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 일주문. 소백산이 아니라 태백산 부석사다.이종원
부석사….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설레이는 곳이다.
신경숙님의 소설 <부석사>를 읽은 적이 있다. 소설은 과연 돌이 붕 떠 있는지 그걸 확인하고자 실을 챙기고 무작정 서울은 벗어나면서 시작된다. 마음 속에 심한 상처를 받은 두 젊은이는 도피처로서 부석사를 삼은 것이다. 그러나 입구에도 가지 못하고 폭설에 가로막혀 마애불 근처를 헤매다가 소설은 끝을 맺는다. 제목은 <부석사>지만 부석사에 관한 내용은 하나도 없었다. 소설가의 눈을 빌려 부석사의 아름다움을 느끼고자 했던 나는 무척이나 실망했었다.
몇 년이 지난 후 다시 부석사를 찾아갔을 때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봐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눈으로는 극락을 확인하지 못하지만 분명 마음 속으로는 천상세계가 있다는 것을 믿는다. 그런 내면의 마음을 인간의 손을 빌려 천상세계를 구현한 것이 부석사다.
부석사의 창건
부석사는 신라가 삼국통일하던 문무왕 16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하여 화엄종의 종풍을 날린 곳이다. 통일신라시대의 가장 중요한 정치 이데올로기인 화엄종의 요체는 무엇인가? '하나가 전체이고, 전체가 다시 하나가 된다'라는 '원융사상'이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백성들을 하나로 묶는 이데올로기가 필요한 것이다. 어쩌면 이런 원융사상은 시대를 이끌 유일한 대안이며, 당시 국가경영에서 절실히 필요한 사상일게다.
그 출발점이 바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이 절묘하게 나누어지는 이곳에 사상적 교두보를 확보하는 것이다. 그 만큼 이곳이 군사적, 전략적 요충지임을 말해준다.
태백산 부석사
일주문엔 '소백산 부석사'가 아니라 '태백산 부석사'란 현판을 달고 있다. 부석사를 보듬고 있는 산인 봉황산은 태백산 서쪽 100여리 떨어져 있으며, 태맥에서 이어진 맥이 봉황산에 닿고 있기 때문이다. 태백의 가지가 남서쪽으로 이어져 봉황산에서 꽃을 만발하고 있는 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