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7월 9일 사설
매일신문은 사설에서 법적으로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경영계의 반발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현대차 하청근로자들은 인력공급 업체의 정규직원이기 때문에 노조설립 자체가 말이 안 된다는 주장, 또 교섭대상도 비정규직의 교섭상대는 법적으로 보면 이들을 고용한 용역업체들이므로 현대자동차가 교섭에 나서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매일신문은 노동계의 입장, 독자적인 노동조합을 결성하기까지 이른 비정규직 근로자의 입장을 함께 다루는 것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
한국경제는 단군이래 최대의 국난이라 하는 외환위기 IMF관리를 세계 유례없이 신속하게 극복했다. 또 7월 9일자 언론에서는 OECD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고소득국에 해당하는 0등급으로 회복했다는 보도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비정규직 근로자의 비중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높아졌다.
전 국민의 고통분담이 아니라 노동자들의 고통전담 덕택에 조기에 빠져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각종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보수가 낮은데다 신분도 불안해서 그야말로 한국경제의 어둡고 힘든 부분을 온 몸으로 떠안고 있는 사람들이다.
7월 8-9일 UN(UNDP)에서는 한국인의 삶의 질이 세계 30위로서 그전보다 오히려 하락했음을 발표한 것이 바로 이러한 저간의 사정이 반영된 것이다.
이제 외환위기를 세계 유례없이 신속하게 빠져 나온 한국경제는 이제 그 과정에서 고통을 전담한 사람들에게 마땅히 보답을 해야 한다. 그들의 삶을 보듬지 않고 한국이 국민소득 2만 달러의 선진국을 지향하는 것은 성장의 잠재력을 확충해가야 하는 점을 생각할 때, 가능하지도 않을 것이다.
실제 민간 인력알선업체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계약직 근로자들은 '계약직으로 취업한 것을 후회하느냐'는 질문에는 73%가 '그렇다'고 답해 그들의 직업만족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런 상태에서 한국경제의 미래가 있을 수 있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들, 특히 신문들은 노동자의 자구적 단결은 무조건 적대시하고, 항상 위험하게만 보는 시각을 견지해왔다. 이번 경우에도 최저수준의 삶의 상태를 조금이나마 개선하고자 하는 절규로 받아들이지 않고 일방적 규정과 매도로 일관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노조결성을 통해 동등한 대우를 요구한다고 일방적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그들의 목소리에 사회가 수긍할 수 있겠는지, 그래서 노동운동도 균형감각이 필요하다고 매도하는 결론을 내린 <매일신문>에 바로 균형감각이 필요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