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송건호 추천사에 책의 의미 담겨

[김삼웅의 인물열전 - 시대의 상식인 김자동 평전 48] "민족의 현실과 앞날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 이 책의 일독을 권한다"

등록 2023.04.07 15:34수정 2023.04.07 15:34
0
원고료로 응원
a

1988년 1월 25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에서 송건호 한겨레신문 발행인이 한겨레 신문 창간을 앞두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한국현대사에 관심이 많았던 그에게 이 책은 많은 공부가 되었다. 그래서 더욱 번역에 열중하게 되었다. 이 해 10월 일월서각에서 번역 출판된 <한국전쟁의 기원>에 대한 '발간 축하'의 추천사를 쓴 절친 송건호의 글을 통해 이 책의 가치를 알아본다. 전문이다. 

오늘날 한국 현대사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대단히 높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좋은 일이다. 이 관심은 단순히 역사에 대한 관심뿐 아니라 오늘의 한국 현실에 대한 근원적인 원인을 밝혀보고자 하는 보다 더 민족적 자각의 한 발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의 관심과는 달리 학계에서는 이 관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 읽을 만한 현대사가 나오지 않고 있다. 이유는 물론 학계가 게으르거나 무능해서가 아님은 물론이다.

8.15 후의 현대사를 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8.15 후에 진주한 미군정이나 그 뒤를 이은 이승만 정권이 8.15 후에 응당 새나라 발족에 앞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하나도 해결하지 않고 허다한 잘못을 범했으며 이후 이 나라는 해방과 더불어 응당 후퇴했어야 할 친일파들이 나라의 실권을 장악해 왔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그 잘못을 지적하기가 어렵게 되고 만 것이다.

하여간 이런 사정 저런 사정으로 그렇게 많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보답할만한 현대사 연구가 나오지 않고 있어 독서인들이 모두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는 터에 커밍스 교수의 <한국전쟁의 기원>이라는 책이 번역 출간된다는 것은 반갑고 뜻깊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커밍스 교수를 직접 만날 기회는 없었으나, 그가 평화봉사단의 일원으로 한국에 몇 년 간 머물러 있어 한국말도 상당히 해독할 뿐 아니라 한국인이나 한국 사회에 관심과 이해도가 높은, 말하자면 일종의 지한파에 속하는 사람이다.

이 커밍스 교수가 쓴 책이 바로 <한국전쟁의 기원>이다. 이 책은 그간 공개되지 않은 미국 정부의 해방 전후의 한국에 관한 방대한 자료를 충분히 구사하여 한국인 학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연구업적을 발표하였다. 커밍스 교수의 이 연구는 8.15 이후의 한국사를 심층에서 철저하게 그리고 객관적으로 탐구했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의 추종을 불허하는 업적이다.
 
a

<한국전쟁의 기원> 영문판 표지와 일월서각 번역본 표지. <한국전쟁의 기원> 영문판 표지와 일월서각 번역본 표지. ⓒ 조성일

 
커밍스 교수의 이 책은 그간 한국 현대사를 연구하거나 관심을 가지는 인사에게는 거의  필독에 속하는, 이미 한국 현대사에서의 일종의 고전처럼 알려져 왔었으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번역 발간되지 못해 뜻있는 사람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이 이번 외우(畏友) 김자동 형의 수고로 번역이 되어 일반에 널리 읽히게 되었다니 무엇보다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김형은 본인과 50년대 조선일보사 외신부에서 같이 고생한 외신부 기자 출신의 일급 원로에 속하는 사람이다. 

오랫동안 외신부 기자로 일한 김형의 글 솜씨는 정확한 번역에 문장이 평이하고 명쾌한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민족의 현실과 앞날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 이 책의 일독을 권하면서 책의 번역과 출간을 우선 축하하고자 한다. (주석 4)


주석
4> 브루스 커밍스 지음, 김자동 역, <한국전쟁의 기원>, 1~2쪽, 일월서각, 1986. 
덧붙이는 글 [김삼웅의 인물열전 - 시대의 상식인 김자동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김자동 #김자동평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 보은집회의 중심역할을 하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파묘' 최민식 말이 현실로... 백두대간이 위험하다
  2. 2 도시락 가게 사장인데요, 스스로 이건 칭찬합니다
  3. 3 '내'가 먹는 음식이 '우리'를 죽이는 기막힌 현실
  4. 4 제주가 다 비싼 건 아니에요... 가심비 동네 맛집 8곳
  5. 5 1심 "김성태는 CEO, 신빙성 인정된다"... 이화영 '대북송금' 유죄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