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 북토크왼쪽 권오준 생태동화작가. 오른쪽이 필자.
권해진
나이 일흔에 그만, 사고를 하나 쳤습니다. 아이들이 읽는 얘기책을 펴냈거든요.
<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이라고 임진왜란을 다뤘습니다. 세종임금이 온 힘을 기울여 만들었으나 가장자리로 떠밀린 한글이 나라를 살리는 데 한몫을 톡톡히 한다는 얘기입니다. 한글뿐 아니라 백정을 비롯해 놀이패나 방물장수, 늙은이 거기에 조선으로 귀화한 일본 군인들까지 나라 살리는 데 팔 걷고 나섭니다.
여리고 서툴기 그지없을 아이들도 한몫합니다. 팔을 쓰지 못하거나 다리를 저는 아이까지도 뛰어듭니다. 한데로 떠밀린 이들이나 하찮다고 내쳐진 것들이 나라 살림에 목숨 걸고 나섰다는 얘기입니다.
비밀병기 한글은 붓에 실려 사람을 살리고 나라를 살리는 연장으로 싸움터에 나섭니다.
"하얀 해 검 하늘 어울리어 낳은 땅 / 어우렁더우렁 서로 살려라 / 일깨우신 큰 뜻, 품어 새긴 그 이름 / 아사달 아사달! // … 동무야 모여라! 내남없이 나서자! / 우리나라 사람 힘껏 지키자! / 어울려 나서는 우리가 곧 담이다 / 무찔러 일본군..."
"...이 원수들을 어찌 그냥 둘 수 있겠습니까? 내남직없이 나서서 온 힘을 기울여 야차 같은 왜적들을 남김없이 밀어내야 합니다. 싸울 사람뿐 아니라 다친 사람을 살리거나 땔감을 하고 밥을 짓는 이들도 다 의로운 맞싸울이들입니다. 뜻이 있는 분들은 의령에 있는 홍의부대로 달려오십시오."
아울러 "오월 스무나흗날 새벽에 기마병 스물, 철포 부대 이백 사람을 비롯해 일본군 이천 사람이 남강을 건너 진주로 쳐들어온다" 하는 이 말을 "남강 아무개, 스무나흗날 일찍, 오이 스무 접, 가지 두 접, 소 두 필"이란 암호입니다.
사실 저는 글과는 담쌓은 사람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초등학교 다닐 때 방학 숙제 일기를 벼락치기로 써내고 날씨가 틀려서 담임선생님에게 되게 혼이 난 뒤로 쉰 살이 넘도록 일기도 써본 적이 없을 만큼 글쓰기와는 거리가 멀었어요.
그러다가 모시던 법정 스님 곁을 스치기만 해도 베일 것 같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아 스님이 얼마나 따뜻한 분인지 드러내 보이겠다면서 다섯 해 동안 글쓰기를 익혀 예순 언저리에 책을 냈습니다. 그 뒤로 심심치 않게 책을 냈으나 소설은 처음입니다.
한글의 힘이 이렇게 대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