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진
신학분야에서 그가 남긴 저작 <예수의 생애 연구사>는 지금까지도 금자탑처럼 남아 예수 연구의 필독서로 손꼽힌다. 또한, 음악 전공자들에게 슈바이처는 바흐 연구와 뛰어난 오르간 연주자, 그리고 오르간를 현실적으로 개량한 사람으로 잘 알려져 있다. 철학자인 그는 칸트를 연구했고 새로운 문화를 위한 인간윤리로서 "생명에 대한 외경 사상"을 부르짖었다. 마지막으로 의사로서 그는 현재 아프리카 가봉에 속하는 람바레네에서 90세의 생을 다하는 날까지 흑인들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했다.
그래서 그에게는 흔히 "원시림의 성자", "세계의 위인"이라는 별칭이 따라 붙곤 한다. 그러나, 이런 수사들은 우리가 슈바이처라는 한 인간의 진면목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할 뿐이다. 그런 말들은 슈바이처를 우리 보통의 사람들과는 전혀 다른 종류의 인간으로 바라보게 만들기 때문이다. 자서전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그도 우리와 똑같은 성정을 지닌 인간이었다.
어떤 결정을 해야할 때 고뇌하는 건 당연했고, 책을 한 권 쓰더라도 많은 시간을 들여 온갖 심혈을 기울여야 했다. 천재라서 그냥 주어진 것은 하나도 없다는 말이다. 다만, 그가 여느 사람들과 달랐던 것은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예수의 "이웃 사랑"에 대한 가르침을 관념으로 알고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온 몸으로 실천하려 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마침내 슈바이처는 다음과 같은 고백을 할 수 있던 것이다.
"내 주위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고통과 근심으로 싸우고 있는데 나만 행복한 생활을 보낸다는 것은 나로서는 생각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미 국민학교 시절에 동급생들의 비참한 가정 형편과 우리들 균스바하 목사댁 어린이들이 누리고 있는 참으로 이상적인 가정 생활을 비교해 보고 나는 심한 충격을 받곤 하였다. 대학 시절에도 연구 생활을 하면서 학문과 예술에 대하여 무엇인가 공헌할 수 있다는 행복 속에서 나는 물질적 환경과 건강 때문에 이러한 행복이 허용되지 않고 있는 사람들에 대하여 부단히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문득 나는 이러한 행복을 어떤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이것에 대하여 나도 무엇인가 남에게 베풀어 주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혔다."
"이 생각을 더듬으면서 고요히 사색에 잠겨 있는 동안 밖에서는 새가 지저귀고 있었다. 나는 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에 드디어 다음과 같은 결의에 도달하였다. 삼십세까지는 학문과 예술을 위하여 살아도 좋게끔 되어 있다고 생각하자. 그리고나서는 직접적으로 인간에게 봉사하는 일에 몸을 바치자.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하고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의 복음을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구원하리라>하신 예수의 말씀이 나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하고 나는 참으로 여러번 생각해 보았다. 이제 나는 그 대답을 발견하였다. 여기에 나는 외적인 행복에다 내적인 행복도 부가하여 차지하게 되었다."
내가 슈바이처에게 있어서 무엇보다 주목하고자 하는 점은 "생명에 대한 경외"로 요약되는 그의 사상이다. 슈바이처는 이러한 사상적 결론에 도달하기까지 수많은 경험과 사색을 거쳐야 했다. 때로 전쟁포로로 붙잡혀 미래를 알 수 없는 불안에 떨었고, 짐승처럼 취급받는 흑인들을 안타까운 눈으로 보아야 했다. 그러다가 그는 윤리철학의 생명력 없는 공허함을 넘어보고자 온갖 사색을 거듭한 끝에 어느 날 문득 계시처럼 "생명경외"라는 말을 떠올리게 되었노라고 술회한다. 그는 이 "생명경외"야말로 세계·인생 긍정과 윤리가 다 같이 내포되어 있는 이념이라고 하며, 윤리적 세계, 인생 긍정의 세계관은 인류의 문화적 이상을 성취하는 발판이라고 보고 있다. 생명경외에 대한 그의 생각을 살펴보자.
"현실 세계를 무엇이라 해석함으로 말미암아 윤리적 세계·인생 긍정에 도달하려고 하는 사색적 노력이 아직도 있지만 이 모든 노력은 장래성 없는 허망한 것이다. 생명경외의 세계관은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는 데서 온다. 이 세계는 영광 중에 전율할 것, 의미 속에서 의미를 상실한 것, 환희에 가득차 있으면서도 고뇌에 가득차 있는 것이다. 어느 점으로 보아도 이 현실 세계는 인간에게 풀 수 없는 수수께끼다. 그러나 우리가 세계사건을 의미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하여 인생문제에 대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는 채 있어야 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 생명경외는 세계 전체에 대한 모든 인식과는 관계없는, 대(對)세계의 정신적 관계를 위리에게 가르쳐 준다. 생명경외야말로 체념의 어두컴컴한 골짜구니를 지나 내면적인 필연성에서 윤리적 세계·인생 긍정의 밝은 산마루에 우리를 인도한다."
슈바이처는 사색을 잃어버린 현대인의 모습을 보면서 납득할 수 없다며 개탄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사색을 포기한 현대인들은 물질적으로는 거대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실상은 위축되어 가는 인간들이다. 사색할 수 있는 능력을 사용하지 않는 이러한 현대인은 더 이상 진리를 추구하지 않는다. 이는 정신적인 파산선고나 다름없고 여기에서 허무주의가 시작된다. 그래서 현대인들은 권력이나 선전으로 그들에게 강요하는 것을 진리로 받아들이게 된다고 슈바이처는 꼬집고 있다.
그가 보기에 인생과 세계에 대하여 사색하는 인간이라면 불가피하게 생명 경외에 다다르게 된다. 그 외에 다른 방향으로 가는 결론이란 없다고 한다. 만약에 인간이란 회의주의나 윤리적 이상 없는 인생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는 사상이 있다면, 그것은 사상이 아니라 사상이라고 자칭하는 무사고(無思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자본을 위한 인면수심(人面獸心)의 전쟁 광기가 횡행하고, 끊임없는 환경파괴로 인하여 당장의 내일이 불안한 세계에 우리는 놓여 있다. 이러한 지금의 상황이야말로 슈바이처가 외친 생명경외 사상을 곱씹어야할 때가 아닌가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여수솔샘교회(solsam.zio.to) 목사입니다. '정의와 평화가 입맞추는 세상' 함께 꿈꾸며 이루어 가기 원합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