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환경부가 일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을 철회하자 관련 다회용기 업계는 계약 취소 등 피해를 호소했다.
Trash busters
"대체재는 사회적 합의의 산물"… 한국 정부, 추진 의지 보여야
대체재 도입을 위해선 한국 정부가 더 강력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거듭나왔습니다.
홍수열 자원순환경제사회연구소 소장은 현재 한국 정부의 의지와 준비에 대해 강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재생원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선 기술과 설비 모두 투자가 필요합니다.
다만, 이를 이끌어낼 만큼 강력한 규제를 만들려는 의지가 잘 보이지 않는단 지적입니다. 지난해 일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시행 철회, 일회용품 사용규제 계도기간 연장 등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됩니다.
지난 2년간 정책 후퇴로 인해 시민들의 정책 신뢰도가 낮아졌단 것이 허승은 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의 지적입니다.
이규용 한국환경한림원 회장은 "하다 말 것이라면 절대 하지 말라"고 일침을 놓았습니다.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과도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단 것이 그의 말입니다. 그는 대체재의 핵심을 두 가지로 꼽았습니다. 연구개발(R&D)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와 대체재로 인한 불편함을 감수하는 사회적 합의입니다. 사회적 고통 분담을 통해 대체재 상용화가 점진적으로 진전된다는 것이 이 회장의 설명입니다.
정책이 중도에 변경될 경우 기업과 국민들이 치러야 비용이 크단 점도 강조됐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주 확실한 로드맵과 후퇴하지 않는 일관된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이 회장은 당부했습니다.
업계 데이터 부족 호소에 한국환경공단 관계자 "곧 공개 예정"
그러나 정작 업계에서는 대체재와 재생원료 사용을 위한 데이터 부족을 호소했습니다. 개발된 기술은 많지만, 막상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단 진단입니다.
소재 관련 전과정평가(LCA) 기본 데이터가 대표적입니다. 대체재의 친환경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재 이용되는 물질의 LCA 정보가 필요합니다. 허나, 국내에서는 관련 정보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마침 현장에 참석한 한국환경공단 자원순환통계부 관계자의 답변이 이어졌습니다.
관계자는 현재 국내 통계기준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습니다. 이에 지난 2~3년간 집중 작업에 나섰다고 설명합니다.
그 결과, 원료 생산부터 소비·유통·재활용·폐기 단계까지 통계가 거의 완성된 상황이라고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이어 올해 하반기가 지나기 전에 학계·전문가 대상으로 관련 내용을 공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