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종원 대표원장의 건강의집의원은 2019년 3월부터 문을 열고 방문진료중이다
국민총행복전환포럼
2019년 3월부터 문을 연 건강의집의원은 홍 원장의 의료 철학이 녹아있는 공간으로 중증장애인을 찾아가는 방문 진료를 첫 시작으로 의료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병원에는 재가장기요양센터, 방문간호 센터나 대학병원, 종합병원에서 의뢰가 오거나 직접 병원으로 연락하여 방문진료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의뢰 후 주치의로서 방문진료를 하고 향후 돌봄계획을 세워 필요시 가정간호 처치를 하기도 합니다. 일방적인 진료가 아니라 의사와 환자 및 보호자가 소통하여 필요에 따라 방문주기를 결정하고 계속해서 관리나 치료 혹은 돌봄으로 관계를 이어나가게 됩니다.
건강을 돌본다는 것은
홍 원장은 계속된 방문 진료와 마주하는 임종 앞에서 '건강 관리'란 무엇이고 치료와 돌봄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이 든다고 했습니다. 그가 만나는 환자의 건강 관리는 인간적인 관계에서 시작해서 죽음으로 끝나는 경우가 있고, 이런 상황에서는 환자의 삶과 보호자의 마음을 잘 돌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건강한 노년의 삶을 위해서 돌봄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어떤 돌봄이 필요한 것일까 하는 것은 우리 모두가 깊이 생각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어떻게 관계 맺을 건인가
노인이 늘어나고 어린이가 적어지는 미래의 사회는 편리하고 윤택하기보다 사실은 어려운 상황이 더 많을 거라는 우려가 끊이지 않습니다. 홍 원장은 일련의 방문진료 경험을 통해 미래의 돌봄 공동체를 위한 깊은 사유를 계속한다고 말했습니다.
생애 말기 환자들에 대해 치료 중심에서 돌봄 중심으로 접근할 수는 없을지, 근본적으로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일지를 고민하며 더 나은 돌봄을 모색합니다. 한편으로 고독사는 고독생으로부터 오는 것인데 이 고독한 생을 어떻게 마주할 것이며, 어쩌면 건강한 삶이라는건 환상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든다고도 합니다.
홍 원장은 우리가 사회적 입원을 하고 어쩔 수 없이 시설에 입소하는 이유가 단순히 의료적인 치료의 부족이 아니라 돌봄의 부족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죽음을 앞두었을지라도 서로가 서로를 잘 돌보며 살아갈 수 있을까'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을 함께하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우리의 관계를 돌봄이라 부를 때
홍 원장은 무엇이 우리를 살리는가? 무엇이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가?하는 질문과 함께 '우리는 곁을 지키고 함께 살아가는 이들 속에서 존재를 이어나갈 수 있고, 우리의 생존은 온전히 우리를 돌보는 이들 덕분'이라는 생각을 전했습니다.
서로가 서로를 외면하지 않고 돌볼 때 우리는 아파도 살아갈 수 있으며 질병과 차별 속에 고통 받는 이에게 이웃이 손가락질하지 않고 위험할 때 도와줄 수 있는 신뢰가 있다면, 우리 모두가 서로에게 건강의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홍 원장은 "어떻게 하면 따뜻한 말 한마디를 더 건넬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아플 때 위로의 손을 내밀 수 있기를 바란다"는 말을 끝으로 발제를 마쳤습니다.
우옥영 (사)보건교육포럼이사장은 "진정한 치료는 기술이 아닌 터치(touch)다, 약이 아니라 공감이다" 하는 말에 깊이 공감하며 건강과 죽음에 대한 깊은 사유가 드는 발제였다고 토론을 열었습니다. 우 이사장은 "사실 우리는 죽음 자체가 아니라 죽음의 과정을 두려워하는것이 아닐까 한다"며 "그동안 우리나라는 성공을 중시하는 반면에 삶의 질이나 돌봄을 덜 가치롭게 생각했는데, 이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이 절실하다"고 생각을 전했습니다.
이어 우 이사장은 "방문 의료는 돌보는사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그동안 우리는 그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며 "돌봄노동이 평가절하되는 현실에 재평가가 필요하고, 통합적 제도적으로 지지가 필요하다"고 문제를 꼬집었습니다. 또한 "사회적 신뢰를 기반으로 통합돌봄지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들고, 여기에는 국가적인 지원이나 공공의, 시민들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발언을 마무리했습니다.
이재경 국민총행복정책연구소장은 "UN에서 행복을 측정하는 6가지 지표 중 '수명'은 대한민국에서 행복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 연구해 보면 노인들의 행복도는 낮다"며 "노인들은 질병과 아픔, 치매에 대한 두려움이 높아 미래의 행복에 매우 부정적입니다"라고 수명과 행복에 대한 모순을 전했습니다.
이 소장은 "사람은 노년기 마지막 10년을 어떻게 지내는가가 아주 중요한데 참 아프지 않고 행복하기가 어렵구나를 느낀다"며 "웰빙이 중요한 만큼 웰다잉도 중요하게 고민해 봐야 할 지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한국이 각자도사의 사회가 되어가는데 홍원장과 관계를 맺었던 환자들은 더 높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었을 것이란 생각을 했다"며 방문진료와 돌봄이 환자들의 삶의질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우리 사회의 패러다임을 경제성장에서 국민총행복으로 전환하기 위해 다양한 시민이 한데 모여 국민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행복정책을 연구하고 행복을 소통하고 함께 행복하기 위한 방법을 알립니다. 모두 함께 행복!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