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관을 거의 매일 드나든 지 석 달쯤 됐을 때 앞으로도 운동을 계속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내 몸에 사랑을 느꼈다.
pixabay
어떤 일이 습관으로써 완전하게 자리 잡기를 원한다면 그 일을 12주가량 꾸준히 해보라는 말이 있다. 그 말은 어느 정도 사실이었다. 크로스핏 체육관을 거의 매일 드나든 지 석 달쯤 됐을 때 앞으로도 운동을 계속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내 몸에 사랑을 느꼈다.
물론 처음은 아니었다. 이전에도 나는 내 몸과 사랑에 빠진 적이 있다. 몇 번의 사랑 사이에 공통분모가 있다면 운동을 열심히 했던 시기에 사랑도 시작됐다는 점이다. 따지고 보면 운동은, 어떤 방향으로든 나르시시즘을 유발하는 것 같다.
언젠가 또 한번 사랑에 빠졌을 때, 나는 집 근처에 있는 수영장에서 하루를 시작했다. 강습이 끝나면 샤워를 하고 디지털 체중계에 올라가는 것이 내가 정해놓은 의식이었다. 유산소 운동을 하면서 먹는 양을 최소한으로 줄였기 때문에 나날이 체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때 나는 삼십 대 초반이었고 20대 때처럼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며 결국 나잇살이 찌고 말 것이라는 우울한 결론을 얻고 겁을 집어먹은 직후였다. 원하던 대로 체중이 52킬로그램 가까이 됐을 때 체중계 위에서 사랑이 솟구치는 것을 느꼈다. 사랑! 만약에 체중이 50킬로그램 이하로 떨어지면 그때는 더 큰 사랑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았다.
그 사랑은, 대상화된 몸을 향한 사랑이었다. 날씬한 몸, 말라 보이기도 하는 몸, 아무 옷이나 부담 없이 입을 수 있는 몸. 엘리자베스 워첼은 저서 <비치>(bitch)에서 여성은 자신이 하지 않은 행동(그들의 외양과 투영하는 이미지)으로 우상화된다고 했다. 모든 여성은 나이, 인종, 지위, 계급과 상관 없이 얼굴과 몸매, 인상을 평가받으며 일괄적으로 대상화된다. 어디에 가든 무슨 일을 하든 누구를 만나든 예쁜가, 날씬한가, 매력이 있는가를 따지는 집요한 시선을 피할 수 없다.
반면에 남성은 행동하는 인간이 되어야만 우상화될 수 있다. 만약에 어떤 남성의 행동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갖는다면, 또는 그가 이룬 성취가 뛰어나다면 외모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고백하자면, 나는 오랜 시간 편견과 여성혐오적인 기준에 따라서 내 몸을 평가했고 결과에 따라서 몸을 사랑하거나 또는 미워했다. 브래지어 색깔과 교복 치마를 단속당하던 시절부터 지금까지.
그랬던 내가 새로운 사랑에 눈을 뜬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변화는 크로스핏을 배우면서 시작됐다. 크로스핏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근력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결합한 고강도 운동으로 훈련하는 과정에서 역도와 줄넘기, 팔굽혀펴기, 철봉 운동 등의 다양한 동작을 익히고 유연성과 근력, 지구력과 균형 감각을 기를 수 있다. 물론 이전에 배웠던 수영이나 요가, 등산도 훌륭한 운동이다. 하지만 이 운동들과 차별화된 크로스핏만의 특이성은 맨몸으로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는 동작, 즉 근력 운동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단순한 차이로 인해서 체육관에서 땀을 흘리는 동안 내 몸은 행동하는 몸이 될 수 있었다. 어떻게 하면 더 오래, 더 빨리 움직이고 안전하게 착지할 것인가, 더 무거운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을까 골몰하는 것은 생경한 동시에 멋진 일이었다. 놀랍게도 그때까지 나는 내 몸이 행동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심지어 내 몸을 사랑한다고 느낄 때조차도 나는 내 몸을 믿거나, 진정한 의미의 자신감을 갖지 못했다. 내 몸은 나를 평가하던 타인만이 아니라, 주인인 나로부터도 소외됐던 셈이다.
그러나 근력 운동을 배운 일이 계기가 되어, 그 자리에 붙어 있는 것 말고는 아무런 존재감도 갖지 못하던 부위들을 움직임으로써 나는 조금씩 달라졌다. 흔히 말하는 '관리'를 하면서 몸을 가두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데서 벗어나 신체의 기능을 더 향상시키고 개발할 수 있다는 희망을 얻은 것이다.
그러자 행동한다는 자신감이 이상적으로 보여야 한다는 강박을 압도했다. 더는 적게 먹으려고 애쓰지 않았고 되레 힘을 쓰기 위해서 자주, 왕성하게 먹었다. 체중계 위에 올라가는 일도 그만두었다. 오래 전에 사놓은, 작고 여성스런 옷이 들어가지 않지만 그마저도 그리 아깝지 않았다. 평상복을 살 때도 편안하고 기능성이 뛰어난 옷을 사입고 운동화를 신고 화장하는 횟수를 줄였다. 몸을 옥죄거나 거추장스러운 것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멀어졌다.
'남자 같다' '위협적이다'... 두려워하는 여성의 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