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아들과 함께 한 불령산 산행

내 마음의 고향 청암사·수도암에 다녀와서

등록 2006.03.13 12:12수정 2006.03.15 18:51
0
원고료로 응원
지난 2월 28일 신학기 개학을 앞두고 자식놈들(중2, 고2)을 데리고 청암사와 수도암(경북 김천시 증산면)을 다녀왔다. 몇 년간 청암사에서 수도산, 불령산 줄기를 넘어 수도암으로 넘어가는 새 학년을 설계하고 다짐하는 산행을 가져왔다.

버스를 타고 갔는데 버스 안의 승객이라고는 나이 드신 할아버지, 할머니들 밖에 없었다. 그분들의 대화는 너무나 정감이 있어 좋았으나, 한편으로는 지금의 농촌 현실을 반영하는 듯 하여 안타깝기만 하다. 아흔 아홉 고개인 가목재를 넘어 가는 길은 멀미가 날 지경이지만 고갯마루에서 본 증산면은 세상 밖 또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것 같다.

증산면 소재지(옥동)에서 청암사까지(약 10리) 걸어서 가기로 하였다. 완행버스를 타고, 내내 걸어야하는 일정이 자식놈들은 영 마음에 들지 않아 한다. 내 입장에서는 내가 초등학교 때에 주로 소풍 다니던 코스다.

35년 전쯤 비포장인 이 길을 그렇게 기분 좋게 다녔었다. 달 밝은 밤 비포장 신작로는 더욱 하얗고, 밤이슬이 내려 달빛에 반사된 풍경이 소금을 뿌려 놓은 듯 하얀 그림 같은 길이 아니었던가. 그 때의 소풍은 거의 축제날이었다. 일단 많이 걸어서 갔고, 보물찾기, 노래자랑이 있었다. 지금의 소풍과 비교할 때 자식놈들은 도저히 이해하지 못 한다.

청암사 초입에 들어서니, 몇 그루의 전나무가 절의 역사를 말해주는 듯 하다. 초입부터 일주문까지의 길은 계곡을 옆에 끼고 있다. 아늑하고 상쾌한 기분이 이를 데 없는 길이다.

a

청암사 입구부터 이어지는 계곡 ⓒ 성종기

일주문을 지나 소나무 숲에서 숨을 고른다. 천왕문에서 합장한 다음 다리를 건너기 바로 전에 우비천(샘)이 있다. 풍수로 볼 때 청암사는 소가 누워있는 형상이며, 이 샘이 소의 코의 해당한다고 한다. 소의 코는 항상 촉촉하게 젖어 있어야 한다. 이 절이 흉할 때는 이 샘이 정말 말라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샘의 물이 아주 많고 맑다. 그래서인지 현재 청암사는 비구니 승가대학으로서 완전히 자리를 잡은 듯 하다.

a

청암사 일주문(성당 김돈희의 글씨이며 이 절에는 성당 선생의 글씨가 많다) ⓒ 성종기


a

우비천 샘물 ⓒ 성종기

우비천 옆 다리에서 바라보는 노산폭포는 이 절의 경치 중 최대 장관이다. 대웅전 부처님께 3배를 올린 후 극락암으로 향했다. 극락암 보광전은 인현왕후의 원찰이라고 한다. 그래서 인지 바위 곳곳에 음각 된 상궁들의 이름이 눈에 많이 띈다. 그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은 내가 몸담고 있는 김천고등학교를 설립하신 최송설당 여사님이시다.

a

우비천에서 바라 본 노산폭포 ⓒ 성종기


a

청암사 대웅전 ⓒ 성종기


a

극락암 ⓒ 성종기

불령계곡으로 산행을 시작한 지 1시간 쯤 지나 수도산 줄기의 8부 능선에 올라서니, 가야산의 북쪽이 한눈에 들어온다. 청암계 표지석에서 서쪽으로 30분을 지나니 드디어 수도암이다.

수도암은 수도산(해발 약 1300m)의 8부 능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물을 네 점이나 보유하고 있는 암자로 비구스님들의 선방으로도 유명하다. 수도암에 서면 수도산에서 단지봉을 거쳐 가야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장관이다.

a

수도암 전경 ⓒ 성종기

내내 날씨가 흐려 비나 눈이 올 듯 하더니 드디어 진눈깨비가 퍼붓듯 내린다. 깊은 산중에서 눈 내리는 산사의 분위기는 환상적이다.

a

눈 내리는 수도암 ⓒ 성종기

노선버스가 끊어질까 걱정되어 걸음을 재촉하여 수도리로 향했다. 수도마을부터는 성주 대가천의 원류인 용소계곡을 따라 소재지(옥동)까지 15리를 걸어야한다. 걷는 동안 아들놈들은 연신 다리와 발가락이 아프다고 야단이다. 걸을 때마다 내 어릴 적 이야기를 하면서 달래본다.

a

수도 마을에서 용소 계곡을 따라 걸으며 힘들어 하는 두 아들. ⓒ 성종기

야무지지 못하고 매사에 우유부단하며 욕심이 없는 큰놈을 볼 때면 못난 나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 더욱 화가 나서 심하게 나무라게 되니 한편으로는 속상하고, 안쓰럽다. 못난 부모의 모습을 자식에게서 볼 때 화가 많이 나는가 보다.

공부에 찌들리지 않고 이름 모를 풀, 나무, 돌, 물 그리고 산에게서도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주위의 모든 이에게 사랑과 아량을 가지며 의식이 살아있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

a

세상을 다 품고 싶은가? ⓒ 성종기

오늘 하루의 산행을 자식놈들이 힘들게 생각할지라도 나는 이들과 함께 한 하루가 한없이 행복하고, 소중하다. 내가 어린 시절을 추억하듯, 저놈들도 나이 들어 오늘을 추억할 것을 기대한다. 내내 눈은 내리고 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