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문 골목책방> 골목을 찾아가는 맛

<헌책방 날적이> 2000년 9월 18일에 찾아간 이야기

등록 2000.09.18 22:49수정 2000.09.19 09:14
0
원고료로 응원
지하철 5호선을 타고 서대문역에서 내려서 <골목책방>에 찾아갈 수도 있습니다. 걷기엔 좀 먼 거리인 듯하죠. 감리교신학대학교로 올라가는 길도 지나가고 길 건너편에 있는 옛책방 <연구서원>도 물끄러미 바라보고 가노라면 큼직하게 벌여져 있는 저잣거리 들목을 만납니다.

그냥 큰길을 따라가면 큰길에서 저자통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자리한 <골목책방>으로 쉽게 갈 수 있죠. 그러나 서대문역쪽에서 갈 때면 으레 이 저자통을 지나갑니다. 제가 좋아하는 쑥떡을 저자통 지나가며 사먹을 수 있고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과 냄새를 함께 할 수 있어 좋거든요.


지난 일요일. 바로 어제네요. 냉천동에 있다는 방을 보고나서 <골목책방>을 찾아갔습니다. 이달 끝물에 방을 빼고 나오며 새 곳으로 가려다 냉천동을 알아보았는데 재개발 위험이 있지만 자리는 참 좋더군요. 환경운동연합 사무실이 있는 누하동 사직공원부터 광화문쪽까지 시원하게 잘 보이는 터에 방이 있어요. 방은 그야말로 달동네 중턱에 있답니다.

방을 다 보고 터덜터덜 시장통을 지나가는데 갑자기 언저리가 환해집니다. 왜 그러지 하며 위를 바라보니 지난 칠팔월 사이에 이곳에 지붕을 얹는 공사를 했더군요. 이곳 저자통은 가게마다 대강 차양막 비슷하게 어지러이 올리지만 비 오는 날이면 줄줄이 비가 새서 파는 사람도 애먹고 사러오는 사람도 애먹었거든요. 높직하게 지붕을 올려서 하얀 천으로 대놓으니 저자통이 한결 밝고 더 넓어 뵙니다.

이렇게 저자통 거의 끝까지 다 와서 오른쪽으로 빠지는 샛길로 나가면 <골목책방>이 보이죠. 낮밥 때쯤 되었을 겝니다. <골목> 아저씨는 텔레비전을 켜 놓고 올림픽 경기를 봅니다. 계 순희 선수가 나와서 상대 선수를 손쉽게 한판승 하는 모습이 나오네요. (계 순희 선수는 이튿날 판정으로 4강에서 지고 말았습니다.)

<골목> 안쪽 가게에 있는 책을 먼저 볼까 하다가 안쪽엔 사람들이 많이 있어서 먼저 바깥에 있는 책들을 살핍니다. <골목>은 안쪽 가게는 조그맣지만 바깥, 그러니까 저자통으로 들어가는 길목 두 편에 책장을 놓고 책을 꽂고 쌓아두고 있기에 무척 넓다는 느낌이 듭니다. 바깥에는 일반 책, 종교, 기술-수험서, 어린이책, 잡지, 일본 요즘 책 들이 있고 안쪽 가게에는 관공서에서 펴낸 책자와 자료, 옛책, 일본 옛책, 낱말책이 있습니다.

칠월 가운데 무렵 오고 두 달만에 와서 보니 안쪽 가게엔 레코드판을 벽쪽 책꽂이에 가득 꽂아두고 안쪽으로 들어가는 바로 코앞 책장에도 레코드판을 줄줄이 꽂아두었더군요. 그 옆은 책들을 아직 갈무리하지 못하고 그냥 어지러이 놔두셨습니다. 안쪽 가게에 레코드판 놓는 자리를 새로 만들어 가고 있는 징검돌인 듯 싶습니다.


저는 바깥 책꽂이에서 <사진과 평론 1집,사진과평론사(1980)>과 <방송문화진흥회-시민이 생각하는 방송,한울(1999)>을 건졌습니다. <시민이 생각하는 방송>은 시민들이 좋고 나쁜 방송을 가려내며 왜 좋은지, 왜 나쁜지를 꼼꼼히 밝힌 비평글을 모은 책입니다. 그리고 이 책은 99년에 나온 책치고 5000원이란 싼 값을 달고 있는데 방송문화회에서 출판지원금을 보태서 값이 이렇게 낮다는군요.

<사진과 평론> 1집 첫꼭지글로 실은 알프레드 스팽글러 사진 세계 이야기와 한 정식씨 사진 <서울(1)>이라는 사진들이 무척 괜찮네요. 한 정식 씨는 당신이 어렸을 적에 `납작한 기와집'들을 떠올리며 달라져도 너무 많이 달라진 서울이 사라져가고 있다면서 "서울 사람들이 제 바닥 다 내어 주고 변두리로 밀려 나듯 그렇게 서울은 점점 사라져가고 있나 보다" 하고 말합니다.


사실 지금 서울 토박이라고 할 수 있는 적잖은 사람들은 계동이나 전농동 등지에서 `구옥(한옥)'이란 이름을 가진 낡은 집에서 살아가잖습니까. 오랜동안 한 집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나날이 줄어들고 사라지니 서울 토박이가 누구인지 알 길이 없어져 보이는 건 어쩔 수 없겠죠.

안쪽 가게에서 슬금슬금 책들을 뒤적이다 <한글학회-중사전> 하나를 찾고 토끼와 얽힌 속담을 자료로 담은 <국립민속박물관-토끼의 생태와 관련민속>을 집었습니다. 심심풀이 땅콩으로 <조선일보 80주년 기념 시디롬>과 <월간조선 별책부록 대한민국 현행법령 전집 모음 시디롬>도 한 장씩 집었지요. <조선>이 자기들 창간 여든 돌을 맞이해서 도대체 무슨 이야기들을 이야기하는가 알아볼까 하는 마음에 돈은 좀 아까웠지만 무거운 책이 아니니 한 번 볼까 하고 샀답니다.

<골목>에서는 이런 자료들을 짬짬이 봅니다. <골목> 아주 가까이에 <경향신문사>와 <문화일보사>가 있는 까닭에 두 신문사에서 내는 출판물은 <골목>에서 거의 `지겹도록' 만난답니다. 한때는 동아일보사에서 자료편수국에 있던 40-60년대 자료들을 무척 많이 처분해서 좀 귀한 책들이 넘쳐났는데 이 책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서 거의 모두 팔려나갔습니다.

<골목>에서 책을 보는 재미는 바로 정부에서 `팔지 않는 부정기간행물'로 내는 갖가지 자료들을 보는 재미입니다. 이 자료들 가운데는 그야말로 알짜들도 있지만 그냥 단체나 도서관에 한두 부씩 보내는 걸로만 그치는 괜찮은 자료들도 있거든요. <북한의 사전편찬 연구> 같은 책들은 우리 말갈(국어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갖춰두면 좋은 자료지만 `비매품'으로 나오고 그치기에 이렇게 <골목>을 찾아오며 이런 자료들을 찾는답니다. 행정자치부나 여러 주무부서에서 펴낸 `용어순화집'도 `비매품'이기에 <골목>에 와서야 비로소 이 책들을 보고요.

<골목>은 앙증맞은 나무판에 칼로 글자를 파서 새긴 `골목책방'이란 조그마한 간판이 아름다운 곳입니다. 아저씨 아줌마는 따로 명함을 만들지도 않았고-지난날엔 만들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간판에는 전화번호도 적어두지 않으셨죠. 지난날 퍽 여러 번 전화번호를 여쭈었으나 그때마다 번번이 전화번호는 알아서 무어 하냐고, 찾는 책이 있으면 손수 찾아와서 봐야지, 전화로 물어봐서는 당신도 어디에 있는지 알 길이 없고, 책은 자기가 두 눈으로 참말로 필요한지를 살펴서 사야 한다고 전화번호를 안 가르쳐 준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다 말수 얼마 없으신 아저씨에게 전화번호를 어렵사리 얻었지요. 저야 전화로 어떠한 책이 있는가를 묻지 않고 찾아가지만 처음 <골목책방>을 가는 이들은 전화번호라도 알아야 전화로 묻고 찾아갈 수 있을 테니까요. 그리고 괜한 전화를 걸어서 이것저것 묻는데 많이 시달리기도 하셔서 전화번호를 안 가르쳐 주시는 듯합니다.

아무튼, <골목> 오른편에는 서대문역(5호선)이 있고 왼편에는 독립문역(3호선)이 있습니다. 이대뒷문과 사직공원으로 이어지는 고가도로가 바로 왼편 길에서 지나가고요. 버스를 타고 가면 독립공원 바로 다음 역이나 사직공원 가기 한 정류장 앞서서 내리면 됩니다.

덧붙이는 글 | [독립문-골목책방] 02) 313-5006

헌책방 이야기는 <나우누리 통신작가 글마당(go penw 54)>에 1998년부터 올리고 있으며 이 글들은 http://pen.nownuri.net 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지난날 쓴 글과 오마이뉴스에 소개한 책방 이야기를 쓴 다른 글은 이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독립문-골목책방] 02) 313-5006

헌책방 이야기는 <나우누리 통신작가 글마당(go penw 54)>에 1998년부터 올리고 있으며 이 글들은 http://pen.nownuri.net 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지난날 쓴 글과 오마이뉴스에 소개한 책방 이야기를 쓴 다른 글은 이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겁나면 "까짓것" 외치라는 80대 외할머니 겁나면 "까짓것" 외치라는  80대 외할머니
  2. 2 한국 의사들의 수준, 고작 이 정도였나요? 한국 의사들의 수준, 고작 이 정도였나요?
  3. 3 대세 예능 '흑백요리사', 난 '또종원'이 우려스럽다 대세 예능 '흑백요리사', 난 '또종원'이 우려스럽다
  4. 4 오빠가 죽었다니... 장례 치를 돈조차 없던 여동생의 선택 오빠가 죽었다니... 장례 치를 돈조차 없던 여동생의 선택
  5. 5 영부인의 심기 거스를 수 있다? 정체 모를 사람들 등장  영부인의 심기 거스를 수 있다? 정체 모를 사람들 등장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