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24일 오전 당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서울 관악구 난향동의 기초생활수급자인 김상배(61)씨 집을 찾아 도시락을 전달하고 복지 정책 공약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뒤 집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최근 서울의 한 지하 월세방에서 생활고를 비관한 세 모녀가 마지막 월세와 공과금 70만 원이 담긴 하얀 종이를 남기고 숨진 채 발견됐다. 이 소식을 듣고 많은 국민은 우리 사회의 열악한 복지체계와 허술한 사회 안전망이 세 모녀를 죽음으로 몰아갔다며 이들의 죽음을 애도했다.
이렇게 질병과 극심한 생활고를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포기하는 가난한 이들의 죽음이 잇따르고 있다.
가난한 이들의 계속되는 죽음아픈 70대 어머니를 돌보던 40대 딸이 질병과 생활고로 모녀가 함께 자살한 사건, 만성신부전증을 치료해 오던 50대 아버지가 부양자인 딸에게 소득이 발생해 기초생활수급 자격이 박탈되어 월 100만 원이 넘는 치료비를 감당 못해 자살한 사건, 장애아들을 둔 일용직 노동자였던 아버지가 자신 때문에 아들이 의료급여를 받을 수 없게 되자 사회복지사에게 자신의 아들을 잘 부탁한다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한 사건 등 아무리 노력해도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기 어려운 이들이 스스로 가난한 삶을 마감하고 있다.
한국은 양극화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돼 빈곤층이 빠르게 늘고 있다. 하지만 가난한 이들이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기에는 복지체계가 너무 허술하고, 어떤 혜택도 받을 수 없는 '복지사각지대'가 거대하게 존재한다.
가난한 이들을 위한 유일한 복지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있지만 까다로운 자격기준과 빈곤층 모두 포괄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결국 그 제도는 가난한 이들에게 최후의 안전망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의료급여제도도 마찬가지다. 이 제도는 빈곤층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질병으로 인한 가계 파탄을 막고 빈곤과 질병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 주는 사회안전망의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의료급여는 빈곤층의 의료보장이라는 기본 취지에 걸맞지 않게 빈곤층을 포괄하지 못한다. 오히려 정부는 의료급여의 재정 안정화라는 이유로 의료급여 수급권자에게 본인부담을 부과하거나 이들에게 의료 이용을 제한하는 일들을 지속적으로 벌여왔다.
건강보험제도와 의료급여로 가난한 이들이 혜택을 받고 있는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 세 모녀의 사건에서 보듯이 질병으로 인한 높은 본인부담과 제도의 사각지대 탓에 가난한 이들은 병원 문턱 앞에서 발길을 돌린다.
한국보건사회연구소가 조사한 결과를 보면, 만성질환자가 있는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20% 정도다. 하지만 이를 기초생활수급 가구와 차상위 가구에 적용하면 이 비율은 각각 63%, 58%로 크게 늘어난다. 빈곤하지 않은 가구에 비해 두 배가 훌쩍 넘는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