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원대 도시공학과 김혜천 교수.박현주
"지역이 문제는 지역에서 해결하는 것이 순리다. 시와 구가 나서서 해결하려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 마땅하다. 중앙정부가 해결해주면 좋겠지만, 그 전에 주거환경개선사업 제도 자체가 개선되어야한다. 제도 개선에 이르려면 국회며 청와대까지 나서야한다. 어느 세월에 용두동 주민들이 안정된 주거환경을 찾겠는가.
주거환경개선사업 명목은 분명 빈곤층을 위한 것인데, 실제로는 복부인과 투기자, 건설업체만 배불리는 꼴이다. 용두동엔 투기를 노리는 '떴다방'이 진을 치고 있다. 이들은 몇 천만원의 프리미엄을 얹어주고 원주민에게서 분양권을 사오지만, 더 많은 돈을 받고 되팔 수 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이 올라 정작 서민들은 집을 살 수가 없다."
-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엔 꼭 아파트만을 지어야하는 것인가?
"전혀 그렇지 않다. 점진적 개량이 원래 취지이고, 예외규정이 공동주택건설인데 이것이 주가 되었다. 공동주택건설, 즉 아파트 건설은 전면철거가 선행되어야하는 등 방법상 많은 어려움이 있다. 굳이 아파트를 짓지 않아도 되는 곳에도 무리하게 공사0하기도 하고... 아파트 공사는 많은 돈이 들어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거환경개선사업 설명회 때는 아파트를 거저 주는 것처럼 장밋빛 청사진만을 제시한다. 주민의 부담이 얼마인지를 먼저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서야 반발하는 형태가 나타난다. 알권리와 주민참여가 철저하게 무시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사태가 나는 것이다."
- 아파트를 구입할 능력이 안 된다면, 임대아파트에 들어가면 되지 않느냐고 묻는 사람도 있는데...
"현실을 잘 모르고 하는 소리다. 임대아파트는 2500-3500만원의 보증금에, 15-25만원의 임대료를 매달 지불해야한다. 거기에 관리비는 별도로 낸다. 결코 싼 가격이 아니다. 빈곤한 원주민이 쫒겨나기 십상이다.
- 용두동 주민들은 같이 모여 살기를 원한다. 그것이 싸움을 오래 유지하는 이유같기도 하다.
" 당연한 현상이다. 용두동은 피난민촌으로 형성되어 가난한 사람들끼리의 유대감이 무척 강하다. 빈곤층에겐 사회적 연결망이 중요하다. 일용직 노동자들이 많기 때문에 일거리와 일자리에 대한 정보교환이 필수적이다. (용두동 아주머니들은 함께 모여 마늘까기 등의 노동을 하며 생계를 유지해왔다는 이야기가 생각났다.) 이들은 서로 떨어져 살게 되면 생활기반 자체가 흔들린다. 이들에겐 공동체를 이루며 사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주거환경개선사업은 공동체를 고려하지 않는다. 대전시도 주택공사도 그것을 알지 못한다. 도시에서 그나마 유지되었던 공동체가 파괴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 대전시와 중구청은 어떠한 방법으로 책임질 수 있는가?
"현재 대전시는 주민과 주택공사의 사이에서 중간자 입장을 취하려는 듯 보인다. 그러나 이는 크게 잘못된 자세다. 싸움의 빌미를 제공한 주체가 뒷짐 지고 구경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대전시와 중구청이 주민들에게 보상해야하는 까닭이 분명히 있다.
주민복지를 책임지지 못한 점은 크게 반성해야한다. 대전시와 중구청은 그동안 주민들이 겪었던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피해에 대해 어느 정도 보상해 주어야한다. 책정된 예산이 없다면, 추경이라도 세워서 반드시 보상해야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