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년만에 핀다는 전설의 꽃을 만나다

[달팽이가 만난 우리꽃 이야기 123] 우담바라

등록 2007.05.29 09:17수정 2007.05.30 09:11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카라이파리에 핀 우담바라(풀잠자리알) ⓒ 김민수

불교에서 전해지는 상상의 꽃 우담바라, 그는 3천년만에 핀다고 하며 상서로운 징조를 보여주는 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우담바라'는 꽃이 아니라 '풀잠자리알'이라고 하지만 한국불교대사전에서는 '풀에 청령(잠자리)의 난자(알)가 붙은 것'이 우담바라라고 정의하고 있다. 동아한한대사전(동아출판사)에서도 '초부유(풀잠자리)의 알'이 우담바라라고 하니, 풀잠자리알을 만난 것은 곧 우담바라를 만난 것이라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니라.

어머님의 옥상 텃밭, 옥상에는 각종 채소뿐 아니라 아기자기 가꾸시는 꽃들도 제법 많다. 카라의 넓은 이파리에 시원스럽게 피어난 하얀꽃이 예뻐 그를 보고 있는데 말로만 듣고, 사진으로만 보았던 우담바라가 눈에 띈다. 그를 가만히 보니 꽃이라기보다는 곤충의 알이다.

a

ⓒ 김민수

아주 작은 데다가 실같이 얇은 줄기에 알이 붙어서 작은 바람에도 흔들린다. 카메라에 담기가 쉽지 않다. 풀잠자리알이면 어떠랴, 우담바라로 불러도 되니 상서로운 조짐으로 생각하자 했다. 마침 그 날은 조카의 결혼식이 있는 날이었다.

그렇게 우담바라를 담고 혹시나 상서로운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그것을 단지 미신적인 것으로만 치부하고 싶지는 않았다. 살면서 좋은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기대'는 누구나 품고 살아가는 작은 희망이기도 하니까.

a

나리꽃에 핀 우담바라(풀잠자리알) ⓒ 김민수

다음날 아침 일어나 보니 지난 밤 바람에 서너 개가 떨어져 버렸다. 꽃이 졌다고 해야 할까? 풀잠자리알이라면 그 곳에만 알을 낳아놓지는 않았을 터이니 다른 이파리들도 유심히 살펴보니 아니나 다를까 나리꽃 이파리와 꽃몽우리에도 수없이 많은 우담바라가 지천에 널렸다.

희소하게 느껴지던 것이 너무 많으니 조금은 실망스러웠다. 그러면 그렇지, 이렇게 흔한 것이니 내 눈에 띄었겠지. 과하면 모자라는 것만 못하다고 했던가?

a

ⓒ 김민수

그나저나 좋은 관찰거리가 생겼다. 과연 시간이 지나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지 하루이틀 살펴보다 보면 꽃(식물)일지 곤충의 알(풀잠자리)일지 확실해질테니까. 그러나 한편으로 종교적인 것은 종교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그다지 나쁜 일은 아닐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우담바라의 힘을 빌어 하나둘 풀릴 수만 있다면 굳이 우담바라니 풀잠자리알이니 옥석을 가릴 이유가 무엇이 있겠는가?

a

ⓒ 김민수

친구에게 우리 집 옥상에 우담바라가 피었다 이야기하니 "어쩌자고 목사집에 우담바라가 피었냐? 사이비 목사 아니냐?"고 농을 던진다. 농은 농이고 우담바라 한 번 보러 올 터이니 잘 지키고 있으라고 한다.

"왜, 당신도 우담바라의 상서로운 기운을 받으려고?"

꽃이 아니면 어떠랴? 꽃이라고 하면 꽃이지. 그렇게 생각하면서 풀잠자리알을 우리꽃 이야기에 당당하게 올린다. 아마 들꽃이야기에 최초로(?) 등장하는 곤충의 알로 기록이 되지 않을까?

우담바라를 처음 만나고 사흘이 지났다. 좋은 일이 생겼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다. 글쎄 아직 그 기운을 받지 못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지난 사흘, 평상시보다 좋지 않은 일들이 더 많이 생겼다. 더 좋은 일이 생기려는 복선인지는 모르겠지만 불가와는 거리가 먼 사람이라 그런지 상서로운 일은 생기지 않았다.

그러고 보니 가만히 앉아서 상서로운 일이 생기길 바라는 심보가 복권당첨을 기다리는 마음과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진짜로 상서로운 일이란 자기가 땀흘린 만큼의 결실을 얻는 것 아닌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2. 2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3. 3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