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을 하는 동기

희생자를 조종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편견에 중독

등록 2001.12.15 10:13수정 2001.12.15 12:05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스토킹을 하는 동기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 거절된 형 : 가까이 지내던 사람(부모, 친구, 직장동료까지 포함해서)과의 관계가 끊어진 것(소원해지거나 분열되거나 단절된 경우 등등)이 동기가 되어 스토킹을 하는 유형.

이 유형의 스토커는 관계를 다시 맺고 싶은 마음과 동시에 복수를 하고 싶은 마음이 섞여 있습니다. 이 유형의 스토커들은 종종 스스로의 마음속에서 상실감, 좌절감, 분노, 질투, 악의, 우울의 감정등을 느낍니다.

② 관계원함 형 : 자신의 진정한 사랑이라고 굳게 믿는 사람과 관계(궁극적으로는 섹스관계)를 맺어보려고 하나 그 대상으로부터 거부됨으로써 스토킹을 하는 유형.

이 유형에 속하는 스토커들은 종종 정신적인 환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관계원함(대상구함)형의 스토커들은 정신분열증, 광기나 또는 극도의 병적, 또는 섹스 집착 등의 다른 정신질환을 앓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③ 무능자 형 : 지적능력이 떨어지고 사회적으로도 무능력해서 누군가와 친해지고 싶지만 그 상대가 자신의 감정을 받아주지 않아서 스토킹을 하는 유형.

이 유형에 속하는 스토커들은 종종 사람과 사귈 때의 적절한 행동양식이 부족합니다. 이들은 또한 나 정도면 사람이 따를 만하지 하고 자신하기도 하나 근본적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오가는 적절하고도 미묘한 행동양식이 부족하다는 자각 인식이 없습니다.

또 이 유형의 스토커가 ②의 관계원함 형의 스토커와 다른 점은 희생자가 자신의 욕구를 채워 줄 유일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단지 희생자에게 관심은 있으나 사람들이 사귀는 것이 상호적이라는 개념이 없는 것입니다.

④ 보복 형 : 오로지 희생자를 놀라게하고 절망감에 빠트리는 것을 목적으로 스토킹을 하는 유형. 이 유형의 스토커들은 불공평한 대접을 받고 복수심에 불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⑤ 공격 형 : 희생자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희생자를 조종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오는 큰 만족감에 중독되어서 스토킹을 하는 유형. 이 유형의 스토킹을 당하는 희생자는 자신의 의지와는 전혀 다른 행동들을 하게 됩니다. (도망다니고, 이사다니고, 미친사람처럼 울부짖고, 스토커한테 애걸하고, 직장에서 쫓겨나는등). 또 희생자에 대해서 더더욱 많이 알기 위해서 열광하며, 희생자를 효과적으로 공격하기 위하여 계획을 짜는 유형으로 성도착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위의 네가지 스토커 유형들과 비교해서 과거에 성범죄의 전력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더 높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개의 눈을 가진 모래 속 은둔자', 낙동강서 대거 출몰
  2. 2 국가 수도 옮기고 1300명 이주... 이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3. 3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4. 4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5. 5 전화, 지시, 위증, 그리고 진급... 해병 죽음에 엘리트 장군이 한 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