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에 진 외상 오천 원을 여섯 해만에 갚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앞 최교수네 헌책방

등록 2001.05.08 07:45수정 2001.05.08 10:55
0
원고료로 응원
전철역(국철 1호선) 외대앞에서 내려 외대 들문 쪽으로 가노라면 오른편 길가에 자그맣게 자리한 <최교수네 헌책방>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저녁 늦게 열고 밤이 되기 앞서 닫는 자그마한 곳. 어느덧 이 자리에서도 열 해 안팎 헌책방 장사를 하는 셈이고 이 앞을 지나가는 외대생만 해도 하루에 수천이지만 이 안까지 들어와 책을 보는 이는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조그마한 곳에 무슨 책이 있겠냐 싶기도 할 테고, 술 마시러 가고 집에 가느라 바쁜 대학생들이 이 곳까지 굳이 들어오겠습니까. 체육사와 가구점 사이 틈에 낀 헌책방 앞엔 문을 여는 때 앞서까지 옆집에서 바깥에 내놓은 물건이 가득합니다. 이웃가게는 <최교수네 헌책방>이 문을 열고 있지 않을 때는 자신들 물품을 바깥에 되도록 많이 늘어놓을 수 있어서 좋겠더군요.

외대생들이든 다른 누구든 찾아가기 쉬운 길목에 자리하고 있다 해도 마음먹고 찾아가지 않으면 잘못 가게 마련. 저 또한 어제 참 오랜만에 <최교수네 헌책방>에 들어갔습니다. 아저씨(교수님)는 신문을 읽고 계십니다. 둘레둘레 책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얼마 걸리지 않아 책방 안에 있는 책을 다 둘러볼 수 있을 만큼 책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어쩌면 사람들 눈에 띌 만한 책이 없다 할 수도 있지요.

지난 1995년에 찾아왔을 때 있던 <현대문학> 창간호부터 100호까지 100권은 그 동안 그만한 세월의 먼지만 더 묵은 채 그대로 고스란히 있습니다. 잡지 앞에 늘어뜨린 `귀중한 책이니 함부로 만지지 말라'는 갱지에 적은 쪽지도 그 자리에 그대로 빨간 빛 펜자국이 조금씩 빛바래 가며 자리를 지키고 있고요.

92년도 중학교 문제모음 몇 권은 사둔 뒤 팔리지 않은 듯 그대로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데 오히려 이렇게 안 팔리고 여러 해를 묵고 보니 앞으로 이대로 여러 해 더 묵는다면 이 녀석들은 귀한 대접을 받겠다 싶습니다.

<최교수네> 아저씨는 `자연 그대로' 책을 둔다면서 자기들 모냥대로 쌓이면 쌓이는 대로 둔답니다. 어차피 다른 책손님들이 와서 이리 뒤적 저리 뒤적하면 흐트러지게 마련이기에 그렇게 흐트러지면 또 그대로 둔다고요.

<최교수네> 열린 문으로 들어가면 가장 먼저 반기는 건 달력에 적은 `좌우명'입니다. 올바르게 살려는 아저씨 생각을 적어서 잘 보이는 자리에 붙여 두셨습니다. 70년대 끝물에 나온 교양서적 한 권과 사격지도책 한 권, 1978년에 나왔음직한 <실제출제문제해설집, 법전출판사> 세 권을 고르고 셈하려 하니 `무슨 책을 그렇게 심각하게 보면서 다 고르냐'며 당신이 요즈음 축구를 보며 느낀 이야기를 들려 주십니다.

오늘(4.26)도 밤에 축구를 보려면 밤새야 한다면서, 당신이 젊었을 적에 운동장에 가서 경기를 보고난 뒤 느낌도 이야기해 주십니다. `사람들이 다 빠져 나가고 텅빈 그라운드에 먼지가 휘익 날리고 휴지조각도 날리는데... 그 커다란 운동장 안에서 나 혼자만 있는...' 그런 고독감을 요즘 사람들은 모른다면서 이젠 운동장에 가서 경기를 보고난 뒤 그런 고독감을 맛볼 수는 없지만 그런 게 있다는 이야기도 해 주십니다.

일본이 스페인에 가서 친선경기를 하는데 연장전에서 0-1로 졌지만 참 잘했다고, 하지만 아쉬운 건, 친선경기를 갔는데 전반전에 그렇게 완전수비만 할 게 무어 있느냐고, 친선경기로 하고, 배우러 갔으면 지면 어떻고, 나아가 크게 지면 어떻냐고, 마음껏, 실력을 다 내서 뛰고 배워야 하지 않겠느냐는 이야기도 하십니다.

이제 나이도 많이 잡숫고 책을 모으던 젊었을 적 취미를 이어서 살리기 어려운 만큼 텔레비전으로 보는 운동경기가 `방송국 피디 이론'을 전공하고 가르친 최교수님 말년 일감이 되지 않나 싶습니다.

책방 문을 열고 자리에 앉아서 가게 앞을 지나가는 수많은 사람들을 바라보노라면 저마다 걸음걸이가 다 다르다며, 그런 모습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더라는 말씀도.

지나가며 이 헌책방 안을 들여다보는 이도 드물고 바깥에 늘어놓은 책이나마 거들떠보며 지나가는 사람도 드뭅니다. 하지만 안에서는 바깥을 늘 주의깊게 살펴보고 있다고 할까요. 당신이 꾸리는 헌책방으로 찾아와 한 권이라도 볼 만한 책이 있나 하고 휘 둘러보고 이야기도 나눌 수 있다면 누구라도 반가이 맞이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난날 찾아왔을 때 책값을 다 드리지 못하고 외상을 했다고 아저씨에게 늦게나마 외상값을 드린다며 오천 원을 드리니 `그런 일이 있었느냐'며 허허허 하고 웃으시더니 `내가 그냥 보낼 수 없지' 하며 `선물을 뭐 하나 주고 싶은데' `뭐 볼 만한 책 있으면 하나 골라 보라' 하십니다. `에휴, 뭔 선물이요' `굳이 선물을 주시고프면 가게 사진이나 멋지게 한 번 찍지요 뭐' 하고 살짝 말을 돌렸습니다.

1994년에 처음 찾아온 뒤 가게 안 모습을 한 번도 사진으로 담아 보지 못했는데 1995년에 <톨스토이 인생론>을 사며 진 빚(외상) 오천 원을 뒤늦게 갚으면서 소중한 사진을 여러 장 담았습니다. 그때는 그 책이 제게 그다지 쓸모가 없으리라 보았지만 <최교수네> 아저씨가 젊은이가 꼭 한 번 읽어 보면 도우이 될 거라고 추천해 주셔서, 돈이 없는데 어쩌냐고 하니, 그럼 돈 있을 때 와서 주라 하셨지요. 당신이 보던 책이라 하면서 추천해 주시기에 그저 고개 한 번 숙이며 인사하고 나왔던 일이 있습니다.

그 <인생론> 한 권이 여섯 해 지난 오늘에 와서 그 동안 쌓인 세월이란 먼지를 더 묵은 <최교수네 헌책방> 사진을 조촐하게 담도록 이끌지 않았나 싶습니다. 사진이 잘 나올지는 모르겠군요. 잘 나오면 우리 최교수님에게도 사진 하나 사진틀에 곱게 담아 드려야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 누리집(홈페이지) http://freechal.com/tobagi

[최교수네 헌책방] 전화 따로 없음 / 저녁 여섯 시 즈음 문을 엶

덧붙이는 글 글쓴이 누리집(홈페이지) http://freechal.com/tobagi

[최교수네 헌책방] 전화 따로 없음 / 저녁 여섯 시 즈음 문을 엶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종영 '수사반장 1958'... 청년층이 호평한 이유
  2. 2 '초보 노인'이 실버아파트에서 경험한 신세계
  3. 3 '동원된' 아이들 데리고 5.18기념식 참가... 인솔 교사의 분노
  4. 4 "개도 만 원짜리 물고 다닌다"던 동네... 충격적인 현재
  5. 5 "4월부터 압록강을 타고 흐르는 것... 장관이에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