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썰매를 타는 아이들오창경
얼마 전에는 영림이 아빠의 특별 이벤트가 있다는 초청에 놀러 갔더니 킹이라는 이름을 가진 말라뮤트에게 썰매를 끌게 해서 온 동네 아이들을 태워주고 있는 것이었다. 송아지만한 덩치에 사자의 갈기같은 털을 휘날리며 시멘트 바닥에서 썰매를 끄는 말라뮤트 킹의 위용에도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지만 썰매를 타며 까무러치게 좋아하는 아이들의 모습에 내 가슴이 뭉클해지기도 했다.
어릴적 <눈의 여왕>이라는 동화를 읽으며 이글루가 있는 북극의 설원을 개 썰매를 타고 달리는 상상을 했던 한 장면이 어설프게나마 영림이네서 우리 아이들에게 재현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저녁 무렵, 영림이네에 맡겨 놓은 아이들을 데리러 갔더니 농장 뒤쪽 둠벙가에 옹기종기 모여 앉은 아이들의 엉덩이부터 보였다. 그 옆에는 바가지를 들고 있는 영림이아빠의 모습도 보였다.
“엄마, 이게 앞다리가 쑥, 뒷다리가 쑥 하는 올챙이래. 엄마는 올챙이 알아?”
올챙이라는 동요가 유행하고 있고 한 발자국만 나서면 올챙이가 널린 환경에 살면서도 미처 올챙이를 보여주는 것까지는 생각을 못하는 우리의 부족한 부분을 대신하듯 영림이 아빠는 바가지로 올챙이를 잡아서 동요처럼 개구리가 되는 과정을 아이들에게 설명하고 있는 중이었다.
“정선이한테 거위를 보여줬더니, 황금 알을 낳는 거위냐고 하더라구요. 동화책을 많이 읽어 준 건가요? 만화 비디오를 많이 본 건가요?” 시골에 살면서도 실전보다는 책이나 매스컴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에 익숙한 우리의 습관이 딸아이의 거위 이야기로 다시 한번 탄로나고 말았는데 이번에는 영림이 엄마가 나한테 큰 바구니를 안기더니 따라 오란다.
우리 아이들까지 줄줄이 영림이 엄마를 따라 간 곳은 토종닭을 키우는 닭장으로 구석에 뒹구는 달걀들을 줍는 것이었다. 내가 닭 배설물 냄새에 주춤거리며 알을 주울 때마다 닭이 부리로 쪼을 것 같아 은근히 겁에 질려 있는 사이 아이들은 달걀들을 잘도 주웠다. 우리 아이들이 영림이네서 이런 식으로 놀고 나면 내가 데리러 가도 좀처럼 집에 갈 생각을 안 한다.
“저기 두릅도 있는데 좀 따다가 된장 끓여먹어요. 얼른 자두가 익어야 따주는데….”
항상 아이들을 맡기는 신세를 지는데도 영림이 엄마는 아까 주운 달걀에, 두릅, 버섯 등을 친정에 온 것처럼 차에 한 가득 실어 주면서도 뭔가를 더 주고 싶어 한다. 나 보다 나이가 어리지만 속이 깊고 인정이 많고 말은 조신한 영림이 엄마다.
우리와 영림이네가 다른 점은 시장을 가지 않고도 농장 구석구석마다 자급이 가능하도록 꾸며놓고 시골살이를 이렇게 백배 즐길 수 있는 자세가 되어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한번 가보겠다는 결연한 의지로 시작했지만 영림이네는 도시나 시골, 이런 이분법을 초월해 그냥 자연스럽게 살고 있다. 이렇게 우리 부부보다 젊은 영림이네가 시골에서 사는 법은 정말 한 편의 그림 같다. 누구나 가슴 속에는 시골살이에 대한 동경을 가지고 있지만 쉽게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일을 영림이네는 그저 자연스럽게 하고 있다.
한동안 사람 냄새가 그리웠던 우리에게 영림이네로 인해 시골살이는 그리 삭막하지 않게 되었다. 서툰 음식이지만 함께 나눠먹고 아쉬운 부탁을 할 수 있는 이웃이 있어서 이제 우리는 도시에 양다리를 걸치지 않고 산다.
이번 주말에는 영림이네를 우리 집으로 초대해서 된장 삽겹살 숯불구이를 함께 먹으며 시골에 사는 사람들의 어깨가 활짝 펴질 날을 이야기 할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충남 부여의 시골 마을에 살고 있습니다. 조근조근하게 낮은 목소리로 재미있는 시골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