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8월부터 개정법안으로 실행된 자기분담금 정률제에 의해 차량수리비의 20%를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한헌
손해보험협회는 2007년 8월부로 자동차 수리비의 20%를 본인이 부담하는 "자기분담금 정률제"의 법안을 국회에 통과시켰다. 자기분담금 정률제는 차량 수리비의 20%를 보험가입자가 부담하는 제도로서, 종전 5만 원이던 자기분담금을 최소 20만 원, 최대 50만 원의 범위에서 본인이 지불해야 한다는 제도다.
표면적으로는 "사고를 낸 가입자는 분담금을 더 많이 내고, 사고를 내지 않는 가입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줌으로써 사고발생을 줄이고 가입자들의 보험료에 대한 부담을 줄여준다"는 취지였으나, 2007년 8월 이후 자동차 보험료의 인하는 단 한 차례도 없었다.
오히려 손보사들의 손익구조가 나빠졌다는 근거없는 이유를 들어가며 해마다 3~5% 정도의 보험료를 인상하면서도, 보험에 가입하지 않으면 도로에조차 나설 수 없는 도로교통법을 담보로 가입자들의 할증률은 더욱 높여왔다.
이같은 손해보험사들의 횡포는 그들의 매출액에서 드러난다. 대표적으로 삼성화재의 경우 2012년도 상반기 매출액은 8조2933억 원으로 작년 동 기간의 매출액보다 무려 15.9%가 증가한 금액이며, 해당 기간의 순이익이 삼성화재 자체에서 얘기하는 금액으로도 4300억 원을 넘어섰다. 돈을 더 많이 벌었다고 허위로 신고하는 회사는 없을 테니, 실제로는 어떨런지…. 아무런 시설투자도 필요없이 그저 '돈 놓고 돈 먹는' 손보사의 영업은 그야말로 '땅짚고 헤엄치기'로 보일 수밖에 없는 듯하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보험사가 돈 많이 버는구나'에서 끝나지 않는다. 앞서 말한 최아무개씨처럼, 최소 20만 원에서 최대 50만 원이나 되는 자기분담금이 부담스러운 사람들이 정규 정비업체를 이용하지 못하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무허가 정비업체나 속칭 '떳다방' 등에 차를 맡기고 있다는 현실이다. 자기분담금 정률제를 통해 가입자들의 부담을 줄여주기는커녕, 보험료는 보험료대로 내고 정작 차를 고칠 때는 또 비용을 지불하면서도 무허가 정비업체, 혹은 불법 정비업체를 찾아서 믿음직스럽지 못한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뻔히 이러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것은 2007년에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이 법을 통과시킨 국회의원들 역시 모르지는 않았으리라. 대기업의 횡포, 대기업의 횡포 노래를 부르지만, 보통 사람들인 우리로서 피부로 느끼는 대기업의 횡포는 그다지 많지 않다. 하지만 오늘도 우리는 보험에 가입했으나 보험처리는 쉽사리 할 수 없는, 위험천만한 자동차를 타고 밀리고 막히고 치이는 도심 속을 달린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