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20일에 NPO지원센터가 실시한 미트쉐어 홍포 이미지. NPO지원센터에서는 미트쉐어를 통해 활동가들끼리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NPO지원센터
이처럼 시민단체 내부에서 노력을 기울이는 것과 함께, 시민운동의 저변을 넓히기 위한 사회적 차원의 대책 역시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재진 등의 2002년 논문 <각국 엔지오(NGO) 활동 실태에 관한 비교연구>에 따르면 독일, 미국 등 선진국의 시민단체들은 우리와 사정이 다르다. 해외의 시민단체들은 회비와 기부금을 내고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일반 회원들의 저변이 넓기 때문에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는 편이다.
독일의 대표적 환경단체인 독일환경자연보호연합(BUND)은 단순 사무직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업부서 직책을 자원봉사 회원으로 채워 운영하고 있다. 독일 국민 중 절반 이상이 시민사회단체 회원으로 가입돼 있을 만큼 시민들의 참여도가 높기 때문에 조직의 인적 충원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시민운동에 '시민'이 없고 활동가만 보인다는 지적을 받는 우리 사회와 대조적이다. 미국의 경우도 총회에 참석하고자하는 회원이 너무 많아 각 지부에서 선발된 대의원에게만 참가 자격을 주는 시민단체가 많다. 회원의 열의가 높고 각 지부로 권한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처럼 수직적 조직에서 '비민주적 의사결정', '소통부재'의 논란을 빚는 일이 별로 없다는 설명이다.
선진국과 국내 시민단체의 가장 큰 차이는 재원조달이다. 선진국일수록 시민단체 수입에서 회원들이 납부하는 회비 비중이 높고 공적영역에서의 지원과 기업후원이 투명하게 이뤄진다. 이를 촉진하는 것은 개인과 기업의 기부를 조세감면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는 제도다.
반면 우리나라는 올해 세제개편에서 중산층 이상의 기부금에 대한 공제혜택이 종전보다 줄어들게 돼 부정적 파장이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공익 활동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촉진하고 자원봉사와 기부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기부금 공제 확대 등의 제도적 보완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한편 활동가들이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증제를 도입하고 공직 진출의 길도 열어 직업적 장래성을 높여야 한다는 제안도 나온다. 김정희 부산대 NGO학 협동과정대학원 참여교수는 "활동가들을 자원봉사자가 아닌 전문가로 인식할 수 있도록 관련 학회 등에서 경력자에 대한 인증제를 도입하고, 미국처럼 지자체의 개방형 공직이나 공기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해 공익적 가치를 공유한다면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