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에 생각하는 우리 말과 한자말

[우리 말에 마음쓰기 954] '여행은 옥순봉부터 시작' 다듬으며

등록 2010.10.09 16:29수정 2010.10.09 16:29
0
원고료로 응원

.. 단원이 삼 년간 현감으로 재직한 연풍현 관아는 오래 전에 답사한 적이 있다. 그래서 이번 여행은 옥순봉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  <송명규-후투티를 기다리며>(따님, 2010) 120쪽

 

"삼 년간(三 年間)"은 "세 해 동안"이나 "세 해"나 "세 해를"로 다듬고, '재직(在職)한'은 '있던'이나 '일한'이나 '지낸'으로 다듬습니다. "오래 전(前)에 답사(踏査)한"은 그대로 두어도 괜찮으나, "퍽 예전에 다녀 본"이나 "꽤 옛날에 밟아 본"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여행(旅行)' 같은 한자말은 한자말이라 하기보다는 우리 말이라 해야 알맞다고 느낍니다. 이 자리에서는 그대로 두어도 괜찮고, '마실'이나 '나들이'나 '길'로 손질해 볼 수 있습니다.

 

 ┌ 여행은 옥순봉부터 시작하기로 (x)

 └ 여행은 옥순봉부터 하기로 (o)

 

10월 9일은 한글날입니다. 한 해에 한 차례 '한글 난 날'을 맞이합니다. 한글날을 맞이하면서 이날을 기리는 사람이 있으나, 이날이 한글날인지 아닌지 못 깨닫는 사람이 있습니다. 한글날을 맞이했기에 조금 더 내 말과 글을 돌아보며 아끼고 사랑하자고 다짐하는 사람이 있는 한편, 한글날이건 말건 엉터리 말글을 아무렇지 않게 뇌까리는 사람이 있어요.

 

한글날이라 해서 더 아름답거나 알차게 말글을 북돋우려는 사람이 있지만, 한글날조차 내 말글을 멍청하고 미련스레 망가뜨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한글날을 맞이한 아침 책을 한 권 꺼내어 읽다가 씁쓸하게 웃습니다. 굳이 한글날이기에 우리 말글을 헤아리는 책을 찾아 읽고 싶지 않을 뿐더러, 한글날이라 해서 사람들이 한결 알차며 곱게 여민 말글로 이루어진 책을 읽을 마음이지 않습니다. 그런데 날이 한글날이다 보니 책을 읽으며 마주하는 글월에 자꾸 마음을 쓰고야 맙니다. 이분은 왜 이런 글로 이렇게 당신 삶을 이야기해야 하나 싶고, 이분 글을 책으로 낸 책마을 일꾼은 이분 글을 찬찬히 어루만지거나 보듬을 수는 없었는지 궁금합니다.

 

한자말 '시작'을 생각합니다. 이 낱말을 한자말로 여긴다거나 이 낱말을 다듬어 보고자 마음을 쏟는 사람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예나 이제나 앞으로나 '시작'과 같은 낱말을 알뜰살뜰 털어내거나 씻어내기는 어려우리라 봅니다. 이와 같은 낱말 하나 털어내지 못한들 한글이 크게 망가진다든지 어처구니없이 무너지지 않을 테지요. 그러나 이 낱말 하나마저 제대로 살피지 못한다면 이 나라 말글을 비롯해 이 나라 넋이 튼튼히 서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시작'과 같은 숱한 한자말이 우리 삶에 스며든 지 얼마 안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이런 낱말들을 우리 입이나 손에서 뗄 수 없다고 얘기하지만, 참말 이런 낱말들을 우리 입이나 손에서 떼어 보고자 애쓴 사람은 아주 드물거나 아예 없습니다. 참다이 말글 사랑을 해 본 적이 없는 한국사람입니다. 착하게 말글 가꾸기를 해 보려 땀흘리지 않는 한겨레입니다.

 

 ┌ 이번에는 옥순봉부터 돌기로 했다

 ├ 이번에는 옥순봉부터 오르기로 했다

 └ 이번에는 옥순봉부터 둘러보기로 했다

 

어린 날, "준비, 시이작!" 하는 말을 곧잘 듣고 으레 꺼냈습니다. 그러나 "준비, 땅!" 하는 말을 나란히 듣고 흔히 주고받았습니다. 따로 우리 말글을 더 아끼려고 하면서 '시작'을 '땅'으로 고쳐쓰지는 않았습니다. 어쩐지 '시작'이라는 낱말이 썩 내키지 않았을 뿐입니다. 아마 국민학교 4학년이나 5학년 무렵이 아닌가 싶은데, '준비'라는 낱말도 '시작'이라는 낱말과 함께 한자말이 아닌가 하고 느끼면서, 이 낱말들을 곰곰이 되씹었습니다. 내 둘레 어른들은 어떤 말을 쓰는가 살펴보았고, 책에는 이런 말을 꺼내야 할 자리에 어떻게 적혀 있는가를 들여다보았습니다.

 

"자, 해 보자!"나 "하나, 둘, 셋!" 같은 말마디는 이무렵 느끼고 들으며 받아들입니다. 따로 말다듬기나 글다듬기를 할 생각은 아니었고, 저한테 더 알맞거나 살가울 말마디를 찾고 싶었습니다. 말을 사랑하거나 글을 아끼려는 마음까지는 아니고, 더 쉬우며 포근한 말이나 글을 맞아들이고 싶었습니다. 머나먼 옛날 농사짓던 여느 할매와 할배가 쓰던 말을 나 또한 쓰고 싶었고, 까마득한 지난날 산골과 들판과 바닷가에서 살아가며 뛰노는 아이들이 쓰던 말을 나도 함께 쓰고 싶었습니다.

 

 ┌ 이번에는 옥순봉부터 다니기로 했다

 ├ 이번에는 옥순봉부터 구경하기로 했다

 └ 이번에는 옥순봉부터 보기로 했다

 

시골집에서 고무신을 신고 흙을 밟으며 나무를 쓰다듬는 가운데 생각합니다. 나무를 쓰다듬어 보지 않고서야, 흙을 밟아 보지 않고서야, 텃밭에서 풀을 뽑거나 무를 뽑아 보지 않고서야, 내 삶을 어루만질 만한 말마디를 얻지는 못한다고 느낍니다. 두 다리로 걷거나 자전거로 달릴 때에 비로소 생각다운 생각을 할 말미를 마련하는구나 싶지만, 이만큼으로는 모자랍니다. 두 다리로 어디를 걷거나 자전거를 달려 어디를 오가는가를 깨달아야 합니다. 내 삶을 이루는 바탕이 무엇이며, 내 삶자리는 어느 곳에 있는가를 알아채야 합니다.

 

"한글사랑 나라사랑" 같은 푯말을 아무리 드높인다 하더라도 이 나라 사람들이 두루두루 한글과 우리 말을 사랑할 수 있지는 않습니다. 삶을 스스로 바꾸어야 하고, 삶터를 스스로 일구어야 하며, 삶사랑으로 살붙이와 동무와 이웃을 사귀어야 합니다. 제아무리 좋은 외침말이라 할지라도 한낱 외침말에 그칩니다. 우리 말 살리기이든 우리 강 살리기이든 우리 땅 살리기이든, 입으로 할 수 없고 글쓰기로 할 수 없습니다. 살아내는 내 하루로 할 뿐입니다.

 

한글날을 기리며 한글과 우리 말을 다루는 좋은 책을 읽는다고 해서 살뜰히 말사랑 글사랑을 배울 수 있지 않아요. 책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지식입니다. 나와 너는 머리에 담는 지식이 아닌 날마다 살아내며 나누는 이야기를 가누어 빛깔 고운 슬기를 살포시 베풀어야 합니다.

 

삶을 삶답게 여기며 오늘과 어제와 글피를 보내는 나라면, 내가 세우는 일터에 '무슨무슨 주니어'나 '무슨무슨 닷컴' 같은 이름을 붙이지 않습니다. 삶을 삶답게 여기지 못하며 오늘도 어제도 글피도 달력에 적힌 날짜로 바라보는 나이기에, 내가 다니는 일터 이름이 적힌 이름쪽 하나에 갖가지 자잘한 영어나 한자를 새겨 놓습니다.

 

처음 그대로 살고 처음처럼 죽습니다. '시작'과 끝이 아닌 '처음'과 끝입니다. 세 살 버릇이 여든 간다지만, 세 살뿐 아니라 어머니 배에 깃들어 있을 때부터 내 삶은 이루어져 있습니다. 내 어머니가 살아온 바탕을 내가 받아먹고, 내가 태어나 자라며 보는 그대로 내 아이한테 물려줍니다. 내가 쓰는 말을 사랑으로 보듬으려면 내 어머니가 당신 쓰던 말을 사랑으로 보듬어야 합니다. 내가 쓰는 말을 사랑으로 보듬는다면 내 아이가 쓰는 말 또한 내 아이 스스로 사랑으로 보듬습니다.

 

첫머리를 옳고 착하며 곱게 붙잡아야 합니다. 말머리를 바르며 맑고 밝게 다잡아야 합니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 우리 말과 헌책방 쉼터 http://cafe.naver.com/hbooks
- 인천 골목길 사진  http://cafe.naver/com/ingol

글쓴이는 다음 같은 책을 썼습니다.
- 1인 잡지 <우리 말과 헌책방>(그물코) 1권∼9권
-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

2010.10.09 16:29 ⓒ 2010 OhmyNews
덧붙이는 글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 우리 말과 헌책방 쉼터 http://cafe.naver.com/hbooks
- 인천 골목길 사진  http://cafe.naver/com/ingol

글쓴이는 다음 같은 책을 썼습니다.
- 1인 잡지 <우리 말과 헌책방>(그물코) 1권∼9권
-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
#한자 #한글날 #우리말 #한글 #국어순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2. 2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3. 3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4. 4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5. 5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