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종이꽃은 비에 젖는 걸 두려워한다!

[중국어에 문화 링크 걸기 50] 假

등록 2013.12.16 16:35수정 2013.12.16 16:35
0
원고료로 응원
a

거짓 가(假)는 사람이 산에 가서 광물을 손으로 가져온다는 데에서 ‘빌리다’는 의미가 생겼으며, 그것은 진짜 대자연의 모습이 아닌 일부분에 국한된 모습이므로 ‘가짜’라는 의미도 파생되었을 것이다. ⓒ 漢典

대만의 2013년 올해의 한자에 '거짓 가(假)'가 선정되었다. 올해 대만에서는 공업용 전분을 사용한 음료수와 금지 식품첨가물이 사용된 저질 식용유 등이 유통돼 파문이 일었으며, 검찰의 국회의원 전화 도청 등 부정적인 사건들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소비자의 불안 심리와 시장과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반영된 결과라고 봐야 할 것이다. 목하 대한민국의 상황과도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거짓 가(假, jiǎ, jià)는 사람 인(亻), 바위산을 뜻하는 엄(厂), 두 손(又), 광물을 의미하는 두 점으로 구성되었다. 사람이 산에 가서 광물을 손으로 가져온다는 데에서 '빌리다'는 의미가 생겼으며, 그것은 진짜 대자연의 모습이 아닌 일부분에 국한된 모습이므로 '가짜'라는 의미도 파생되었을 것이다.

거짓이나 가짜는 그 자체로 끝나지 않고, 진실과 진품에 대한 신뢰를 흔들어 놓고 시장 전체를 혼란에 빠뜨린다(以假亂眞)는 측면에서 그 폐해가 심각하다. 중국에서는 가짜 술, 담배, 시계, 계란에 이르기까지 가짜가 없는 품목이 없을 정도여서 "엄마 빼고 다 가짜다"는 말이 생겨날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신뢰는 자리 잡기 힘들고, 당연히 복잡한 확인과 점검의 과정을 거쳐야 하고,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증대될 수밖에 없다.

종이로 만든 가짜 꽃은 비에 젖는 것을 두려워하듯(假花怕雨淋) 흙으로 만든 부처는 내를 건널 수 없다. 가짜의 운명은 늘 엄준한 현실과 진실의 빗물과 강물을 두려워하며 불안에 떨어야 하는 운명인 셈이다. 

가(假)는 '거짓, 가짜'의 의미 외에도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누리는 호가호위(狐假虎威)의 예처럼 '빌리다'는 의미로도 널리 쓰인다. 춘추시대 진(晉)은 괵(虢)을 치기 위함이니 우(虞)에게 길을 빌려 달라고 하며 많은 재물을 제공하겠다고 한다. 우나라 왕은 지리적 형세를 생각하지 못하고 재물에 눈이 어두워 길을 빌려주는데 진나라는 괵국을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까지 쉽게 멸한다. 사이가 좋은 것처럼 꾸며 도리어 상대를 해치는 '가도멸괵(假道滅虢)'과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순망치한(脣亡齒寒)'의 고사가 여기서 생겨난다.

장자(莊子)는 "인간의 삶이 빌린 것이고, 누군가의 삶을 빌려서 태어난 것(生者, 假借也, 假之而生)"이라고 했다. 거대한 바위산에서 몇 조각의 돌을 채취해 오듯, 영원의 시간 속에서 짧은 순간, 작은 누군가의 육신을 빌려 이 땅에 잠시 왔다 간다는 뜻이다. 주어진 삶을 보다 겸허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맞이하라는 의미일 것이다.
#假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중국 베이징에서 3년, 산둥성 린이(臨沂)에서 1년 살면서 보고 들은 것들을 학생들에게 들려줍니다. 거대한 중국바닷가를 향해 끊임없이 낚시대를 드리우며 심연의 중국어와 중국문화를 건져올리려 노력합니다. 저서로 <중국에는 왜 갔어>, <무늬가 있는 중국어>가 있고, 최근에는 책을 읽고 밑줄 긋는 일에 빠져 삽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