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 여행을 다니며 많이 찾았던 남원. 고풍스러웠던 옛 역사가 그립다.한나영
"웬 청승이야. 아줌마가 혼자서 기차를 타고 여행을 간다고? 그것도 밤 기차를 타고?"
오래 전의 일이다. 11시 30분에 청량리를 출발하는 밤 기차를 타고 '혼자' 정동진에 간다고 했다. 그러자 아는 사람들의 입이 가만 있질 않았다. 그들의 터진 입에서 험한(?) 말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는데….
"혹시 부부관계에 이상이? 그렇지 않고서야 남편이랑 자식 둔 여자가 한밤중에 야반도주하듯 혼자 기차를 타고 가?"
"주책 아니면 청승."
"꼭두새벽에 정동진에 가서 떠오르는 해를 혼자 보면 무슨 재민겨?"
"웬 방황? 혹시 사추기(思秋期)?"
청년시절에 혼자 떠난 기차 여행은 멋이고 낭만이고 용기였다. 적어도 내가 아는 사람들의 평가는 그랬다. 물론 나의 어머니는 "다 큰 처녀애가 겁도 없이 무슨 역마살이 끼었다고 그렇게 빨빨거리고 혼자 다니는 거냐"며 목소리를 높였지만 나랑 한 치 건너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멋있다고, 용기 있다고 격려해주던 행동이었다.
혼자만의 기차여행을 부추기는 것들
젊은 처녀의 나홀로 기차 여행은 대단히 로맨틱했다. 씽씽 달리는 승용차나 버스로 떠나는 여행과는 사뭇 달랐다. 느리게 달리는 기차 여행을 유독 즐겼던 나는 차창 밖의 소박한 시골 풍경을 보면서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막연한 동경으로 가슴이 설레기도 했고, 철따라 달라지는 자연을 감상하면서 레일이 끝나는 그곳까지 달리고 싶은 충동을 느끼곤 했다.
이런 센티멘털한 감성은 기차 여행이 주는 선물이었다. 그런데 이것뿐만이 아니었다. 날씨 역시 여행이 주는 또 다른 덤이었다. 하늘에서 내리는 모든 자연의 섭리는 축복이라고 여겼던 나는 날씨 때문에 생각 많은 철학자가 되곤 했다.
바람이 심하게 불던 날, 기차 안에서 차창을 때리는 바람을 보면서 이렇게 되뇌곤 했다. '그래, 나도 폴 발레리처럼 살아봐야겠다. 바람이 부니까.' 햇살이 가득 쏟아지는 날이면 눈을 찡그리며 <이방인>의 뫼르소를 떠올리기도 했다. '뫼르소의 살인을 충동했던 햇살도 아마 이렇게 강렬했을 거야.'
폭설이 퍼붓던 날, 의기양양하게 떠났던 기차 여행은 그야말로 '백설공주'의 행차였다. 온 세상이 느릿느릿 거북이 걸음을 걷고 있을 때 공주가 탄 기차만 씽씽 달리는 특권을 누릴 수 있었으니까.
안개와 비로 촉촉이 젖은 하늘은 기차 여행에 가장 매력적인 날이었다. 뿌연 안개와 육감적인 냄새를 풍기는 비. 가슴을 시리게 했던 영화 <애수>의 워털루 브리지를 감쌌던 안개나 주인공들의 암울한 운명을 말 대신 전달했던 <무기여 잘 있거라>에 나오는 비는 기차 여행을 환상적으로 만들어준 중요한 소품이기도 했다.
누가 뭐래도 떠난다
하여간 사색에 빠져들고 추억에 잠길 수 있는 기차 여행은 누가 뭐래도 포기할 수 없는 삶의 일부분이었다. 아니, 좀 더 거창하게 말하자면 무덤덤한 존재를 빛나게 해주는 윤활유였다. 그러니 나이가 들어 청년에서 중년으로 신분이 바뀌었다고 해서 이런 기차 여행을 포기할 수 있겠는가.
그런데 왜 하필 혼자만의 여행이냐고? 릴케의 말이었던가. "인간은 고독, 그것입니다." 물론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떠나는 여행도 즐겁고 의미가 있었다. 하지만 내면에 대한 깊은 성찰을 가능하게 해주는 진정한 여행은 홀로 떠나는 여행이었다.
물론 이런 여행은 가족들의 이해가 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요리를 잘 하는 남편이나 독립적인 아이들은 내 여행을 적극 후원해 주는 서포터즈이기도 했다. 그렇지만 내가 아는 사람들, 아니 나를 모르는 사람들의 '나홀로 아줌마 여행'에 대한 반응은 대단히 삐딱했다. 그들은 대개 독설을 퍼붓거나 핀잔을 주기 일쑤였다.
"아줌마 혼자 왔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