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본회의 D-1, 쏟아진 '탄핵' 경고... "이탈표 X 정의표 O"

28일 해병대원특검 재표결... 이재명 "국힘, 용산 아닌 국민 두려워해야"

등록 2024.05.27 11:23수정 2024.05.27 11:23
0
원고료로 응원
22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를 하루 앞둔 27일, 야권에서는 어느 때보다 '탄핵'이라는 말이 자주 날아들었다. 윤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국회로 되돌아온 해병대원 특검법 재의 표결을 목전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수신처는 여당인 국민의힘이었다.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을 향해 "만약 여러분들이 반대표를 던지면 의도와 달리 윤 대통령의 탄핵 요건이 더욱 완성된다"고 설득했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사임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의 사례를 들며 "윤 대통령은 예외일 것 같나"라고 압박했다.

'격노한 게 죄냐'고? 박찬대 "격노 때문에 이 문제 불거진 것"
 
a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남소연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탄핵을 언급하는 대신 국민의힘 의원들을 향한 '호소 전략'을 썼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 본청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소속 정당을 떠나 국민 대리인으로서 주권자의 명령을 받들 책무가 국회에 있다"면서 "역사가 국민의힘 의원들의 선택을 기억한다. 용산이 아니라 국민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격노한 게 죄입니까?'

특히 이날 최고위원회의에는 성일종 국민의힘 사무총장의 이 발언이 도마에 올랐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당 사무총장이라는 분이 대통령이 격노한 게 무슨 문제냐는 궤변을 늘어놓던데 참 기막히다"라면서 "대통령의 격노 때문에 이 문제가 불거진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성 사무총장은 지난 26일 KBS 시사프로그램 <일요진단 라이브>에서 "대통령이 법률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조사할 사람이 기소 의견을 내고 과실치사로 씌우니 문제가 있다고 격노하면 안 되냐"고 말한 바 있다.

정청래 최고위원 또한 "대통령도 사람인데 격노할 수 있다. 문제는 (대통령의) 격노에 따른 부정, 불법 행위가 있었느냐, 수사 방해를 받았느냐이다"라면서 "(격노 이후) 진실이 은폐됐다면 한국판 워터게이트가 되고도 남는다"라고 말했다.

고민정, 서영교 최고위원은 '대통령 격노설'을 뒷받침하는 증언들을 열거하며 '직권남용죄' 가능성을 언급했다. 고 최고위원은 "격노는 이제 사실로 확인되고 있고, (격노로) 수사 외압이 됐는지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서영교 최고위원은 성일종 사무총장의 라디오 인터뷰 내용을 언급하며 "윤 대통령은 (이 의혹에서) 빠져나갈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이탈표 아닌 정의표, 양심표"... 민주당, '가결표 모으기' 총력

조국혁신당은 '탄핵' 경고에 더 열을 올렸다. 황운하 원내대표는 같은 날 당선자총회에서 "윤 대통령은 자신이 수사 대상이 될 특검법을 거부함으로써 이미 결정적인 탄핵사유를 만들었다"며 "여당 의원들의 재의결 부결표는 탄핵 열차의 출발 단추를 누르는 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검법 거부라는 탄핵 사유가 국회 재의결로 희석되기에는 윤 대통령이 국회 표결에 영향을 미친 흔적이 너무 많다"는 지적이다.


한편, 민주당은 본회의 개회 전까지 '가결표 확보'에 총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해식 수석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 낙천 의원들에 대한 (가결표) 설득 작업에 집중하고, 개별 의원들과 스킨십을 강화하며 가결표 호소를 하기로 했다"면서 "이탈표가 아닌 정의표, 양심투표, 소신투표를 해주길 바란다는 여론전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윤석열 #해병대원특검 #본회의 #국민의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2. 2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3. 3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4. 4 신장식 "신성한 검찰 가족... 검찰이 김 여사 인권 침해하고 있다"
  5. 5 디올백 무혐의, 어느 권익위 고위 공직자의 가상 독백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