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초짜 정원사'가 일본에서 들은 충격적인 이야기

실용 정원의 시대를 맞고 있는 일본... 숙제하다가 만난 귀한 인연들

등록 2023.07.05 18:32수정 2023.07.05 18:32
4
원고료로 응원
일본 현지에서 75세 사부에게 정원사 일을 배우는 65세 한국 제자의 이야기.[편집자말]
a

한 정원사가 '마키나무의 밤톨'을 만들고 있다. ⓒ 유신준

 
이론수업하는 동안 숙제를 하다가 만난 사람들이 있다. 우연한 인연이었다. 개인정원 자료사진을 찍으러 동네를 돌아다니다가 전지하는 사람을 만났다. 사부가 지난번에 '두 시간이면 끝난다 했던 마키나무의 밤톨'을 만들고 있었다. 잠깐 서서 이야기를 나누는 중에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일본에서 정원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연인즉 이렇다. 요즘 짓는 신흥주택은 정원이 없다. 정원이랍시고 눈가림으로 문 앞에 잡목 한 두그루 심는 정도다. 우선 차고부터 지어야 하니까 정원을 만들 땅이 없다(일본은 차고지 증명이 없으면 차를 살 수 없다).


더구나 요즘 젊은이들은 마음의 여유도 없고 정원에 관심도 없다. 이게 딱 맞아 떨어져 일본정원이 사라지고 있다는 거다. 충격이었다. 일본정원을 배우자고 산 넘고 바다 건너 일본까지 왔는데... 어렵게 사부를 구해 지금 수업중인데 정원이 사라지고 있다니? 

시대가 바뀌고 있었다. 과시의 대상이던 정원 시대가 지나고 각자 형편에 맞는 생활정원의 시대가 오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규모 있게 만들어진 정원은 관리에 상당한 부담이 따른다. 

정원 일이 나이 든 사람에게는 소일거리요 재미일지 모르나, 바쁜 젊은 사람들에게는 부담일 터다. 사부처럼 정원이 주업인 경우는 즐거운 일이겠으나, 보통 사람들에게는 역시 성가신 작업일 수도 있다.

캐주얼 정원의 시대가 오고 있다 
 
a

규모있게 만들어진 정원은 관리에 부담이 따른다. ⓒ 유신준

 
나무 한두 그루면 어떤가. 자연을 사랑하고 즐기려는 마음이 더 중요한 거지. 세상이 바뀌면 정원도 바뀌는 법이고, 수량이 줄어들면 더 애틋해지는 법 아니던가. 뒤집어 생각해 본다면 정원이 사라지는 게 아니라 실용 정원의 시대가 오고 있는 것이다. 잘 갖춰진 정장 정원에서 가벼운 캐주얼 정원의 시대가.

또 한 사람. 40대를 지났을까 안경 쓴 여자였다. 울타리 안에서 빨래를 널다가 두 사람이 하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자기도 정원 일을 하는 사람이니 나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고 했다. 지금은 맡고 있는 프로젝트 때문에 바빠서 토요일쯤 시간을 내실 수 있냐는 것이다.


궁하면 통한다고 했던가. 인연이 인연을 부르는 게 사람 사는 이치인 모양이다. 남는 건 시간 밖에 없는 백수가 정원 전문가와 견문을 넓힐 기회니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오히려 정원 공부를 위해 이쪽에서 찾아가서 간청해야 될 일이었다. 호박이 덩굴 채 굴러들어 왔달까. 

토요일 오후 약속 시간에 그 집을 방문했다.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하다며 그녀가 명함을 내밀었다. '요시다 조경, 요시다 하루미'라고 써 있었다. 나는 하루미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과 인연이 많은 모양이다. 
 
a

신흥주택은 밝은 톤이 대부분이다. 전체 배색으로 활엽수가 활용되는 듯 하다 ⓒ 유신준

 
그녀는 원래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했는데 30여년 전 정원 설계회사에 근무하게 되면서 정원과 인연을 맺게 됐다고 했다. 지금은 독립하여 개인 사무실을 운영하며 정원설계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단다.

몇 년 전 한국의 정원 관련 프로젝트에 참가하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되었단다. 하루미씨는 귀하게 간직하고 있던 낙안읍성 초가집 사진이 실린 잡지를 보여줬다. 한국의 초가집은 부드러운 곡선이 포근한 느낌이 들어 참 좋다는 말과 함께.

지금까지 정원설계 프리랜서로 활동했던 자료집도 몇 권 구경했다. 치과의사나 저택 정원 등 작은 규모의 개인 정원이 주를 이뤘다. 니트회사와 종합병원같은 큰 규모의 설계도와 현장 사진들도 보였다. 

주로 사부의 정원처럼 활엽수를 메인 트리로 바닥에 이끼를 깔아 놓은 자연정원 스타일이 많았다. 마치 심산의 풍광을 옮겨놓은 듯 인위적인 느낌을 배제한 자연스런 디자인들이 눈길을 끌었다.

동네를 돌아다녀보면 침엽수 위주의 무겁고 어두운 정원이 많은데, 작품들은 뭔가 경쾌하고 세련미가 넘친다고 감상평을 말했다. 이쪽 쿠사노 지역은 원래 침엽수에 맞는 땅이어서 동백이나 마키같은 침엽수종이 많단다.
 
a

옛날 기와집에는 대개 마키나무같은 침엽수가 많다 ⓒ 유신준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침엽수만 심다보니 활엽수에 대한 동경심이 생겨서 요즘 활엽수 정원 붐이 일고 있다고 했다. 내 느낌으로는 침엽수가 일본 전통가옥 스타일이라면 활엽수는 서구 스타일이었다.

이 동네는 전통주택 보존지구로 지정될 정도로 오래 된 기와집이 많다. 옛날 기와집에는 대개 마키나무같은 침엽수가 많았다. 반면 간간이 보이는 신흥주택에는 활엽수가 주종을 이뤘다. 신흥주택은 밝은 톤이 대부분이어서 전체적으로 환한 느낌의 배색으로 활엽수가 활용되는 듯 했다.

정원공부 지원군이 생겼다 

그녀는 오래 된 전통가옥에서 노모와 여동생, 셋이서 살고 있었다. 여동생은 한국 드라마 광팬으로 매일밤 드라마를 보고 있다 했다. 이런 시골에서 한국 사람을 만나게 된 것이 꿈만 같다며 궁금한 이야기들을 물어오는 바람에 시간이 길어졌다.
 
a

스타일이 다른 정원 전문가를 만나게 되어 견문을 더 넓힐수 있는 계기가 됐다 ⓒ 유신준


꿈만 같은 건 이쪽이다. 하루미씨 소개로 사부같은 분을 만나게 된 것도 행운인데, 스타일이 다른 정원 전문가를 만나게 되어 견문을 더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됐다. 마치 위에 계신 분이 내려다 보면서 내 형편을 알고 미리 준비해 놓은 듯 이어진 인연이었다. 

밖에서는 봄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토요일 오후. 녹차를 몇 번이나 데워마시며 세 사람과 시간이 훌쩍 지나가고 다음 만남을 기약했다. 언제든지 서로 궁금한 내용은 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어 든든한 정원공부 지원군이 생겼다. 신비한 인연. 궁하면 통한다는 말을 온 몸으로 실감한 날이었다.
#일본정원
댓글4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창간정신[모든 시민은 기자다]에 공감하는 시민. 보통사람들이 함께 만드는 좋은 세상 위하여 기자회원 가입. 관심분야 : 일본정원연구, 독서, 자전거여행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개의 눈을 가진 모래 속 은둔자', 낙동강서 대거 출몰
  2. 2 국가 수도 옮기고 1300명 이주... 이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3. 3 '삼성-엔비디아 보도'에 속지 마세요... 외신은 다릅니다
  4. 4 장미란, 그리 띄울 때는 언제고
  5. 5 "삼성반도체 위기 누구 책임? 이재용이 오너라면 이럴순 없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