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깊은 참회를 올리니, 부디 용서하게나

새만금 개펄과 온 세상의 생명.평화를 염원하는 삼보일배 현장에서

등록 2003.03.29 10:59수정 2003.03.29 13:05
0
원고료로 응원
a 삼보일배의 대장정을 내딛은 수경스님과 문규현 신부

삼보일배의 대장정을 내딛은 수경스님과 문규현 신부 ⓒ 이주원

갯내음이 났다. 바다는 손님을 맞을 때마다 항상 비릿한 갯내음부터 풍긴다. 새만금을 품고 있는 변산 앞바다도 다를 바가 없었다. 바다는 언제나 어머니의 품 같은 넉넉함으로 사람들을 반긴다.

그런데 오늘은 달랐다. 바다는 나지막하게 말한다.

"아느냐고, 새만금의 생명이 지금 이 순간 죽어가고 있는 걸."

바다는 자식을 품어 키우는 어미의 본능처럼 수많은 생명들의 예정된 죽음을 경고한다. 바다가 품은 생명은 일용할 양식이 되어 인간을 키우는데, 바다의 젓줄에 생명을 이어온 인간은 오히려 제 어미를 죽이고 있다. 새만금 간척사업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한반도에서 21세기 최대의 학살을 피할 수는 없어 보인다.

a 해창사의 해맑은 부처님

해창사의 해맑은 부처님 ⓒ 이주원

새만금에 자리잡은 해창사(海倉寺). 세 평 남짓이나 될까. 인간들의 개발 야욕에 헛되이 스러진 바다생명들의 영령을 위로하는 색다른 조그만 절이다. 규모가 가장 큰 사찰의 신자 수가 얼마나 될지 모르지만, 해창사에 비교할 수 있으랴. 수백만, 수천만의 바다생명(어패류)이 모두 이 절의 신자들이다.

어느새 환경운동의 상징이 되어 버린 수경스님(52)께서 이 절의 주지이다. 해창사 주지 수경스님과 '기도의 집' 성당 주임신부 문규현 신부(57)는 환경 지킴이들이다. 그래서인지 이 두 분이 만나면 항상 사고(?)가 났다. 한국 환경운동의 새로운 시위모델인 삼보일배(三步一拜)를 최초로 시작하고 정착시킨 이들이 바로 이 두 분이다.

그런데 수경스님과 문규현 신부가 또 한 번 큰 사고를 냈다. 노무현 현 정부에 들어서도 여전히 개발을 중단할 여지를 보이지 않자, 새만금 간척사업의 중단을 세상에 호소하기 위해 새만금 들머리에서 서울까지 삼보일배를 하겠다고 한 것이다.


a 새만금을 지키기 위해 결의를 밝히고 있는 4대 종단의 대표들

새만금을 지키기 위해 결의를 밝히고 있는 4대 종단의 대표들 ⓒ 이주원

3월 28일 오전 10시 <새만금 갯벌과 온 세상의 생명․평화를 염원하는 삼보일배>가 500여명의 참석한 가운데 시작되었다.

최열 전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인사말에서 "21세기는 예상과 달리 희망찬 미래를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 절망스러운 것은 미국에 의해 시작된 이라크 전쟁이다. 전쟁이야말로 가장 극단적인 환경파괴이다. 전쟁은 환경과 인간관계 등 모든 것을 파괴한다"면서 "오늘 우리는 새만금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한 채 죽어가는 바다생명을 지키고자 이 자리에 섰다"고 소감을 밝혔다. 최 총장은 "우리들뿐만 아니라 세계시민이 이 새만금을 지켜보고 있다"면서 "우리가 이곳을 지켜내지 못한다면 더 큰 것을 잃고 재앙에 빠질 것이라"고 새만금 간척사업이 불러올 위험성을 경고했다.


굳이 최열 전 황경운동연합 총장이 경고하지 않더라도 모든 참석자는 뼈저리게 간척사업의 위험성을 느끼고 있었다. 쌀이 남아도는데, 농지확보를 위해 1억 2천만평이나 되는 바다를 메운다니. 거짓도 이런 거짓말이 어디 있으랴. 차라리 쌀 시장 개방을 안 하고 이런 주장을 한다면 믿을까. 도무지 농업기반공사의 억지를 들어줄 수가 없을 지경이다.

녹색연합 공동대표 박경서 신부는 "새만금에 설 때마다 인간이란 존재는 많은 생명들과 함께 어울려서 살아가는 존재"라며 "새만금의 바다생명들의 울부짖음에 하나님과 부처님께서 함께 슬퍼하고 계신다"고 간척사업의 중단을 절실히 호소했다.

'바지락죽'으로 유명했던 해창개펄. 언제나 찾아가도 갓 캐 올린 바지락으로 끓인 '죽' 맛은 계승해야할 한국 전통의 맛이었다. 그런 해창개펄이, 어느새 자갈밭이 되어 더 이상 바지락이 나지 않는단다. 길가에 보이는 '바지락죽'이라고 쓰인 간판을 보고 식당이 들어가더라도 전통의 그 맛이 아니란다. 이미 멀리서 사온 냉동 바지락을 사용해 죽을 쑨다고 한다. 새만금 간척사업이 얼마나 많은 경제적 이익을 줄지 몰라도 계승해야할 '전통의 맛'을 우리 곁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a 단아한 어깨선이 아름다워라

단아한 어깨선이 아름다워라 ⓒ 이주원

단아한 어깨선을 타고 내려와 하늘로 흰 천이 뿌려진다. 혹시 바다생명이 다칠라 발걸음조차 조심스럽게 내딛는다. 곱디고운 여인네가 몸짓을 한다. 인간들의 야욕에 숨져간 바다생명들의 한을 풀기 위해 몸짓을 한다.

"잘 가시게. 내 이 자리에 서서 깊은 참회를 올리니, 부디 용서하게나. 더 이상 헛된 죽음 없도록 이 한 몸 으스러진대도 물러서지 않으리. 무릎이 짓물러 뭉개진대도, 헛되이 죽어간 자네들에게 용서를 빌겠네. 부디 용서하시게."

여인의 몸짓은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내가 살아가는 동안에 할 일 하나 있지. 바람 부는 벌판에 서 있어도 나는 외롭지 않아. 아~ 영원히 변치 않을 우리들의 사랑이여…."

검은 옷 곱게 차려입은 수녀님들의 노랫소리가 새만금 해창개펄에 퍼진다. 수많은 바다생명들이 아마도 수녀님들의 노랫소리에 위안을 받지 않았을까. 합창이 끝나고 10여분이나 지났을까. 틱낫한 스님께서 일행들과 새만금 삼보일배 현장에 방문하셨다.

a 평화로움과 내 안의 깨어있는 마음을 설법하는 틱낫한 스님

평화로움과 내 안의 깨어있는 마음을 설법하는 틱낫한 스님 ⓒ 이주원

틱낫한 스님께서는 'mindfulness'의 중요성을 말씀하셨다. 뒤 이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길, 정토는 다른 어떤 곳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 자리, 우리 안에 존재한다"고 가르침을 주신 뒤 "불자들은 물론 여기 계신 타 종교인들도 '걷기 명상'을 한다면 하나님을 볼 수 있을 거라"고 하시면서 '걷기 명상'의 중요함을 거듭 강조하셨다.

아쉬웠다. 틱낫한 스님이 훌륭한 스님임을 부정하기도, 평화의 가르침을 전하는 수행자임을 부정하기도 싫다. 그러나 시청 앞 집회에서도 그랬듯이 새만금 현장에서도 이벤트를 하듯이 반복되는 메시지와 걷기 명상에 왠지 모를 거부감이 들었다.

12시 30분. 수경스님과 문규현 신부를 선두로 삼보일배, 그 대장정의 첫걸음을 내딛었다.

삼보일배를 시작한 지 30여분이 흘렀다. 두 분의 얼굴이 벌써부터 벌그스름하게 달아올랐다. 아무래도 두 분께 이 장정은 벅차 보였다. 과연 서울은 고사하고 16킬로미터나 되는 부안까지 갈 수나 있을지. 걱정부터 앞섰다. 이미 내딛은 걸음 되돌리자고 할 수야 없지 않은가. 두 분이 무사하기만 기도할 뿐이다.

덧붙이는 글 | ■ <새만금 갯벌과 온 세상의 생명․평화를 염원하는 삼보일배>는 부안에서 서울까지 300킬로미터나 되는 길을 하루에 6킬로미터씩 두 달에 걸쳐 삼보일배로 걸어 올라오는 고난의 행군이다. 들리는 말로는 수경스님께서 무릎이 많이 안 좋다고 한다. 수경스님과 문규현 신부, 두 분에게 아무 일도 없이 무사하게 삼보일배가 회향되기를 부처님과 하나님께 빌고 또 빈다.

덧붙이는 글 ■ <새만금 갯벌과 온 세상의 생명․평화를 염원하는 삼보일배>는 부안에서 서울까지 300킬로미터나 되는 길을 하루에 6킬로미터씩 두 달에 걸쳐 삼보일배로 걸어 올라오는 고난의 행군이다. 들리는 말로는 수경스님께서 무릎이 많이 안 좋다고 한다. 수경스님과 문규현 신부, 두 분에게 아무 일도 없이 무사하게 삼보일배가 회향되기를 부처님과 하나님께 빌고 또 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사회는 많은 기사거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소외된 이들의 이야기는 묻혀버리고 맙니다. 그들의 이야기, 감춰진 이야기를 발굴해서 다루는 것이 저의 사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기자회원으로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추석 때 이 문자 받고 놀라지 않은 사람 없을 겁니다 추석 때 이 문자 받고 놀라지 않은 사람 없을 겁니다
  2. 2 최근 알게 된 '평생직장', 정년도 은퇴도 없답니다 최근 알게 된 '평생직장', 정년도 은퇴도 없답니다
  3. 3 아직도 '4대강 사업' 자화자찬? 이걸 보고도 그 말 나오나 아직도 '4대강 사업' 자화자찬? 이걸 보고도 그 말 나오나
  4. 4 경남, 박근혜 탄핵 이후 최대 집회 "윤석열 퇴진" 경남, 박근혜 탄핵 이후 최대 집회 "윤석열 퇴진"
  5. 5 우리 모르게 큰 일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왜? 우리 모르게 큰 일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