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2차 남북정상회담 결과 발표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전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가진 제2차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미정상회담이 성공할 경우 남북미 3자 정상회담 통해서 종전선언이 추진됐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문재인 대통령은 27일 기자회견에서, 전날 한 남북정상회담 관련해 설명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 27일에 합의한 판문점 선언은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주체를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로 명시했다.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중국이 제외될 수도 있다는 얘기 아니냐면서 이른바 '차이나 패싱'론 논란이 벌어졌다. 그런데도 문 대통령은 이번에는 아예 종전선언 논의 대상에서 중국을 뺀 것이다.
중국은 1953년 한국전 정전협정의 서명 당사자인데 왜 이런 상황이 됐을까.
"중국 학자들, 종전선언 참여-평화협정 체결시 주한미군 문제 논의 주장"한 국책 연구기관 관계자 A 박사는 "최근에 중국 학자들을 만나면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한국전) 종전선언에 중국이 참여해야 하며, 평화협정 체결 때 주한미군 문제를 다뤄야 한다는 얘기를 한다"며 "중국은 (체제 특성상) 위에서 지침 내려오면 정부관계자는 물론 학자들도 똑같은 소리를 한다는 점에서 이건 중국 정부 방침인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한미동맹과 그 상징물인 주한미군을 '냉전시대의 산물'로 인식하면서, 한반도에 평화협정이 맺어지는 상황에서 주한미군은 철수 등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주한미군 주둔을 전제로 미국과 협상하고 있는 북한과는 차이가 크다.
때문에 북미정상회담이 확정되고 북미관계 개선이 현실 문제로 다가서자, 미국의 영향력이 휴전선 이남이 아니라 바로 코 밑인 압록강-두만강 선으로 올라오는 상황을 우려하는 중국이 이에 대해 민감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얘기다.
이 문제는 북미정상회담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 트럼프 대통령의 돌발적인 '북미정상회담 취소 편지', 전격적인 27일 남북정상회담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중 하나로 보인다.
김정은 위원장의 3월과 5월 방중, 특히 5월 방중에서 중국은, 이같은 입장을 김 위원장 측에 강하게 제기했으며, 우리 측에도 같은 주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외교 사령탑 왕치산 "한반도 문제, 확실히 중국 이익과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