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 김상조 소장(한성대 교수)은 "재벌들이 경영권을 안정화하고자 한다면 현재의 재벌 지배구조를 개혁해야 한다"고 반박한다.
따라서 대안연대는 지극히 상식적인 선에서 ‘작은 개방경제(small open economy)’란 특성에 내재된 구조적 취약성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지혜를 모아 풀어 나가자는 입장인 바, 이미 개방된 우리경제의 문을 다시 걸어 잠그자고 주장하는 시대착오적 집단이 결코 아니다.
그러면 “작은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명분에 기대어 자칫 정부의 과도한 시장개입에 의존하고 그럼으로써 또다시 박정희식 지령형 국가주도 경제로 되돌아가자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바로 이런 시대 역행을 막아야 하겠기에 대안연대는 늘 고민해왔다.
우리가 주장하는 것은 정부가 전횡을 일삼는 국가주도형 경제로의 복귀가 아니라, 정부가 시장 조성자로서 역할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앞서 지적한 “작은 안전장치” 역시 시장제도의 일부인 바, 정부는 이러한 시장제도가 창출되고 진화하는 과정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되, 정부의 실패라는 고질적인 폐해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작은 안전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은 시장 친화적 혹은 시장 진화적이어야 한다. 그래야만 시장이라고 하는 기본 틀 위에서 민간 경제주체들에 의한 자율적인 위험 및 책임분담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주지하듯이 우리 국민은 결코 정부가 일방적으로 지시하고 이를 빌미로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과거체제로 되돌아가는 것을 원치 않으며, 대안연대 학자들도 이러한 국민적 컨센서스를 충분히 공유하고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대공황의 원인은 대중들이 경제를 너무 몰랐기 때문이다"(故 찰스 킨들버거 MIT경제학교수)
주로 경제 이야기를 다룹니다. 항상 배우고, 듣고, 생각하겠습니다.
공유하기
“자본 국적 구분 무의미”vs“초국적 자본 구분은 필요”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