힘을 활용해 흉노의 본거지를 공격하는 한편 이번에는 깐수성 민현에서 멈추지 않고, 신장성(新疆省)에 이르는 2 만리장성을 구축했다. 이후에 정비됐던 어느 장성보다도 거대했다.

- 유목민족과 한족 권력 교차하며, 기능 축소되어가

한무제가 만리장성이 아닌 2만리장성을 쌓았어도 내부의 분열은 어쩔 수 없었다. 한나라는 후한을 거쳐서 ‘황건적’의 난등으로 급속한 위기를 맞는다. ‘삼국지연의’의 배경이 되는 위촉오 삼국이 번성한 시기다. 창지앙 중심지대에서 이 세나라가 싸우다가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사마중달이 세운 진(陳)을 멸망시키는 시기를 일컫는 남북조시대(221∼589)에 북쪽에는 선비족(鮮卑族)이 세운 북위(北魏), 동위, 북제(北齊), 북주(北周) 등이 있었다. 인산산맥과 타이싱산 남쪽에 있는 이 국가들에게 가장 위협이 되는 것은 돌궐(突厥), 유연(柔然) 등 북방 유목민족이었고, 역시 강성한 이들 민족을 막기 위해 장성을 쌓았다. 남북조시대는 수(隋)의 통일(589년)로 막을 내린다. 하지만 수 역시 돌궐이나 거란 등을 막기 위해 장성의 보수작업에 나섰다.

태종의 힘으로 한무제 못지 않은 국력의 번성을 맛본 당(唐 618~907) 역시 흉노족을 막기 위해 대대적인 보수작업을 했다. 송(宋 960~1277) 왕조에는 봉화대나 무기고 등을 보강하는 작업을 하기 시작한다. 반면에 여진족이 건립한 금(金 1115∼1234)은 몽고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대대적인 장성 보수를 나섰다. 하지만 동양은 물론이고 서양까지 세력권을 넓힌 칭기즈칸에게 만리장성은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몽고에 의한 중원의 통일은 만리장성 남북간의 완전한 통일을 말했다. 원(元 1271∼1368)나에게 만리장성은 상호가 왕래하는데, 방해만 될 뿐이었다.

명대의 장성. 우리가 알고 있는 산하이관-지아위관은 명대의 중심축이다
명대의 장성. 우리가 알고 있는 산하이관-지아위관은 명대의 중심축이다

원이 멸하고 등장한 한족지배의 국가인 명(明 1368∼1644)나라는 다시 한번 북방 유목민족에 대한 교훈을 상기하며 대대적인 만리장성의 보수작업에 들어간다. 베이징 인근에 있는 빠다링을 비롯해, 스마타이, 황야관, 산하이관 등 주요 만리장성은 대부분 명나라때 세워지거나 대대적인 보수작업을 거친 장성들이다. 명나라는 동쪽에서는 압록강에서부터 서쪽으로는 지아위관(嘉?關)까지 13000리에 달하는 장성을 건설했다. 하지만 거대한 보수공사를 마친 만리장성 역시 역사의 교훈을 되새기는 역할밖에 하지 못했다. 명 역시 만주족(滿洲族) 누르하치(奴兒哈赤)가 세운 청(淸 1636∼1912)에게 멸망했기 때문이다. 청나라의 위정자들은 앞선 역사를 타산지석 삼았다. 청나라는 성을 쌓아 권위를 지키지 보다는 정복 및 교화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는데 치중했고, 왕들은 자금성(紫禁城)이 있었지만 천하를 순행하면서 정치를 편 경우가 많았다. 사실상 만리장성의 기능은 명나라가 청나라에게 넘어오는 시점부터 끝났다고 볼 수 있다.

장성의 겨울. 설경은 장성의 또다른 맛이다
장성의 겨울. 설경은 장성의 또다른 맛이다장성전접식
명나라가 멸망한지 이미 400여년이 지난 지금 만리장성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군사적 기능을 거의 잃은 장성은 현대에 들어서 그다지 잘 대우받지는 못했다. 특히 중국인들이 빈곤에 시달릴 때는 농가나 축사를 짓는데 쓰는 돌로 쓰이면서 적지 않은 장성이 파괴됐다. 또 문혁대는 전제왕권의 상징으로 낙인되면서 공격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1980년 들어가 만리장성은 새로운 부흥기를 맞았다. 군사적 기능이 아닌 여행자원적 기능이 되살아났기 때문이다. 빠다링을 비롯해 황야관, 산하이관 등 도시 인근의 장성은 상당부분 보수되어 여행자원으로 빛을 내기 시작했고, 쓰마타이, 진산링, 지아위관 등은 자연미를 살리기 위해 보수되지 않은 모습으로 관광객을 맞기 시작했다.

하지만 관광자원으로의 만리장성은 눈에 띄는 몇 곳만이 필요할 뿐 전체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명나라 13000리의 장성을 기준으로 했을 때 1/3은 이제 흔적을 찾아볼 수 없게 완전히 파괴되어 버렸고, 1/3은 시간 앞에 명운을 맡겨 놓고 있다. 단지 1/3만이 보호되면서 여행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장성도 민초의 원망과 눈물앞에서 무너진다

장성의 가을. 허베이와 베이징의 장성주변의 자연경관은 아주 아름답다
장성의 가을. 허베이와 베이징의 장성주변의 자연경관은 아주 아름답다장성전접식
마오쩌둥이 사나이라면 한번은 올라야 한다고 읊조려 중국인들이 만리장성에 오르고 싶어하지만 만리장성은 민초들에게 한 많았던 역사의 상징물과도 같다. 그 흔적이 가장 잘 남아있는 곳이 산하이관에서 멀지 않은 펑황산(鳳凰山)의 정상에 있는 맹강녀묘다. 중국 4대 전설가운데 하나인 맹강녀 이야기를 가장 드라마틱하게 꾸며놓은 것은 ‘중국신화전설’ 속의 맹강녀 이야기일 것이다.

당시에 장성 1리를 쌓는데, 한사람의 산채로 매장되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돌자, 시황제는 여지없이 이 지시를 실행했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소주(蘇州)에 만희량(萬喜良 역사에서는 범기량(范杞良)으로 나온다)이 사는데, 그 사람 한 명이면 만 명의 목숨과 같네”라는 동요가 퍼져갔다. 이 동요를 들은 선량한 선비 만희량은 피신을 떠났는데, 송강부(松江府)에서 관리를 피해 어느 집에 들어갔다가 자신을 보고 놀라 물에 빠진 맹강녀를 구해준다. 맹흥이 키웠는데 강씨 할머니의 집에 넘어가 자란 호박에서 나왔다고 해서 맹강녀라 불린 이 여인과 만희량은 혼인을 한다. 하지만 금방 소문이 퍼져 만희량은 잡혀가고, 반년이 되도 돌아오지 않자, 맹강녀는 온갖 고초를 견디면서 남편이 노역하고 있다는 장성터로 간다. 하지만 그녀가 들은 말은 “이미 죽어 장성에 묻힌 자가 1만이 넘어 죽일 필요가 없어서 죽이지는 않고, 일했으나 몸이 약해 잘 먹지 못하다가 죽어, 장성 밑에 묻어버렸소이다”라는 말을 들어야 했다. 그녀는 남편뿐만 아니라 천지간에 셀 수 없이 많은 과부와 아이들이 돌아오지 못하는 남편을 그리며 살아갈 거라는 슬픔에 대성통곡을 했다.

한참후에 40리의 장성이 무너지면서 수많은 백골이 나왔다. 그녀는 자신의 피가 스며드는 것을 보고 남편의 뼈를 찾았는데, 마침 순행중이던 진시황이 이 사태를 듣고 달려왔다가 맹강녀를 본다. 시황제는 그녀의 미모에 반해 황후로 삼으려 할 때, 그를 꾸짖다가 생각을 바꿔 압록강에 긴 다리를 만들어주고, 분묘를 만들어달라, 남편의 무덤에 절을 해라 등 세가지 소원을 말하자 그녀의 미모에 반한 시황제는 들어준다. 압록강 다리가 완성되는 날, 그녀는 강가로 뛰어가 시황제에게 외친다. “네가 장성을 쌓는 것은 오랑캐를 막아 너의 나라를 보존하려고 하는 것이라지만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다는 말이냐? 나 때문에 장성의 땅 속에 묻힌 그 영혼들은 막지 못할 것을. 그들의 원망이 산 사람들의 원한과 결합된다면 조그만 힘도 들이지 않고 너의 그 나라를 빼앗아 갈 수 있을 것을”이라고 외친 후 치마를 뒤집어쓰고 강물에 뛰어 들어 사라지고 만다.

산시의 장성 흔적. 이제 망루만에 남아있을 뿐이다
산시의 장성 흔적. 이제 망루만에 남아있을 뿐이다조창완
사실 전설속에 맹강녀의 실제여부는 의문이다. 지금 맹강녀의 사당과 묘가 있는 지역은 진(秦)대가 아닌 명(明)대에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진대에 만들어진 장성이든, 명대에 만들어진 장성이든 그 장성의 돌 하나 흙 하나하나는 민초들의 피와 눈물이었고, 맹강녀 이야기는 그 역사를 대변해주는 수단일 뿐이다. 그녀의 말은 사실상 오랫동안 국가의 공사에 시달린 민초들의 말이었다. 때문에 민초들은 맹강녀를 중요한 한 성녀로 섬기고 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상무. 저서 <삶이 고달프면 헤세를 만나라>, <신중년이 온다>, <노마드 라이프>, <달콤한 중국> 등 17권 출간


AD

AD

AD

인기기사

  1. 1 김건희 "우리 오빠" 후폭풍...이준석 추가 폭로, 국힘은 선택적 침묵 김건희 "우리 오빠" 후폭풍...이준석 추가 폭로, 국힘은 선택적 침묵
  2. 2 컴퓨터공학부에 입학해서 제일 많이 들은 말  컴퓨터공학부에 입학해서 제일 많이 들은 말
  3. 3 "2천만원 깎아줘도..." 아우디의 눈물, 파산위기로 내몰리는 딜러사와 떠나는 직원들 "2천만원 깎아줘도..." 아우디의 눈물, 파산위기로 내몰리는 딜러사와 떠나는 직원들
  4. 4 박근혜 탄핵 때와 유사...지역에서 벌어지는 일들 박근혜 탄핵 때와 유사...지역에서 벌어지는 일들
  5. 5 쌍방울 김성태에 직접 물은 재판장 "진술 모순" 쌍방울 김성태에 직접 물은 재판장  "진술 모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