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여유로움 회복하는 한 해로

김영조의 <민족문화 바로알기>

등록 2002.01.19 20:24수정 2002.01.20 01:59
0
원고료로 응원
2002년 임오년 새해가 밝은지 벌써 이십일이 지났다. 올 한 해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 지난 세월의 잘못을 되짚고, 새롭게 마음을 가다듬어 또 다른 잘못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지난 해 동짓날에 팥죽을 먹고, 마음의 때를 깨끗이 씻었다면 그 깨끗해진 나의 가치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얼마 전 코엑스(COEX) 근처에 차를 몰고 갈 일이 있었다. 횡단보도 앞에서 신호가 바뀌고 나는 차량정지선에서 멈췄다. 그런데 왠일인가? 나보다 늦게 온 차들이 그냥 횡단보도를 지나가거나 횡단보도를 점령하기도 했다. 무려 편도 8차선이나 되는데 7대의 차들이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았다.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들은 얼마나 불안한 마음이었을까? 언제부터 이렇게 사람들은 여유로움,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갖지 못하게 되었을까?


몇 년 전 모 TV에서는 “이경규가 간다‘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한 적이 있다. 양심적으로 교통법규를 지키는 사람들에게 대형냉장고를 주는 이 프로그램 덕에 한동안 교통법규 위반이 줄었다는 보도를 보았다. 그렇지만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으면 그런 프로그램까지 등장할까?

우리나라의 많은 사람들은 안타깝게도 ‘우물가에서 숭늉달라’는 ‘빨리빨리병’에 걸려 있다. 매사가 즉석에서 빠른 효과가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젊은이들 사이에선 즉석(인스탄트)음식이 인기가 있고, 자판기 커피를 좋아하며, 입기 번거로운 한복보다는 품위를 버리더라도 입기 쉬운 청바지가 보편화되었다.

음식점에서 음식이 빨리 나오지 않는다고 화를 내는 사람도 있고, 버스를 탈 때 새치기를 하는 사람도 있다. 과연 그렇게 한다고 해서 그 사람의 삶이 화려해질 수 있을까? 결코 아닐 것이다. 교차로에서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진행하면 결국 다음 교차로에서 만나게 되며, 또 그런 행위들이 사고를 조장하는 무모한 것임을 아는지 모르는지?

원래 우리 민족은 그렇게 ‘빨리빨리’를 외치는 민족이 아니었다. 예전 우리 조상들은 나그네가 물을 청했을 때 바가지에 물을 떠서 나뭇잎을 띄워 주었다고 한다. 나뭇잎을 띄우는 아낙의 슬기로움이 어쩌면 나라를 지켜왔는지도 모른다.

우리 민족문화를 더듬어보자.
밥을 할 때는 다된 밥을 뜸을 들이는 시간이 절대 필요하다. 누가 선 밥을 먹으려 할까? 밥에 있어서 뜸들이기는 필수조건이다. 전통차를 마실 때는 미리 찻주전자(다관), 찻잔 등을 데워서 찻물이 식는 것을 예방한다. 그리고 차가 우러나는 시간을 기다려야만 한다.


김치와 장은 담은 즉시 먹지 않고, 오랫동안 발효되기를 기다린다. 생김치보다 익은 김치가 훨씬 몸에 좋다는 걸 우리 조상들은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 한복을 입을 땐 고름과 대님을 매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다. 잠시지만 오늘 하루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 생각해보는 것이다. 대님은 그저 불편한 것이 아니라 품위와 아름다움, 건강을 담보하고, 동시에 철학이 깃든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묶는 번거로움을 마다하지 않았다.

병이 났을 때 우리의 한의학은 서양의학과는 달리 음양오행을 기본으로 자연치유력을 회복시켜서 치료를 한다. 따라서 치료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오랜 세월을 인내해야만 되는 것이 한의학이다. 사람들에게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늘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일 것이다. 우리 문화에 있어서 ‘여유로운 삶’은 ‘더불어 살기’와 함께 중요한 근간의 하나이다.


이렇게 우리 문화는 여유로움을 구가하는 그런 문화였다. 그런데 이제 그 흔적을 찾기가 어려워졌으니 안타까운 마음을 감출 수 없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박정희정권 시절 정부가 경제개발 위주의 정책으로 간 이후 어떻게든 돈만 벌면 된다는 풍조가 만연되기에 이르렀던 탓이라 생각한다. 경제개발논리의 한계일지도 모른다. 경제개발논리는 모든 일에 생산성을 갖다 댄다. 그러다보니 여유로움이 미덕이 될 수 없게 되고, ‘빨리빨리’가 오히려 최선의 삶으로 통하는 길이 되어 버렸다.

여유로운 마음은 긍정적인 자세와도 통한다. 술 반병을 놓고도 “아직도 반병이나 남았네!”하는 마음이야말로 긍정적이고, 여유로운 마음이 아닐까? “겨우 반병 밖에 안 남았네!”하는 마음으로 살면 그 스트레스를 어찌 감당할 것인가?

난 횡단보도를 지날 때 신호등이 깜박거리면 되도록 다음 신호를 기다린다. 마음이 급한 사람이면 틀림없이 그냥 건너겠지만 그러다 만일 차에라도 치인다면 어쩌겠는가? 다음 신호를 기다리다가 반가운 사람을 만나는 행운이 올 수도 있다.

또 전에는 고속도로에서 종종 속도를 즐긴 적이 있었다. 하지만 과속을 할 때 짜릿함은 사고의 불행을 예고한다는 생각을 언젠가 하게 됐다. 이제 느긋한 마음으로 제한속도를 지켜서 운전하는데 그렇게 마음이 편할 수 없다. 교통 백차를 보던, 무인카메라가 있던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따라서 그로 인한 스트레스는 없다.

매사에 위험을 감수하면서라도 속도를 즐기며 살고 싶다면 아무도 말릴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여유를 회복하고,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정말 편한 삶이 아닐까?

임오년 한 해 우리는 우리 문화의 기본철학인 여유로운 자세를 회복하고, 우리의 삶을 윤택한 모습으로 가꾸어 나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으로 우리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알리는 글쓰기와 강연을 한다. 전 참교육학부모회 서울동북부지회장, 한겨레신문독자주주모임 서울공동대표, 서울동대문중랑시민회의 공동대표를 지냈다. 전통한복을 올바로 계승한 소량, 고품격의 생활한복을 생산판매하는 '솔아솔아푸르른솔아'의 대표를 하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난리도 아닙니다" 농민들이 올해 벼 빨리 베는 이유 "난리도 아닙니다" 농민들이 올해 벼 빨리 베는 이유
  2. 2 이러다가 대한민국이 세계지도에서 사라질지도 모른다 이러다가 대한민국이 세계지도에서 사라질지도 모른다
  3. 3 "대통령, 정상일까 싶다... 이런데 교회에 무슨 중립 있나" "대통령, 정상일까 싶다... 이런데 교회에 무슨 중립 있나"
  4. 4 체코 언론이 김건희 여사 보도하면서 사라진 단어 '사기꾼' '거짓말'  체코 언론이 김건희 여사 보도하면서 사라진 단어 '사기꾼' '거짓말'
  5. 5 "자기들 돈이라면 매년 수억 원 강물에 처박았을까" "자기들 돈이라면 매년 수억 원 강물에 처박았을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